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중, 문서명=틀:민주당계 정당, 토론사유=민주당계 정당 서술 여부)] [include(틀:대한민국 국회의 원내 구성)]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B8ED, #FFD918)"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fff '''대한민국의 제3지대'''}}}]]{{{#fff '''·'''}}}[[민주당계 정당|{{{#fff '''민주당계 정당'''}}}]]}}} || || {{{#!wiki style="margin: 0 -10px" [[더불어민주당|{{{#004ea2 더불어민주당}}}]][br]{{{-3 (개별 합류)[* [[이낙연계]]]}}}}}} ||[[더불어민주당 분당|{{{+1 →}}}]]||<|2> {{{#!wiki style="margin:0px -10px" '''새로운미래''' }}} ||<|2> {{{+1 →}}} || {{{#!wiki style="margin:0px -10px" '''새로운미래''' }}} || || {{{#!wiki style="margin: 0 -10px" [[미래대연합|{{{#07a6e8 미래대연합}}}]][br]{{{-3 (일괄 합류)[* [[이원욱]], [[조응천]] 국회의원과 그들이 데려온 [[화성시 을]], [[남양주시 갑]] 지방의원 및 당직자들 불참.]}}}}}} ||{{{+1 [[새로운미래-미래대연합 통합|→]]}}}|| {{{#!wiki style="margin: 0 -10px" [[개혁신당|{{{#FF7920 개혁신당}}}]][br]{{{-3 (개별 합류)}}}}}} || || {{{#!wiki style="margin:0px -10px" '''새로운미래''' }}} ||<|3> {{{+1 →}}} ||<|4> {{{#!wiki style="margin:0px -10px" '''새로운미래''' }}} ||<|4> {{{+1 →}}} ||<|4> (현재)[br]{{{-3 }}} || || {{{#!wiki style="margin: 0 -10px" [[개혁신당|{{{#FF7920 개혁신당}}}]][br]{{{-3 (개별 합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민생당|{{{#00A85F 민생당}}}]][br]{{{-3 (개별 합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깨어있는시민연대당|{{{#000056 깨어있는시민연대당}}}]][br]{{{-3 (개별 합류)}}}}}} || {{{+1 →}}} || ||<-2> [[파일:새로운미래 로고_상하.svg|width=300&theme=light]][[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_상하.svg|width=300&theme=dark]] || ||<-2> {{{#fff '''새로운미래'''}}} || || '''슬로건''' ||믿을 수 있는 '''신당'''[br]그래도 민주주의 그리고 공정한 나라 || || '''등록일''' ||[[2024년]] [[2월 19일]]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0길 18, 너비=100%)]}}}[[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0길 18[br](여의도동, 한양빌딩)[* 2007년부터 2018년까지 [[한나라당]] -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이 세들어 살던 건물이었다.] || || '''비상대책위원장''' ||[[이석현]] {{{-3 / 6선 (14,15,17-20대)}}} || || '''원내대표''' ||[[김종민(1964)|김종민]] {{{-3 / 3선 (20-22대)}}} || || '''사무총장''' ||[[이근규]] || || '''정책위의장''' ||[[김만흠]] || ||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5BABD 1.68%, transparent 1.68%)" {{{#fff '''5석[* 지역구 5석] / [include(틀:국회 의석수)]석 (1.68%)'''}}}}}} || || {{{#!wiki style="margin: 0 -10px" '''광역자치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5BABD 0%, transparent 0%)" {{{#fff '''0석 / 17석 (0%)'''}}}}}} || || {{{#!wiki style="margin: 0 -10px" '''기초자치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5BABD 0%, transparent 0%)" {{{#fff '''0석 / 226석 (0%)'''}}}}}} || || {{{#!wiki style="margin: 0 -10px" '''광역의회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5BABD 0%, transparent 0%)" {{{#fff '''0석 / 872석 (0%)'''}}}}}} || || {{{#!wiki style="margin: 0 -10px" '''기초의회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5BABD 0.30%, transparent 0.30%)" {{{#fff '''9석[* 지역구 9석] / 2,960석 (0.30%)'''}}}}}} || ||<|2>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45BABD;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블루 터콰이즈 {{{-2 (#45BABD)}}}}}}}}}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17253E;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프러시안 블루 {{{-2 (#17253E)}}}}}}}}} || || '''당가''' ||[[https://www.youtube.com/watch?v=nQG0zeOKClU|{{{#45BABD '''새로운 미래로'''}}}]] || || '''당원 수''' ||160,000명 이상|| || '''후원회''' ||새로운미래 중앙당 후원회|| ||<-2> [[https://www.saemirae.