[[분류:워크래프트 3/기타 건물]] [include(틀:워크래프트 3/중립 건물)] [목차] == 개요 == [[파일:fountainhealth.gif]] [[파일:fountainmana.gif]] 생명의 샘/Fountain of Health, 마나의 샘/Fountain of Mana [[워크래프트 3]]의 [[워크래프트 3/중립 건물|중립 건물]] 중 하나로, 체력/마나를 채워주는 샘이다. 생명의 샘은 파란색, 마나의 샘은 보라색이다.[* 마나의 샘의 색이 보라색인건 비전 마력이 깃들어있기 때문인걸로 추측된다.] 회복량은 초당 전체 체력의 2%이다.[* 에디터로 뜯어보면 1%로 되어있는데 0.5초당 회복이라 실제로는 2%씩 찬다.] 용도는 싸울 때 체력이 없는 유닛을 빼서 치료할 수 있다. 특히 [[마운틴 킹]]같이 체력이 많은 유닛이 여기에 있으면 [[문도 박사]]를 볼 수 있다. 피아 상관 없이 적용되며 [[크립(게임 용어)|크립]]에도 적용된다. [[주문 면역]]인 유닛 역시 회복된다. 하지만 대다수 회복 스킬이 그렇듯 생물 유닛이 아닌 기계 유닛은 치료시키지 못한다. == 밀리 == 대부분의 래더맵에는 없다. 있는 대표적인 맵은 [[잃어버린 사원(워크래프트 3)|로스트 템플]]. 맵 중앙에 있다. 그리고 대회에선 퇴출된지 몇 년 된 로템 대신으로 유명할 수 있는 [[비밀의 골짜기|시크릿 밸리]]는 11시와 7시에 두 개씩 있다. [[놀 우드]]는 게임을 할 때마다 맵 중앙의 체력의 샘 / 마나의 샘이 랜덤으로 결정되는 특징이 있다. [[에코 아일]]에선 지금의 3시 9시 자리에 힐링샘과 12시 시장지역에 마나샘 하나가 있었으나 패치됐다. 2013년을 기준으로 블리자드에서 만든 [[래더맵]]들 중 아직까지도 대회에서 쓰이는 [[뒤틀린 초원|트위스티드 메도우]], 수정된 에코 아일, [[터틀 락]]과 서양게이머들이 [[스타크래프트 2]]로 넘어가기 이전의 프로게임계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 쓰는 맵들을 다 합쳐도 샘을 쓰는 맵은 거의 없다. 다만 사실 [[비밀의 골짜기|시크릿 밸리]]도 전세계에 지명도가 있는 대회에서 쓰이는 건 조탁컵밖에 없다. 매니아들이 자체적으로 생각해 볼 때 성능이 너무 좋고 또 특정 유닛에게 유리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배척받는 듯하다. 특히 체력의 샘은 오크 유닛의 체력이 높은 편이기에 오크에게 유리하며, [[검귀(워크래프트 시리즈)|블마]]는 샘이 있으면 더더욱 강력해진다. 마나의 샘은 원래 체력의 샘보다도 더 기피됐는데 특정 유닛들과 타이밍만 너무 강화시켜서 그런 듯하다. 하지만 중국은 매우 좋아하는 것 같다. 시크릿 밸리도 중국대회에서 아직까지 쓰이고 있는 등 샘이 있는 맵의 비율이 나머지 문화권보다 더 높다. 또한 앞서 놀 우드에만 적용됐던 랜덤 샘 시스템을 두 개씩이나 있는 맵을 제작했고, 심지어는 캠페인에서만 나오는 체력과 마나 둘 다 채워주는 힘의 샘을 두 개나 배치한 맵도 만들었다. == 캠페인 == 캠페인에서는 상당히 많이 보이는 편이다. 특히나 유닛의 추가 생산이 불가능한 시나리오에서는 난이도 조정을 위해 샘이 자주 배치된다. 심지어는 체력과 마나 둘 다 채워주는 '힘의 샘'(Fountain of Power)도 있는데[* 맵 에디터에는 나이트 엘프 캠페인 건물란에 있다. 찾기 힘든 위치에 있어서인지 "체력/마나 모두 채워주는 샘은 어떻게 구현하냐"하는 질문도 몇 개 올라와있다.