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상하이 드래곤즈)] [include(틀:상하이 드래곤즈/역대 시즌)] [목차] == 오프시즌 == ||<-2> '''영입''' ||<-2> '''방출''' || || [[토론토 디파이언트|[[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width=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0]] '''Heesu[br][[정희수(프로게이머)|정희수]]''' ||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0]] ---'''BEBE[br][[윤희창]]'''--- || || [[O2 BLAST|[[파일:O2 BLAST 2019 logo.png|width=30]]]]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0]] '''Viper[br][[이정웅(프로게이머)|이정웅]]''' || ''FA''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0]] '''WhoRU[br][[이승준(프로게이머)|이승준]]''' || || [[뉴욕 엑셀시어|[[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width=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0]] '''GangNamJin[br][[강남진(프로게이머)|강남진]]''' ||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0]] ---'''Fleta[br][[김병선(프로게이머)|김병선]]'''---[* TANK로 포지션 변경] || || ''은퇴''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0]] '''diem[br][[배민성]]'''[* DPS에서 SUP으로 포지션 변경] || ''FA''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0]] '''Fate[br][[구판승]]''' || || || || [[서울 다이너스티|[[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width=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0]] '''Void[br][[강준우(프로게이머)|강준우]]''' || || || ||<|2> [[보스턴 업라이징|[[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0]] '''LeeJaeGon[br][[이재곤(프로게이머)|이재곤]]''' || || ||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0]] '''IZaYaKI[br][[김민철(2000)|김민철]]''' || || || || [[애틀랜타 레인|[[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0]] '''LIP[br][[이재원(2001)|이재원]]''' || 저번 시즌 중도에 문병철 감독이 몇몇 선수들은 이번 시즌이 마지막 시즌이라는 뉘앙스의 발언을 한 적이 있어 오프시즌에 로스터 변동이 예상되었고, 시즌 종료 후 문감독의 발언과는 별개로 블리자드-넷이즈 간 계약 종료로 블리자드 게임이 중국에서 철수함에 따라 중국 4팀의 향후 거취가 불분명해지게 되었다. 이 여파 때문인지 모든 선수들과 코감진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이후 문감독이 재계약으로 돌아왔다. 탱커로 포지션을 바꾼 [[김병선(프로게이머)|플레타]]와 힐러로 포지션을 바꾼 [[배민성|디엠]]과 재계약하며 모험적인 영입을 발표했다. == 정규시즌 == ||<-6> '''{{{#fce300 상하이 드래곤즈 2023 시즌 정규시즌 성적}}}''' || || {{{#000 스테이지}}} || {{{#000 승-패}}} || {{{#000 순위(동부)}}} || {{{#000 세트득실}}} || {{{#000 토너먼트}}} || || 스프링 스테이지 || '''{{{#eb0000 1-4}}}''' || 6 || -9 || 넉아웃 진출 || || 스프링 스테이지 - 넉아웃 ||<-4> '''{{{#eb0000 패자 1라운드 탈락}}}''' || || 미드시즌 매드니스 ||<-4> '''{{{#eb0000 미진출}}}''' || || 서머 스테이지 || '''{{{#008600 4-4}}}''' || 5 || 0 || 넉아웃 진출 || || 서머 스테이지 - 넉아웃 ||<-4> '''{{{#eb0000 플레이-인 진출}}}''' || || 정규 시즌 성적 || '''{{{#eb0000 5-8}}}''' || 6 || -9 || 플레이-인 탈락 || ||<-6> '''{{{#0000eb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을 경우, '''{{{#eb0000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을 경우, '''{{{#008600 초록 글씨}}}'''는 승패마진이 1 이하일 경우다. || 개막 직전인 4월 25일, [[김승현(2000)|ir1s]]의 영입이 발표되었고 그 다음 날 [[배민성|diem]]이 건강 문제를 이유로 팀과 계약을 해지했다. === 스프링 스테이지 === * '''퀄리파이어''' 1) vs. HZE - 0:3 패 2) vs. INF - 0:3 패 3) vs. DYN - 3:1 승 - POTM: [[이정웅(프로게이머)|Viper]] 4) vs. DAL - 0:3 패 5) vs. GZC - 1:3 패 1승 4패의 서울 다이너스티와 함께 최악의 성적표를 얻고 몰락하였다. 항상 1위를 하거나 상위권에 머물렀던 상하이로서는 정말 오랜만에 받아들이는 최악의 성적이기에 더욱 충격이 클 듯. 서울은 이겼지만 승패득실 1점 차이로 동부 꼴찌 자리를 차지했다. 동부는 6팀 모두 넉아웃에 진출하지만 이대로 가면 넉아웃 광탈이 유력해 보인다. ------ * '''넉아웃''' 1) 승자 1라운드 vs. [[Sin Prisa Gaming|SPG]] - 2:3 패 2) 패자 2라운드 vs. [[O2B]] - 0:3 패 아니나다를까 컨텐더스 두 팀에게 연달아 패하며 체면을 완전히 구겼다. === 서머 스테이지 === * '''퀄리파이어''' 1) vs. DYN - 3:1 승 - POTM: [[이정웅(프로게이머)|Viper]] 2) vs. DRM - 1:3 패 3) vs. DAL - 1:3 패 4) vs. PKF - 3:1 승 - POTM: [[김승현(2000)|ir1s]] 5) vs. HZS - 1:3 패 6) vs. GZC - 3:1 승 - POTM: [[김승현(2000)|ir1s]] 7) vs. INF - 1:3 패 8) vs. O2B - 3:1 승 - POTM: [[이정웅(프로게이머)|Viper]] 특이사항으로 모든 경기가 3:1에 승4 패4 ±0로 균형을 이뤘다.(...) 서머 스테이지에서 나락을 가버린 광저우보다 성적은 좋지만 승점을 못 버는 바람에 동부 꼴찌는 확정. ------ * '''넉아웃''' 1) 승자 1라운드 vs. SPG - 1:3 패 2) 패자 1라운드 vs. SPG - 2:3 패 Sin Prisa Gaming만 두 번 만나며 두 번 다 패배해 서머 넉아웃마저 광탈했다. == 포스트시즌 == === 플레이-인 === 1) 승자 1라운드 vs. DAL - 0:3 패 2) 패자 1라운드 vs. GZC - 2:3 패 [[분류:상하이 드래곤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