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https://youtube.com/channel/UC58ySWAGaH5AxRQCk3XGLz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https://facebook.com/profile.php?id=61555728291375|[[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https://instagram.com/saemirae2401|[[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include(틀:트위터 로고, 크기=23, 링크=saemirae2401)]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새로운미래 필승결의대회.jpg|width=100%]]}}} || || '''새로운미래 필승결의대회''' || [[이낙연]] 前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에서 탈당한 인사들이 주축이 된 [[제3지대 정당]]이자 [[민주당계 정당]]. == [[/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새로운미래/역사)]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문재인 정부-현재))] == 정강과 정책 == === 발기취지문 === {{{#!wiki style="border-top: 5px solid #45BABD; border-bottom: 2px solid #45BABD;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45BABD; background: #FFFFFF; text-align: center" {{{#45babd {{{+1 '''[[파일:새로운미래 로고_좌우.svg|height=20]] 발기취지문 전문'''}}}}}}}}}{{{#!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rgba(24,39,82,.03); border-bottom: 2px solid #45BABD; text-align: center" {{{#!folding [ 발기취지문 전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5px" '''오늘 우리는 국민이 행복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미래 창당을 선언합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서민이 행복하고 중산층이 두터운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국익과 실용을 중심에 둔 포용적 중도개혁주의를 견지하겠습니다. 건설적 대안과 정책을 구현할 수 있는 실력 있는 신진 정치 세력에게 문호를 활짝 개방하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거대 양당의 과두정치를 타파하고 탈권위 민주정치를 구현하겠습니다. 좌우를 가르는 낡은 문법을 뛰어넘어 두루 협력하고 두루 지혜를 구하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새로운 희망의 정치를 위해 다음과 같이 노력하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국민의 행복추구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선진 복지국가 건설에 앞장서겠습니다. 우리는 지난 30년 지배적 패러다임이던 시장만능주의뿐만 아니라 각종 포퓰리즘 노선을 거부합니다. 역량 국가를 통해 국민의 행복과 대한민국의 지속적 발전을 일구겠습니다.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추구하고, 공정과 공공선을 드높이고, 효율과 형평의 합리적 균형을 정책 판단의 기준으로 삼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분단국가·동맹국가·반도국가·통상국가 중의 어느 하나에만 매몰되는 일차원적 외교가 아니라 중층적 돌고래 외교를 추구합니다. 한미일 대 북중러의 대립 구도에 매몰되지 않고 덩치는 작아도 민첩하고 영민한 돌고래처럼 대한민국의 국익을 위한 중층외교의 관점을 견지하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소득과 자산의 불평등을 확대하는 기존의 양극화 경제를 극복하고 역동적 성장과 정의로운 분배가 유기적으로 통합된 활력 경제를 추구합니다. 안정적인 과학기술 투자와 기술 혁신으로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 지속 가능 활력 경제를 통해 우리 국민 누구나 성·나이·지역 등에 따른 차별 없이 양질의 일자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공정하게 기회를 제공하는 실질적인 고용보장 국가를 만들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음악·음식·전통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K-문화강국의 면모를 더욱 강화하겠습니다.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우리의 매력 문화가 계속 꽃을 피우도록 안정적으로 투자하고 지원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 매력 문화 정책을 견지하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필요 충족의 맞춤형 디딤돌 복지를 추구합니다. 