[[https://www.thehelper.net/threads/fountain-of-power.12146/|#]]], 리포지드 [[언데드 캠페인]] 8장, [[파수대 캠페인]] 7장, [[얼라이언스 캠페인]] 4, 5장에서 볼 수 있다. 스토리상으로 눈에 띄는 샘들도 몇 개 있다. [[워크래프트 3/캠페인/오크|오리지널 오크 캠페인]]에서는 [[그롬 헬스크림]]이 [[잿빛 골짜기]]에서 벌목 임무를 수행하던 중 [[세나리우스]]의 저항에 맞닥뜨리자 [[만노로스]]의 피로 오염된 샘의 물을 마시고 [[타락한 오크|타락했다]]. 이 이벤트를 위해 게임 내에도 색깔이 다른(클래식은 붉은색, 리포지드는 초록색) 샘이 따로 만들어져있으며[* 처음에는 멀쩡한 마나의 샘이었다가 미션 시작 전 영상에서 만노로스가 피를 섞는 연출과 함께 색이 바뀐다. [[https://youtu.be/da0o0wyE7vg|(클래식)]], [[https://youtu.be/wrdaUj3RoFc|(리포지드)]]. 여담으로 리포지드에서 영상의 연출이 보강되었다. 클래식에서는 만노로스가 그냥 창을 휘둘러서 샘을 타락시키지만 리포지드에서는 창으로 손을 베어서 피를 샘에 뿌리는 장면까지 묘사된다. 그밖에도 샘을 지키는 [[펄볼그]]가 1마리 죽는데, 클래식에서는 만노로스가 나타나자마자 다들 도망치고 1명만 밍기적거리다 죽은 것처럼 묘사되는 반면 리포지드에서는 일단 펄볼그들이 만노로스에게 맞서려고 하다가 만노로스가 1명을 먼저 죽이고 그제야 펄볼그들이 도망간다.] 이름은 "지옥의 샘"([[https://wowpedia.fandom.com/wiki/Chaos_Well|Fel well]])이다.[* 리포지드 이전엔 Chaos well. 이 샘은 세나리우스 같은 [[반신(워크래프트 시리즈)|반신]]의 죽음에 영향을 준 중요한 시설인데도 WoW에서는 구현되지 않았다. WoW Fandom 위키에선 그냥 말라 없어졌겠거니 하고 추측하고 있다.[[https://worldofwarcraft.fandom.com/et/wiki/Chaos_Well|#]] 사실 샘 자체는 그냥 어디에나 있는 평범한 샘이니 그럴 수도 있긴 하다.] 같은 오크 캠페인에서는 [[스랄]]이 이끄는 호드가 [[코도]] 무리와 함께 있는 [[타우렌]]을 만나 3개의 [[오아시스]]를 거쳐 [[불모의 땅]]을 횡단하는 것을 도와주는데 이 오아시스들이 생명의 샘으로 구현되어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북부 불모의 땅]]에 위치한 3개의 오아시스가 바로 이 미션에서 등장한 오아시스다.] 그 외에 프롤로그, 오크 캠페인 중에 오염된 생명의 샘을 정화시켜서 사용하는 퀘스트도 있고, [[나이트 엘프 캠페인]]에는 병든 [[펄볼그]]에게 샘물을 떠다 주는 퀘도 있다. == 기타 == [[워크래프트 시리즈]] 전체 중 대표적으로 [[영원의 샘]](Well of Eternity), [[달샘]](Moonwell), [[태양샘]](Sunwell), [[수라마르|밤샘]](Nightwell) 등이 있다. 이 샘들 역시 마력 제공 및 회복과 관련있다는 점은 본문의 샘과 유사하다. 보통 Well은 [[우물]], [[샘]]은 Spring으로 번역되는데, 공식 번역에서는 Well이 주로 샘으로 번역된다. 어감도 그렇고, 실제로도 우물은 샘에다가 인공적 장치를 설치한 것이니 아주 다른 것은 아니긴 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워크래프트 3/중립 건물, version=57, paragraph=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