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970년대 [[GM코리아]]~[[새한자동차]]에서 생산했던 중대형 [[프론트엔진 버스]] 제품군으로 1970~1980년대 새한/대우 프론트엔진 버스 [[자일대우버스 BF|BF101]]의 이전모델이 되는 버스이다. 1970년대 당시 시내버스의 주류를 이루던 차종이기도 하였다. 단종때 까지 7000대 이상이 생산되었다. [[http://pds16.egloos.com/pds/201002/17/64/2003_summer.pdf|#]] == 모델별 설명 == === BD50DL === [[파일:BD50DL.gif]] 1973년 6월에 출시되었으며, 일본 [[이스즈 자동차|이스즈]] 차대[* 기반이 된 차종은 이스즈 BD/BF 계열로 본네트형 버스 새시인 BX/BXD 계열을 기반으로 캡오버화 한 형태다. 이스즈 BX/BXD 본네트형 버스가 당시 일본내에서 타사 경쟁모델 대비 험로 주파능력과 내구성이 뛰어나서 도로 포장률이 저조해서 리어엔진 버스가 보급되기 이전의 일본 버스 시장을 평정했었던 차종인 만큼 새한-대우 BD, BF 계열 버스들도 그 특성을 고스란히 물러받았다.]와 [[대우 ISUZU 엔진|D920 디젤엔진]](175마력)을 적용하여 생산하였다. 전면에 CHEVROLET(쉐보레) 워드마크가 붙어 있어서 [[쉐보레|시보레]]라고도 불리었다.[* 당시에는 '쉐보레'가 아니라 '시보레'라고 불렸다.] 1975년 12월에 엔진이 변경된 BD098로 계승하면서 단종되었다. === BD098 === [[파일:external/aeroexpress.wo.to/1980%20%EC%84%9C%EC%9A%B8%ED%95%99%EC%83%9D%EC%8B%9C%EC%9C%84..%EC%9E%90%EB%8F%99%EC%B0%A8%EB%93%A42.jpg]] 사진이 찍힌 시기는 1980년 서울 학생시위 때. 1975년 12월에 출시되었으며, 전면 그릴이 육각형[* 1970년대~1980년대 초반에 촬영된 사진 속에 많이 볼 수 있던 전면에 육각형 그릴 달리고 중문만 있던 바로 그 시내버스 맞다.]으로 변경되고, 로고도 [[쉐보레|CHEVROLET]]에서 GMK로 변경, 엔진도 [[MAN]] 사의 [[대우 MAN 엔진|D0846HM 168마력 엔진]]을 적용하였다. 후면에는 커다란 원형 가로배열 3개짜리 후미등이 양 옆으로 있었다. 측면 승객창문이 5칸이었고 도시형/자가용으로 출시하였다[* 다만 도시형은 자가용에 비해 중문이 넓었고 의자도 입석이므로 당연히 입석형 의자를 적용하였다.]. 1976년 후반에는 GM 코리아가 새한자동차로 바뀌면서 전면에는 SMC 로고를 후면에는 새한자동차 마크와 함께 SAEHAN 로고를 적용하였다. 1977년 말에 단종되고 도시형은 [[자일대우버스 BF|BF101]]로 이어졌다. === BD101 === [[파일:GMK BD101.gif]] [[1976년]] 1월에 BD098의 전장을 늘려서 출시한 모델로 출입문 측은 '비스듬한 큰 창문-중문-작은 창문-큰 창문-큰 창문-작은 창문-큰 창문' 형식이었고, 운전석측은 '비상문을 겸한 창문-작은 보조창-큰 창문-큰 창문-큰 창문-작은 창문-큰 창문' 형식으로 자가용/시외/관광용으로 나온 모델이었다. 이 외에는 BD098과 다른 점이 없고 마찬가지로 1977년 10월에 단종되었고 [[자일대우버스 BF|BF101]]로 계승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우자동차의 차량)] [[분류:대우자동차/생산차량]][[분류:1973년 출시]][[분류:1977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