우리는 누구라도 보편적 복지의 사회보장 원리에 따라 재난·실업·질병·산재·은퇴·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소득의 단절이나 급격한 감소를 겪지 않도록 생애 주기에 따라 촘촘하고 빈틈없는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책임정치를 실천하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저출생·고령화의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적응하기 위한 필사적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우리는 자치·분권을 강화해서 초저출생의 근본 원인인 지역·교육·의료·복지 등의 각종 격차를 해소하고, 일·생활의 조화뿐만 아니라 역동적 혁신성장의 기조 위에 지속 가능한 경제·주거·일자리·안전·복지 생태계를 만들고, 인구 감소의 충격을 완화하는 책임정치를 실천하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지구적 기후 위기와 에너지 대전환의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우리는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생명·재산을 지키는 사전 대응 체계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전국민적 숙의·공론·합의의 참여 정치를 통해 제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고 저탄소 청정에너지 시대를 앞당김으로써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환경을 보전하는 책임정치를 실천하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새로운 희망의 정치질서를 창출하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국민의 참정권을 보다 실효성 있게 보장하기 위해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비례성과 대표성을 높이겠습니다. 승자독식의 소선거구제를 중대선거구제로 개편하고, 지역구 대비 비례제의 비중을 확대하고, 연동형 비례제를 채택하여 민의에 충실한 정치 질서를 만들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다당제 민주주의를 구현하겠습니다. 양극단 진영논리의 낡은 정치 질서에 안주하는 거대 카르텔 정치를 혁파하고 정치의 도덕성과 민주성 수준을 높이겠습니다. 모든 정당이 국가 발전과 국민 행복을 위해 노선·비전·정책 경쟁에 나서도록 이끌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도덕적이고 당당한 정당으로 우뚝 서겠습니다. 윤리위원회를 독립적으로 운용하고 역할을 강화하겠습니다. 형사법적 재판 과정에 있는 경우 고위 당직과 공직 추천을 허용하지 않겠습니다. 공천 심사에 높은 법적·도덕적 기준을 적용하겠습니다. 중대 범죄에 대한 국회의원 불체포특권을 폐지하고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를 도입하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당내 민주주의 수준을 크게 높이겠습니다. 제왕적 당대표 권력을 분산하고, 당대표와 원내대표가 독점하는 공직 추천 체계를 민주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가칭)새로운미래는 미래 세대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인재를 양성하는 정당이 되겠습니다. 공직선거법, 정당법 개정으로 선거권 및 피선거권 연령이 만 18세로 낮아지고, 정당 가입연령이 만 16세로 낮아진 여건을 충실히 반영하겠습니다.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민주주의와 복지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오늘 우리는 (가칭)새로운미래를 창당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국민을 믿고, 국민만 바라보고 담대하게 전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년 1월 16일 }}}}}}}}} == 성향 == 기본적으로 [[친낙계]]가 모인 정당이며, [[제3지대]]를 표방하고 있다. 다만 [[친낙계]] 말고도 [[미래대연합]]에서 [[정의당]] 출신 인사들이 합류하였다. 창당발기인 대회에서 '포용적 [[중도개혁주의]]'를 표방한다고 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501314|#]] [[더불어민주당]]보다 중도적인 성향을 앞세우며 3지대의 표심에 구애할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호남에 지역기반이 있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이낙연 대표가 광주 출마선언을 하는 등 호남권을 집중 공략하려는 행보도 보이고 있다. == 상징 == === 당명 === * [[한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30px; padding:1px;background:rgba(24,39,8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한국어]]: 새로운미래 ---- * [[영어|{{{#!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30px; padding:1px;background:rgba(24,39,8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영국 국기.svg|width=100%]]}}} 영어]]: New Future Party === 당색 및 로고 === ||<-1><#45BABD> {{{#fff {{{+1 '''당색'''}}}}}} || ||<#fff> [[파일:새미래 당색.jpg|width=75%]][br][[파일:새미래 당색 2안 채택.jpg|width=75%]] || || '''당색''' (2024. 02. 