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계파]][[분류:사회민주당(2023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새로운진보.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000 '''새로운진보'''}}}}}} || || '''영문명''' ||New Jinbo || ||<|3> '''슬로건''' ||'''새로운 진보대표정당''' || ||'''지금 당장 복지국가''' || ||'''더 풍요롭고 자유로운 사회''' || || '''형성''' ||[[2020년]] || || '''출범''' ||[[2021년]] [[5월 4일]] || || '''주요 정치인''' ||[[천호선]][br][[한창민]][br][[정혜연]][br][[송치용]][br][[정호진(1972)|정호진]][br]위선희|| || '''링크''' ||[[https://www.newjinbo.co.kr|홈페이지]][[https://www.youtube.com/@user-jy1mo2tf4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newjinbo202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정의당|{{{#000 정의당}}}]] || || [[무소속|{{{#fff 무소속}}}]] || [[정의당|{{{#000 정의당}}}]] || ||<-2> [[사회민주당(2023년)|{{{#fff 사회민주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진보 성향 정치단체'''이다. 2021년 5월 4일 창립 당시에는 정의당 의견그룹으로서 진보너머, [[참여계]] 일부의 통합 세력으로 출범하였으나, 현재는 시민 정치 네트워크로 정의당뿐만 아니라 새로운 진보 정치세력 구축에 나서고 있다. 이념적으로는 '모두를 위한 진보, [[버니 샌더스]]의 정치'라는 강의를 통해 [[민주사회주의]]를 주창하며, '급진적 노무현 읽기, 세속적 노회찬 읽기 세미나'를 통해 [[노회찬]], [[노무현]] 정신을 주요하게 이야기한다. 그 외 아카데미 시민 교육을 개설하여 다양한 진보 의제를 강의하고 있다. '''지금 당장 [[복지국가]] 실현'''이라는 모토 아래, [[기본소득]]부터 공공은행, 자본의 민주화까지 불평등 해결을 위한 주요 이슈들을 내세우고 있다. == 비전 == {{{+1 '''새로운 진보대표정당을 향해''' - [[풀뿌리 민주주의|시민의 참여]]로 만드는 ‘좋은 정치’}}} * 시민의 편이 되는 정치제도, 협력과 통합을 중시하는 정치문화를 제안합시다 * 디지털 직접민주주의를 기반으로 참여정치, 책임정치가 강화되는 정당 시스템을 제안합시다 * 새로운 진보정치를 이끌 정치 리더들을 발굴하고 지원합시다 {{{+1 '''불평등과 [[양극화]] 해소를 향해''' - 99%가 손잡는 연대의 정치}}} * 사학, 종교, 기업 세습에 반대합시다 * [[부자증세|초부유세]], [[횡재세]] 도입과 강력한 누진적 세제 체계를 제안합시다 * 만 명에게만 평등한 법을 만인에게 평등하게, [[사법개혁]]을 이룹시다 {{{+1 '''인류의 부로 모두가 풍요롭게''' - [[기본소득]] 등 공동의 부를 관리하는 국가}}} * 교통, 의료, 교육, 주거, 정보, 법률, 의식 분야에서 국가의 무상서비스를 확대합시다 * 기본소득, 기본서비스, 기본주택, [[토지 공개념|토지공유제]] 등의 실현을 위해 노력합시다 * 공공적 성격이 강한 산업의 민영화, 외주화에 반대하며, 국가의 역할을 확대합시다 {{{+1 '''행복하고 즐거운 노동을 향해''' - 노동권 확대와 일자리보장 사회로}}} * 최저임금을 [[생활임금]] 수준으로, 열심히 일하는 시민들이 가난하지 않은 나라를 만듭시다 * 기술의 발전과 산업의 재편 과정에서 노동권을 보호하고 확대합시다 * 행복하고 즐거운 노동을 위해, 노동 시간은 줄이고, 노동의 가치는 늘여갑시다 {{{+1 '''시민의 보편적 자유를 더 넓게''' - 검열 반대, [[낙태|낙태권]] 지지, [[정치적 올바름]]의 폐해 극복}}} * [[표현의 자유]]를 지키며, 검열주의를 거부합시다. 시민들의 자유로운 토론을 보장합시다 * 낙태의 권리, [[성소수자]]의 권리를 보편적 자유와 평등의 원칙으로 지킵시다 * [[대한민국의 젠더 분쟁#s-2.5|젠더 갈등]], [[세대 갈등]]을 부추기는 정치에 단호히 반대합시다 {{{+1 '''아래로부터의 에너지 혁명''' - 기후불평등을 해결하는 녹색정치}}} * 그린뉴딜청정에너지혁명을 저소득층 지원에서부터 시작합시다 * [[그린뉴딜|그린 뉴딜]]로 일자리 위기에 처한 노동자들과 지역 경제를 살립시다 * 새로운 에너지 산업을 지역 주민들의 공공 소유를 기반으로 만들어갑시다 {{{+1 '''자본시장의 민주화를 위한 모색''' - 투기적 금융 자본 규제부터 공공은행까지}}} * 투기적 금융 자본 규제를 위한 실질적 조치들을 제안합시다 * 부동산을 비롯한 자산불평등을 해소할 금융 정책을 제안합시다 * 공공은행 설립을 비롯하여 금융의 공공성 확대를 위해 나아갑시다 == 활동 == * 2020년 [[박창진]], [[송치용]], [[성현]]의 제2창당 선본에서부터 동력을 모으기 시작하였다. * 2021년 1월 28일 대국민 사찰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정의당/비판#s-11.1|2차 가해 제보 철회 서명운동]]'''과 2021년 2월 2일 '''[[류호정/논란/21대 국회의원 시절#s-6|류호정 의원실 전 비서 면직사태]]''' 공개 질의에 함께 한 당원들로부터 시작하였다. * 2021년 3월, '새로운 진보를 위한 정의당 재창당 선언'을 제안하였다. * 2021년 5월, '[[모병제]]-[[징병제]], 진보정치의 대안은?' 