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항공사)] [include(틀:스카이팀)] ||<-4><:>[[파일:상하이항공 로고.svg|width=100%]] || ||<-4><#DE0038><:> '''{{{#ffffff 상하이항공[br]上海航空有限公司[br]Shanghai Airlines}}}''' [br] || || '''[[IATA]]''' [br] FM || '''[[ICAO]]''' [br] CSH ||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코드] [br] 6D || '''[[콜사인]]''' [br] SHANGHAI AIR || ||<-2> '''항공권 식별 번호''' ||<-2>774 || ||<-2> '''설립일''' ||<-2>[[1985년]] [[12월 30일]] || ||<-2> '''허브 공항''' ||<-2>[[상하이 홍차오 국제공항]] [br] [[상하이 푸동 국제공항]] || ||<-2> '''보유 항공기 수''' ||<-2>91 || ||<-2> '''취항지 수''' ||<-2>140 || ||<-2> '''항공 동맹''' ||<-2>[[스타얼라이언스]](2007~2010)[br][[스카이팀]](2011~) || ||<-2> '''지배 구조''' ||<-2>중국동방항공 100% || ||<-2> '''모기업''' ||<-2>[[중국동방항공|[[파일:중국동방항공 로고.svg|width=80]]]] || ||<-2> '''링크''' ||<-2>[[http://www.ceair.com/fm.html|[[파일:중국동방항공 로고.svg|width=80]]]][br][[https://kr.ceair.com/ko/|한국 공식 사이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상하이항공B787-9.jpg|width=100%]]}}}|| || [[보잉 787 드림라이너|B787-9]]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동방항공]]의 자회사 중 하나다. [[1985년]]에 설립된 [[중국]] 최초의 유한합자 형태의 [[항공사]]다. 원래 2007년 [[중국국제항공]]과 함께 [[스타얼라이언스]]에 가입되어 있었으나 2010년 스타얼라이언스를 탈퇴하고 [[중국동방항공]]과 합병되어 2011년에 [[스카이팀]]의 정식회원이 되었다. 한편, 미국의 [[컨티넨탈 항공]]은 2009년에 [[유나이티드 항공]]에 합병되기 전에 스카이팀에서 스타얼라이언스로 갈아탔다. [[마일리지]]는 [[중국동방항공]]의 [[중국동방항공#s-2.1|동방만리행]](Eastern Miles)을 같이 사용한다. [[대한민국]]에 취항 중임에도 불구하고 승무원들 대다수가 한국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하거나 아주 기본적인 인삿말밖에 할 줄 모르며, 안내방송도 대부분 중국어 혹은 중국어+영어만 나오기 때문에 영어에 익숙치 않은 사람은 이 항공사 이용을 고려 시 참고해야 할 사항이다.[* 모(母)회사인 중국동방항공 또한 별반 다르게 않은것이 기내자재나 이런부분에서는 조금 더 나을지는 몰라도 한국인이 많이 탑승하는 항공편이 아닌한 승무원들은 다 한국어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며 "식사", "안전벨트", "물" 이런 간단한 어휘만 구사할수 있는 수준이다] 다만 2018년 6월 기준으로 인천-[[푸동 국제공항|푸동]], 김포-[[홍차오 국제공항|홍차오]] 노선에서는 한국인 승무원이 한명씩 탑승하고 있다. 상업 운항용 [[보잉 757]]을 마지막으로 인도받은 항공사이다. 하지만 2015년에 모두 퇴역시켰다. 2018년 9월에는 [[보잉 787 드림라이너|보잉 787-9]]를 도입했다. 보잉 787용 엔진은 [[중국남방항공]], [[샤먼항공]]처럼 [[제너럴 일렉트릭 GEnx|GEnx]]를 쓰는 모양.[* 참고로 [[중국동방항공]]은 [[롤스로이스 Trent|트렌트]]를 많이 쓰는 항공사다.