26. ~) || ||<-1><#45BABD> {{{#fff {{{+1 '''로고'''}}}}}} || || [[파일:새로운미래 로고_상하.svg|width=75%&theme=light]][[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_상하.svg|width=75%&theme=dark]] || || '''당 로고''' (2024. 03. 10. ~) || 초반에는 [[격동고딕]][* 당초 더불어민주당에서 처음 사용하면서 높은 가독성과 레트로한 디자인으로 오랫동안 사랑을 받았고 이후 국민의힘 로고에서도 활용했으나 이젠 너무나 많은 정당과 너무 많은 공보물에 이 글꼴이 차용되어 피로감이 느껴진다는 의견이 심했다. 결국 원조격으로 차용했던 민주당은 디자인을 바꿨다.][* 미래대연합 창준위도 격동고딕을 임시적으로 차용했었다.]으로 당명만 표기하여 로고로 썼으나, 3월 10일 부로 새로운미래의 심볼이 발표되었다. 당초엔 프러시안 블루라고 부르는 짙은 남색을 주로 사용했지만, 2월 26일 7차 책임위원회의부터 터콰이즈 블루 컬러를 메인색으로, 남색은 서브컬러로 쓰는 모양. 그런데 이런 색상 조합은 [[새진보연합]]이 사용하고 있는 민트와 네이비 컬러와 겹친다. [[새진보연합]] 상임대표 [[용혜인]]은 이에 대해 불쾌감을 표했다. [[https://twitter.com/yong_hyein/status/1764941559148200415|#]] [[https://twitter.com/yong_hyein/status/1764936560687059166|#]] === 당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5BABD 0%, #45BABD 10%, #45BABD 20%, #45BABD 30%, #45BABD);color:#000;" {{{#fff '''새로운 미래로'''}}}}}}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5px" [youtube(nQG0zeOKClU, width=100%)]}}} || ||<^|1>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가사 보기 ] 우리 앞에 길이 하나 있다 너와 내가 함께 걸어가야 할 길, 열어 가야 할 길 자, 이제 함께 가자 커다란 파도가 되어 새로운 미래로, 더 나은 미래로 아직 가 본 적은 없지만 낯설지 않은 미래 함께 만들어 가는 새로운 미래로 사람들의 땀과 눈물이 위로 받고 기억되는 세상 서로 힘을 얻는, 함께 자유로운 세상으로 이 길을 따라 함께 가자 우리 커다란 파도가 되어 더 나은 세상, 새로운 미래로}}}}}}}}} || [[윤상]]의 음악적 동반자로 잘 알려져 있는 [[박창학]] 작사가가 작곡과 작사를 맡았다. == 역대 지도부 == [include(틀:새로운미래 대표)]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3> 초대 || [[이낙연]][br](李洛淵) ||<|2> 2024년 2월 4일 - 2024년 4월 18일 || || || [[김종민(1964)|김종민]][br](金鍾民) || || || [[홍영표]][br](洪永杓) || 2024년 3월 11일 - 2024년 4월 18일 || || || 비대위 || [[이석현]][br](李錫玄) || 2024년 4월 18일 - 현재 || || === 중앙당 지도부 === [include(틀:새로운미래 중앙당)] ==== 창당준비위원회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003153" {{{#000,#ddd '''2024년 1월 16일 ~ 2024년 2월 3일'''}}}}}} * 창당준비위원회 * 공동창당준비위원장 * [[이석현]] * [[서효영(변호사)|서효영]] * [[신정현(정치인)|신정현]] ==== 초대 지도부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003153" {{{#000,#ddd '''2024년 2월 4일 ~ 2024년 4월 18일'''}}}}}} * 공동대표 * [[이낙연]] * [[김종민(1964)|김종민]] * [[홍영표]] {{{-2 (2024년 3월 11일 ~ 2024년 4월 18일)}}} ---- * 원내대표: [[김종민(1964)|김종민]] * 전국당대회 의장: [[정균환]] * 정책위원회 의장: [[김만흠]] ---- * 책임위원 * 당연직 * 원내대표: [[김종민(1964)|김종민]] * 임명직[* 책임위원은 일반적으로 [[전당대회]]로 선출하지만, 총선까지 시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전원 임명했다고 한다.] * [[신경민(1953)|신경민]] * [[박원석]] * [[신정현(정치인)|신정현]] * [[양소영(정당인)|양소영]] * [[김영선(1966)|김영선]] * 지명직 * [[박영순]] ---- * 사무총장: [[이훈(1965)|이훈]] * 당대표비서실장: [[박시종]] * 사무부총장: 박병석 ---- * 대변인단 * 선임대변인: 김효은, [[이동영]] * 대변인: 홍서윤, 박한울, 주찬미 * 부대변인: 전용태 , 조덕호 ---- * 전략기획실장 [[설주완]] * 정책실장 홍서윤 * 정무실장 남평오 ---- * 안보특별위원장: 김상욱 * 금융혁신특별위원장: 한기대 * 지식재산위원장: 김찬훈 * 문화체육혁신특별위웍장: 이미영 * 재정위원장: 정형호 ---- * 후원회장: [[김사열]] * 고문: [[박광태]], [[이석현]], [[오영찬]], [[장호권]] ---- * 공천관리위원장: [[조기숙]] 전 청와대 홍보수석 * 공천관리위원 * [[이훈(1965)|이훈]] 사무총장 * [[진봉헌]] 변호사 * 박경주 중앙대 교수 * 김애라 * 남혜린 * 최기준 ==== 비상대책위원회 ==== * 비상대책위원장: [[이석현]] * 비상대책위원: [[박영순]], [[최성(정치인)|최성]], [[이근규]], [[장덕천]], [[남평오]], [[서효영(변호사)|서효영]], [[진예찬]] * 사무총장: [[이근규]] * 정책위의장: [[김만흠]] * 수석대변인: [[최성(정치인)|최성]] * 대변인: [[신재용]] * 재정위원장: [[정형호]] * 법률위원장: 김성훈 * 총선백서위원장: [[전병헌]] === 원내 지도부 === [include(틀:새로운미래 원내대표)]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초대 || [[김종민(1964)|김종민]][br](金鍾民) || 2024. 2. 