대토론회 개최하였다. > <정의당 9대 혁신안> 제안 > ---- >1. 총선, 지선 후보 요건 및 검증 강화 > 2. 비례대표 국회의원 중간평가제 도입 > 3. 고위당직자 윤리위원회 신설 > 4. 억압적 문화를 만드는 기구 폐지 > 5. 디지털 정당을 위한 긴급 플랜 수립 > 6. 청년세대와의 소통, 전당적 차원으로 확대 > 7. 부문위원회 요건 및 지원 강화 > 8. 노동의 위기에 맞서는 신사회계약 플랜 제시 > 9. 녹색복지국가를 위한 5년-10년 플랜 제시 * 2021년 9월, 천호선 전 대표를 중심으로 '선 연합정부 제안, 후 독자 완주' 전략을 제안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MhXyqgRmna8|*]]] * 2022년 '''정의당 비례의원 총사퇴 권고안 당원총투표'''를 주도하였다.[* [[https://www.natv.go.kr/natv/news/newsView.do?newsId=503989|*]]] *''젠더 갈등을 부추기기보다 생계와 노동 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청년 정치'''를 지향한다. * 2022년 9월, 경제 형벌 규제 완화 방안을 추진하는 데에 대해서, '윤석열 정부는 '유전무죄 무전유죄'를 못 박고 있습니다'라고 성명을 냈다. * 2022년 9월, [[노란봉투법]]에 대한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공세에 대해 비판하였다. * 청년정치포럼을 통해 류호정, 장혜영, 박지현과 같은 청년 정치에 비판적 목소리를 내왔다. * [[이태원 압사 사고|이태원 참사]]에 대해 '진정한 애도는 책임'이라고 성명을 내며, [[이상민(1965)|이상민]] 행안부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에 대한 파면을 요구하였다. * 2022년 11월, 노동자대회와 시민추모촛볼에 참여하였다. * 2022년 12월, 새로운진보 시즌2를 시작하며, 2기 운영위원회를 출범하였다. * 선거제 개혁안으로 '[[소선거구제]]'와 '[[연동형 비례대표제|비례확대와 완전연동]]', '[[권역별 비례대표제|권역별비례]]와 [[석패율제|지역/비례 동시출마]]', '[[결선투표제|대선 결선제]]'를 제안하며, 이재명, 김기현 두 당대표에게 결단을 요청하였다. * 2023년 4월, 정의당 의견 그룹이 아님을 선언하고, 시민 정치 네트워크로 '''새로운 진보정치세력 구축'''에 나서고 있다.[* [[https://www.facebook.com/newjinbo2021/posts/pfbid07P8rWavx7ZZGHnxyQymjKoHey5fubvsgVYkAbvvMbmtVd25pFC8E3RMJ7CE8bnX8l|*]]] * 2023년 7월 7일, 새로운진보 소속인 정의당 전현직 당직자들이 주축을 이루어 60여 명이 집단적으로 정의당 탈당을 선언했다. 이들은 정의당과 다른 새로운 진보정당의 창당을 예고한 상황이다. * 2023년 7월,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과 [[열린민주당(2022년)|열린민주당]] [[김상균(정치인)|김상균]] 대표와 새로운진보 정호진 전 수석대변인이 '정당 개혁 대토론회'의 패널로 참석하였다. * 2023년 9월 25일, 새로운진보 출신들을 주축으로 [[사회민주당(2023년)|사회민주당]]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했다. ##당내 우파라는 등의 근거 없는 의견 서술은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 소속 인물 == * [[천호선]] 참여정부 청와대 대변인, 정의당 전 당대표 * [[김보경]] 새진추 운영위원, 심상정 관련 저서를 출간하였고, 심상정 대선 캠프에서 대외홍보관련 임무를 수행, 현 지와인 출판사 대표 * [[한창민]] 정의당 전 부대표[* 뉴스공장 출연자] * [[정혜연]] 정의당 전 부대표[* 초대 성소수자 위원장, 진보너머 전 대표] * [[송치용]] 정의당 전 부대표[* 진중권 복당에 문제제기하며 책임감을 느껴 사퇴하였다.] * 위선희 정의당 전 대변인 * [[임명희]] 정의당 전 강원도당 위원장 * 이형린 정의당 전 충북도당 위원장 * [[임성대]] 정의당 전 강원도당 위원장 * [[정호진(1972)|정호진]] 정의당 전 수석대변인 == 관련 문서 == * [[풀뿌리 민주주의|참여 민주주의]] * [[참여계]] * [[사회자유주의]] * [[사회민주주의]] * [[복지국가]] * [[사회민주당(2023년)]] == 둘러보기 == [include(틀:한국 진보진영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