--이쪽도 트렌트 1000의 악명을 아는 모양이다--] 현재 국내선에 주력 투입되고 있고, 부다페스트, 쿠알라룸프르, [[김포국제공항|김포]]에도 투입된다! == 대한민국 노선 == 아래 노선들은 거의 전부 다 '''[[중국동방항공]]의 [[코드셰어]]가 붙어 있다'''. 실제로 중국동방항공의 미주, 유럽, 호주 방면 장거리 노선들과 연계 운행하기도 한다. 심지어 부산출발의 경우 중국동방항공이 아닌 [[에어 프랑스]]나 [[KLM 네덜란드 항공]]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상하이항공 Stock으로 발권이 불가능하며 무조건 중국동방항공을 통해서만 예약 및 발권이 가능하다. (이는 [[에어 차이나]]의 자회사인 [[선전항공]]도 마찬가지이다.) ||<|2>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상하이]]-[[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 '''[[상하이 홍차오 국제공항|상하이]]발 [[김포국제공항|김포]] 도착(FM823)''' || '''[[상하이 홍차오 국제공항|상하이]]행 [[김포국제공항|김포]] 출발(FM824)''' || || 18:50 || 19:50 || ||<|2>'''[[상하이 푸동 국제공항|상하이]]-[[인천국제공항|서울(인천)]]'''|| '''[[상하이 푸동 국제공항|상하이]]발 [[인천국제공항|인천]] 도착(FM827)''' || '''[[상하이 푸동 국제공항|상하이]]행 [[인천국제공항|인천]] 출발(FM828)''' || || 17:25 || 18:10 || ||<|2>'''[[상하이 푸동 국제공항|상하이]]-[[김해국제공항|부산]]'''|| '''[[상하이 푸동 국제공항|상하이]]발 [[김해국제공항|부산]] 도착(FM829)''' || '''[[상하이 푸동 국제공항|상하이]]행 [[김해국제공항|부산]] 출발(FM830)''' || || 16:50 || 17:50 || ||<|2>'''[[장자제공항|장자제]]-[[김해국제공항|부산]]'''|| '''[[장자제공항|장자제]]발 [[김해국제공항|부산]] 도착(FM871)''' || '''[[장자제공항|장자제]]행 [[김해국제공항|부산]] 출발(FM872)''' || || 15:15 || 16:15 || FM823/824편에 보잉 787이 투입될 때에는 프리미엄 이코노미석을 운영하지만 퍼스트 클래스는 운영하지 않는다. == 보유 기종 == ||[[에어버스 A330]]-300||1|| ||[[보잉 737]]-700||6|| ||[[보잉 737]]-800||71|| ||[[보잉 737]] MAX 8||11[* 주문: 4대]|| ||[[보잉 787]]-9||7[* 주문: 3대]|| ||합계||104|| == 사건/사고 == [[2019년]] [[9월 7일]] [[상하이 푸동 국제공항]]을 출발해 [[김해국제공항]]으로 향하던 FM829편 [[보잉 737]]-800(B-1949)가 착륙을 허가받은 활주로 18R이 아닌 허가받지 않은 활주로인 18L에 [[선회접근]]하여 착륙한 항공기 준사고가 있었다. 연관 부대인 [[제5공중기동비행단]]은 복행을 명령하였으나 계속 접근하고 있어서 결국 18L 활주로에 착륙하도록 냅둔 뒤 그 활주로에 착륙하게 했고, 다행히 활주로에 아무도 없어서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상황은 면했다. [youtube(_ASbZ_pr4qY)] == 여담 == 중국의 항공사이기 때문에 '''[[북한이탈주민]]'''은 이 회사를 일체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자세한 사유에 대해서는 [[북한이탈주민#국외여행시 유의사항|해당 문서의 이 문단]]을 필독할 것. 다만, 대한민국에서는 [[동북 3성]]을 경유하는 항공편이 없으므로 이미 미국이나 제3국 국적을 취득하였다면 이용해도 큰 문제는 없겠지만 대한민국 국적 탈북자에게는 경찰들의 위협을 당할 수도 있으므로 이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분류:중국동방항공]][[분류:중국의 항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