4. - || || ==== [[제21대 국회]]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003153" {{{#000,#ddd '''2024년 2월 4일 ~ '''}}}}}} * 원내대표: [[김종민(1964)|김종민]] === 시도당 지도부 === [include(틀:새로운미래 시도당위원장)] * 서울시당 공동위원장 * [[유승희(정치인)|유승희]] 전 국회의원 * [[정형호]] 전 [[민주당(2007년)|민주당]] 사무총장 * 최재영 [[한국영상대학교]] 외래교수 * 부산시당 공동위원장 * 박견목 전 [[국군기무사령부]] 준장 * 천병준 [[동래구]]의회 의원 * 인천시당 공동위원장 * 정종연 전 [[동구(인천광역시)|동구]]의회 의장 * 이광용 전 인천만민공동회 대표 * 광주시당위원장 * [[정남준]] 전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 * 대전시당위원장 * [[박영순]] 국회의원 * 경기도당 공동위원장 * [[송한준]] 전 [[경기도의회]] 의장 * [[최성(정치인)|최성]] 전 고양시장 * 강원도당 공동위원장 * [[위호진]] 전 강원도의회 의원 * [[이종주(1959)|이종주]] 전 강원도의회 의원 * [[조일현]] 전 국회의원 * 충북도당위원장 * [[이근규]] 전 제천시장 * 전북도당위원장 * [[신원식(1955)|신원식]] 전 [[전라북도 정무부지사]] * 경북도당위원장 * [[김영선(1966)|김영선]] 전 경북도의회 의원 ---- * 울산시당창준위 공동위원장 * [[이미영(정치인)|이미영]] 전 울산시의회 의원 * 이성춘 * 전남도당창준위 공동위원장 === 선거 지도부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45babd" {{{#45babd '''2024년 3월 11일 - 2024년 4월 10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0px -5px 0px;" [[새로운미래|[[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_좌우.svg|height=22px]]]]}}}||}}}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8px; color: #fff;" '''[[제22대 국회의원 선거|{{{#fff 제22대 국회의원 선거}}}]][br]선거대책위원회'''}}}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4> '''총괄·공동상임선거대책위원장''' || ||<-4> [[오영환]]{{{-2 (총괄)}}} · [[김종민(1964)|김종민]] · [[홍영표]] || ||<-4> '''공동선거대책위원장''' || ||<-4> [[설훈]] · [[박영순]] · [[박원석]] · [[김영선(1966)|김영선]] · [[신경민(1953)|신경민]] · [[양소영]] || ||<-4> '''상임고문''' || ||<-4> [[이낙연]]{{{-2 (상임)}}} · [[이석현]] · [[박광태]] · [[정균환]] · 양영두 · [[황호순]] · [[오영찬]] · [[장호권]] || ||<-4> '''선거대책본부''' || || 본부장 ||<-3>[[이훈(1965)|이훈]] · [[박시종]] · [[양소영]]{{{-2 (청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종합상황실장}}} ||<-3>박병석 · 손산 || || 정책본부장 || [[김만흠]] ||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략홍보본부장}}} || [[박원석]] || || 조직본부장 || 나경아[br]이관행 || 직능본부장 || 양원동 || || {{{#!wiki style="margin: 0px -10px;" 온라인홍보본부장}}} || 김성훈 || {{{#!wiki style="margin: 0px -10px;" 국민소통본부장}}} || [[신정현(정치인)|신정현]] || || 유세본부장 || [[신경민(1953)|신경민]] ||<-2>|| ||<-4> '''대변인단''' || || 수석대변인 || [[박원석]] || 선임대변인 || [[이동영]][br]--김효은-- || || 대변인 ||<-3>[[신정현(정치인)|신정현]] · [[서효영(변호사)|서효영]] · [[설주완]] · 주찬미 · 박한울 || }}}}}}}}} || == 소속 인물 == === 국회의원 ===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새로운미래)]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새로운미래)] === 기초의회의원 === [include(틀:민선 8기 기초의회의원/새로운미래)] === 기타 === ''{{{#45BABD '''(괄호)'''}}}는 22대 총선 후보 등록 선거구'' * 전직 국회의원 * [[이낙연]] 전 국무총리 {{{#45babd '''([[광산구 을|{{{#45babd 광산구 을}}}]])'''}}} * [[이석현]] 전 국회부의장 {{{#45babd '''([[강북구 을|{{{#45babd 강북구 을}}}]])'''}}} * [[이훈(1965)|이훈]] 전 국회의원 * [[신경민(1953)|신경민]] 전 국회의원 * [[최운열]] 전 국회의원 * [[최성(정치인)|최성]] 전 국회의원, 전 고양시장 * [[유승희(정치인)|유승희]] 전 국회의원 {{{#45babd '''([[성북구 갑|{{{#45babd 성북구 갑}}}]])'''}}} * [[조일현]] 전 국회의원 {{{#45babd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45babd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 * [[정태근]] 전 국회의원[* 미래대연합 창준위 결성 당시 창준위원장으로서 총선 지역구 출마를 선언했으나, 2026년 지방선거때 성북구청장 후보로 출마할 가능성도 있다.] * [[박원석]] 전 국회의원 * [[박광태]] 전 광주광역시장, 전 국회의원 * [[정균환]] 전 국회의원 * [[전병헌]] 전 국회의원, 전 청와대 정무수석 {{{#45babd '''([[동작구 갑|{{{#45babd 동작구 갑}}}]])'''}}} * [[장정숙]] 전 국회의원 * 전직 기초자치단체장 * [[장덕천]] 전 부천시장 {{{#45babd '''([[부천시 병|{{{#45babd 부천시 병}}}]])'''}}} * [[이근규]] 전 제천시장 {{{#45babd '''([[제천시·단양군|{{{#45babd 제천시·단양군}}}]])'''}}} * [[장세호]] 전 칠곡군수 * 전직 광역의원 * [[송한준]] 전 경기도의회 의장 * [[김호서]] 전 전북도의회 의장 * [[이미영(정치인)|이미영]] 전 울산시의회 부의장 {{{#45babd '''([[남구 갑(울산)|{{{#45babd 울산 남구 갑}}}]])'''}}} * [[위호진]] 전 강원도의원 * [[이종주(1959)|이종주]] 전 강원도의원 * [[신정현(정치인)|신정현]] 전 경기도의원 {{{#45BABD '''(비례대표)'''}}} * 이영주 전 경기도의원 * [[정대운]] 전 경기도의원 * 김학실 전 광주시의원 * [[김영선(1966)|김영선]] 전 경북도의원 {{{#45babd '''([[상주시·문경시|{{{#45babd 상주시·문경시}}}]])'''}}} * [[홍종원]] 전 대전시의원 * [[임동순]] 전 서울시의원 * [[추민규]] 전 경기도의원 {{{#45babd '''([[하남시 을|{{{#45babd 하남시 을}}}]])'''}}} * [[오명근(1953)|오명근]] 전 경기도의원 * [[박상구]] 전 서울시의원 * 전직 기초의원 * 이성대 전 인천 중구의회 의장 * 정종연 전 인천 동구의회 의장 * 태승균 전 제천시의회 의장 * [[진남표]] 전 고창군의회 의장 * 김용인 전 인천 서구의회 의장 * [[임인택(1952)|임인택]] 전 서울 강동구의회 의장 * 전옥자 전 인천 서구의원 * 이주희 전 광명시의원 * 송만정 전 부산진구의원 * 김양규 전 목포시의원 * 장상화 전 고양시의원 * [[이동영]] 전 관악구의원 * 공직 출신 인사 * [[남평오]] 전 [[국무총리실]] 민정실장 {{{#45babd '''([[강서구 갑|{{{#45babd 강서구 갑}}}]])'''}}} * [[박시종]]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 * [[신원식(1955)|신원식]] 전 전라북도 정무부지사 {{{#45babd '''([[전주시 갑|{{{#45babd 전주시 갑}}}]])'''}}} * 이민원 전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 [[정남준]] 전 [[행정안전부]] 제2차관 * [[정찬용(정치인)|정찬용]] 전 [[청와대]] 인사수석 * [[오영찬]] 전 이북5도위원회 위원장[* 제14대 [[평안북도지사]] ] * [[김사열]] 전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 * [[조기숙]] 전 청와대 홍보수석 * [[김만흠]] 전 국회입법조사처장 {{{#45BABD '''(비례대표)'''}}} * 그 외 문서가 존재하는 인사 * [[김영태(정치인)|김영태]] 전 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 * [[양소영(정당인)|양소영]] 전 더불어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장 {{{#45BABD '''(비례대표)'''}}} * [[홍서윤]] 전 더불어민주당 전국장애인위원회 부위원장 {{{#45BABD '''(비례대표)'''}}} * [[설주완]] 전 더불어민주당 법률위원회 부위원장 * [[정형호]] 전 [[민주당(2014년)|민주당]] 사무총장 {{{#45babd '''([[광산구 갑|{{{#45babd 광산구 갑}}}]])'''}}} * [[배복주]] 전 정의당 부대표 {{{#45BABD '''(비례대표)'''}}} * [[권태홍]] 전 정의당 사무총장 * [[오현주(정치인)|오현주]] 전 정의당 대변인 * [[장호권]] 전 광복회장 * [[진봉헌]] 법무법인 제일 대표변호사[* [[진선미]] 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오빠.] * [[강동완]] 전 [[조선대학교]] 총장 * [[하금성]] 전 국민의당 김포시 을 지역위원장 * [[진예찬]] 전 민생당 최고위원 {{{#45babd '''([[종로구(선거구)|{{{#45babd 종로구}}}]])'''}}} * [[이대의]] 전 통합민주당 경기도당위원장 * [[서효영(변호사)|서효영]] 러시아변호사 {{{#45babd '''(비례대표)'''}}} === 인재영입 === ''{{{#45BABD '''(괄호)'''}}}는 22대 총선 출마선언 및 선거관리위원회 예비후보 등록 선거구'' * '''1차 인사 (2024년 1월 26일)''' * [[신재용]] 전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청년) {{{#45babd '''([[익산시 갑|{{{#45babd 익산시 갑}}}]])'''}}} * 장승환 부산대학교 융합부 연구교수(청년) * 최재영 한국영상대학교 외래교수(청년) * 조규민 어썸라이브 대표(청년) * '''2차 인사 (2024년 2월 1일)''' * [[박창학]] 작사가(대중문화) * 조성호 한국농식품법률제도연구소 이사장(농업정책) * '''3차 인사 (2024년 2월 22일)''' * 강상훈 성일농장 대표(미래농업) * 신연수 전 동아일보 논설위원(언론) {{{#45BABD '''(비례대표)'''}}} * --장하나 브릿지처치 담임목사(종교)--[* [[장경동]] 대전[[중문교회]] 담임목사 겸 [[자유통일당]] 대표의 장녀. 2024년 3월 13일 자유통일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 '''4차 인사 (2024년 2월 23일)''' * [[이상이(교수)|이상이]]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보건복지) * '''5차 인사 (2024년 2월 26일)''' * 최순화 시니어모델(시니어) * '''6차 인사 (2024년 2월 27일)''' * [[조종묵]] 전 소방청장(소방) {{{#45BABD '''(비례대표)'''}}} * 김성룡 방재문화진흥원장(재난방재) * '''7차 인사 (2024년 2월 28일)''' * 이범식 영남이공대학교 겸임교수(재활) {{{#45BABD '''(비례대표)'''}}} * 이종호 사회복지사(돌봄) * '''8차 인사 (2024년 2월 29일)''' * 문재웅 세종대학교 교수(정보보호) * 조우정(이사벨) 성악가(문화예술봉사) * '''9차 인사 (2024년 3월 4일)''' * 박견목 전 육군 준장(국방·안보) * 주찬미 전 육군 중령(국방·안보) {{{#45BABD '''(비례대표)'''}}} * '''10차 인사 (2024년 3월 6일)''' * 고관철 성동느티나무장애인자립센터장(장애인) * 김찬훈 대전YMCA 이사장(지식산업) {{{#45babd '''([[유성구 을|{{{#45babd 유성구 을}}}]])'''}}} * 안필용 전 대전시장 비서실장 {{{#45babd '''([[서구 갑|{{{#45babd 대전 서구 갑}}}]])'''}}} * '''11차 인사 (2024년 3월 8일)''' * 권순왕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초빙교수(문화예술) * 이병홍 전 배화여자대학교 패션산업학과 교수(평생교육) * '''12차 인사 (2024년 3월 13일)''' * 김연욱 전 청와대 행정관 * [[이현주(정치인)|이현주]] 김대중재단 청년위원장 {{{#45BABD '''(비례대표)'''}}} * 남지영 대한여한의사회 부회장(한의학) == 계파 == [include(틀:새로운미래의 계파 분류)] [[친낙|이낙연계]]와 기타 비명계를 중심으로 진보정당 출신의 [[대안신당당원모임]]이 있으며, [[민생당]]에서 탈당해서 합류한 출신들과 [[정태근]]처럼 보수정당 출신도 극소수 존재한다. == 논란 == === 비례대표 순번 논란 === 비례대표 순번을 두고 내홍이 일고 있다. 일부 비례대표 후보들은 당이 후보들을 들러리 세우고 밀실에서 순번을 매겼다며 이의를 제기하고, 순번 발표 이후 당직과 후보직을 모두 내던진 이도 있었다. 20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새로운미래 비례대표 후보는 12명으로 줄었다. 지난 18일 공개한 비례대표 후보는 총 13명이었는데, 비례 순번 12번을 받았던 김효은 새로운미래 선임대변인이 사퇴하면서다. 김 대변인은 이날 통화에서 어제 공개오디션 등의 점수 공개와 투명한 심사를 요구하는 이의신청을 당 공천관리위원회에 했다며 비례대표 후보와 대변인직에 대해서도 구두로 사퇴 의사를 표명했다고 했다. 새로운미래는 지난 15일 국회에서 비례대표 후보 선출을 위한 공개오디션을 진행했다. 비례대표 후보들은 각 500만원씩 비용을 내고 이 공개오디션에 참가했다. 조기숙 새로운미래 공천관리위원장은 공개오디션과 관련해 상향식 공천을 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도입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공개오디션은 자유 형식으로 후보들이 정견발표를 하고 공관위원과 시민배심원단이 5분씩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비례대표 후보에 대한 평가 비중은 공관위원 40%, 시민배심원단 30%, 당원투표 30%다. 그러나 비례대표 후보들은 공개오디션에 대한 점수나 순위 등을 전혀 전달받지 못했다며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김 대변인 외에도 비례대표 7번을 받은 홍서윤 전 KBS 장애인 앵커와 9번을 받은 서효영 국제변호사도 공개오디션 점수를 공개하라며 재심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새로운미래의 지지부진한 지지율이 후순위 비례대표 후보들의 불만을 자극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 새로운미래 비례대표 후보는 새로운미래는 큰 정당하고는 다르다. 비례대표 당선이 한두 명 될까 말까인데 과정까지 투명하지 않은 것 아닌지 의문이라고 했다. 후순위를 받은 다른 후보는 1차 합격자 중에서도 공개오디션에 참여하지 않는 이들이 있었고, 13명 최종 명단 역시 후보 사퇴로 기존의 15명에서 줄어든 것으로 알고있다고 했다. 새로운미래 관계자는 이의신청이 접수돼 절차대로 내용을 확인하고 내부 논의를 거치게 될 것이라고 했다.[[https://www.seoul.co.kr/news/politics/congress/2024/03/20/20240320500078|#]] [[https://m.yna.co.kr/view/MYH20240323008700641|#]] [[https://biz.heraldcorp.com/view.php?ud=20240320050829|#]] 22대 총선에서 3%는 커녕 1.7%로 비례대표 의석 획득에 실패, 아무도 국회에 입성하지 못하며 비례대표 순번 논란은 해프닝으로 끝이 났다 == 연대설 == * [[원칙과 상식]] * 2024년 1월 11일, 이낙연 전 총리와 [[원칙과 상식]] 소속 의원들이 비공개로 회동하여 논의를 나눴으나 이견이 있어 일단 각자 행보를 밟기로 했다고 전해졌다.[[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40112/123017179/1|#]] 2월 4일 중앙당 창당대회를 통해 통합을 논의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275012?sid=100|#]] 1월 28일 공동 창당을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243/0000055737?type=breakingnews&cds=news_my_20s|#]] 이후 원칙과 상식 계열이 만든 [[미래대연합]]를 [[새로운미래-미래대연합 통합|흡수통합했으나]], [[원칙과 상식]] 멤버 중 탈당한 조응천, 이원욱이 이탈해 김종민만 합류하며 1석 확보에 그쳤다. * [[개혁신당]] * [[국민의힘]] 내에서 탈당하여 [[개혁신당]]을 창당할 예정인 [[이준석]] 전 대표와 연대한다는 설도 있었다. * [[이낙연]] 전 총리는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를 향해 "함께 해야한다."라고 말하며, 제3지대 정당의 세력규합을 이야기했다. * [[개혁신당]]의 주도 세력인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1월 12일 자신이 이낙연 대표가 탈당을 선언하기 전에 요청을 하여 만나서 얘기를 나눴으나, 전혀 이야기할 내용도 없었을 정도로 진전이 없었다고 말했다.[* 기껏해야 알아낸 것은 이낙연 대표의 일정이었으나, 그것마저도 자신에게 해준 이야기와 틀려 사실상 서로간의 신뢰가 완전히 없는 상태라고 말하였다.] * 한편 이낙연이 [[유승민]]에게도 러브콜을 보냈지만, 유승민 측에서는 "오해를 살 수 있다"며 이낙연의 러브콜을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m.upinews.kr/newsView/1065609833454563|#]] * 이준석과의 연대를 언론 등에서 '낙준연대' 혹은 '낙석연대'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이준석 위원장은 "멸칭에 가깝다고 본다"며 이낙연과 이준석의 성을 딴 '[[리쌍|리쌍 브라더스]]'로 불러달라고 하기도 했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124760.html|#]] * 결국 2월 9일 새로운미래는 새로운선택, 원칙과 상식 무소속 잔류파와 같이 개혁신당으로 합류했다가 2월 20일에 갈라지면서 결과적으로 조응천, 이원욱은 개혁신당에 잔류를 선택했다. 결국 개혁신당과 연대는 무산됐다. * [[새로운선택]] * 앞에서 언급한 [[한국의희망]]과 비슷하게 [[새로운선택]]이 [[개혁신당]]과의 연대도 사실상 검토중이고, 두 세력 모두 [[더불어민주당]]에서 탈당한 인사들이 창당한 정당이기 때문에[* 비명계 신당은 [[이낙연]], [[새로운선택]]은 [[금태섭]]이 창당한 정당이다.], 연대할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이 신당이 시간적 문제로 인해 창당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아예 새로운선택에 합류하거나 거꾸로 새로운선택이 이 신당에 합류할 가능성도 꽤 있다.[* 이 신당엔 [[이낙연|거물급]]이라도 있는 반면, 새로운선택엔 거물급 후보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혁신당에 잔류했다. * [[민생당]]([[기후민생당]])[* [[이관승]], [[김정기]] 등] * 같은 제3지대란 공통점이 있는데다, 호남이란 공통 뿌리가 있는 만큼, 이들의 합류도 가능하다. 실제로 창당발기인대회 당시 [[이관승]] 현 민생당 대표도 창당발기인으로 참여했고, 새로운미래 전북도당 창당 과정에서 접촉했다.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4011811000967784|#]][[https://www.news1.kr/articles/5303685|#]] 창당대회에서는 [[임동순]]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이후 민생당 출신 당원 다수가 새로운미래에 입당했다. [[https://twitter.com/saemirae2401/status/1767186956147118084|#]] == 지지 기반 == 현재 지지 기반이라 할 만한 곳은 [[이낙연]] 전 총리가 과거 4선을 지냈던 전남이나 직접 출마한 광주정도겠지만, 전남을 포함한 호남 대권주자 지지율/정당 지지도에서 이낙연 전 총리가 다른 지역과 비교해 그리 높은 것도 아니기 때문에 지지 기반이 빈약하다고 할 수 있다. [[https://v.daum.net/v/20231226170043175|#]] 갤럽 기반으론 1~2% 정도에 그쳤으며 [[https://www.gallup.co.kr/dir/GallupKoreaDaily/Graph/Daily_576_12_2.png|#]], 뚜렷하게 강세인 지역도 없다. 심지어 호남에서조차도 '''3%'''에 그쳤을 정도.[* 다만, 비례대표 후보 지지도에서는 7% 정도 기록했다.] 당장은 비례대표 봉쇄조항 3%를 넘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그래도 약간의 호재라면 창당 초기에 비해서는 미약하지만 여론조사상 조금씩 지지율이 상승하고 있고 민주당 강세 지역인 [[세종시 갑]]의 민주당 공천 취소로 인해 [[김종민(1964)|김종민]] 후보로 어부지리 야권 단일화가 된 상황이 있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민주당+조국혁신당과 국민의힘 쪽으로 확실하게 표심이 갈린 데다 나머지 지분은 이준석이 이끄는 [[개혁신당]]에서 가져가며 세종 갑 빼고는 단 한 석도 얻지 못헀다. 비례에선 더더욱 참혹한데, 출구조사 기준 30대 여성에서 6%를 얻은 걸 제외하면 전부 1~2%대에 그쳤으며, 대부분 지역에서도 1~2% 정도로 저조했다. 그나마 이낙연의 정치기반인 광주, 전남에서 3~4%의 비례 득표율을 얻은 것이 유의미한 성과다.[* 다만 엄밀히 말하자면 이것도 성과라고 보긴 어려운게, 국민의미래 비례 지지율이 광주, 전남에서 5~6%다. 이 지역은 5.18 등을 이유로 전두환의 [[민주정의당]] 이후로 보수 정당의 지지율이 굉장히 낮은 지역인데, 그보다 지지율이 더 낮은 것이다(...)] == 지지율 == [include(틀:한국갤럽 2024년 정당지지율)] [include(틀:리얼미터 2024년 정당지지율)] [include(틀:전국지표조사 2024년 정당지지율)] [include(틀:한길리서치 2024년 정당 여론조사)] [include(틀:여론조사꽃 전화면접 2024년 정당지지율)] == 선거에서의 유불리 == == 시도당 현황 == * 서울시당 * 부산시당 * 인천시당 * 광주시당 * 대전시당 * 경기도당 * 강원도당 * 충북도당 * 전북도당 * 경북도당 == [[/다른 정당과의 관계|다른 정당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새로운미래/다른 정당과의 관계)] == 둘러보기 == [include(틀:새로운미래 관련 문서)] [include(틀:대한민국의 정당)]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 [include(틀: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의 계파 역사)] [include(틀: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이낙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22대 국회의원 선거/주요 변수/제3지대론, version=865)][[분류:새로운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