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브라질의 도시철도]][[분류:1974년 개업한 철도 노선]] [include(틀:상파울루 지하철)] ||<-4> [[파일:Metrô-SP_logo.svg.png|width=250]]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SP 지하철 1호선 로고.png|width=45]]||{{{#0052A1 '''상파울루 지하철 {{{+1 1호선}}}'''[br]{{{-1 Metrô de São Paulo}}} Linha 1[br]{{{-1 São Paulo Metro}}} Line 1}}} || }}} || ||<-4> {{{#white '''노선 정보'''}}} || || '''분류''' || [[도시철도]] || || '''기점''' || [[투쿠루비역]] || || '''종점''' || [[자바콰라역]] || || '''역 수''' || 23개 || || '''상징색'''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52A1;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AZUL {{{-2 (#0052A1)}}}}}}}}} || || '''개업일''' || 1974년 9월 17일 || || '''소유자''' || 상파울루 주정부 || || '''운영자''' || [[상파울루 메트로]] || || '''차고지''' || 자바콰라 차량기지 || || '''사용차량''' || ALSTOM E,G[br] Siemens I[br]Bombardier J || ||<-4> {{{#white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3> 20.2km || || '''궤간''' || 1,600mm || || '''사용전류''' || 직류 750V || || '''운영속도''' || 87Km/h(최대)[br]32km/h(평균) || || '''신호체계''' || [[CBTC]] || [목차] || [youtube(N1TSUQeJ1PI&t)] || || 주행영상 || [clearfix] == 개요 == 상파울루 북부 투쿠루비역과 남부 자바콰라 역을 거의 일직선 형태의 남북으로 잇는 [[브라질]]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 == 노선 == || [[파일:Linha-1-Azul-576x1024.png]] || 파란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하는 것. || {{{#ffffff 역기호}}} || {{{#ffffff ㎞}}} ||<-2> {{{#ffffff 역명}}} || {{{#ffffff 승강장}}}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소재지}}} || || TUC || 0.0 || [[투쿠루비역]] || Tucuruvi || │■│ || ||<|2> 투쿠루비 || || PIG || 0.9 || [[파라다잉글레사역]] || Parada Inglesa || │■│ || || || JPA || 1.9 || [[자딤상파울루-아일톤세나역]] || Jardim São Paulo–Ayrton Senna || ■││■ || ||<|4> 산타나 || || SAN || 3.2 || [[산타나역]] || Santana || |■| || || || CDU || 3.9 || [[카란디루역]] || Carandiru || |■| || || || TTE || 4.7 || [[포르투게자-치에테역]] || Portuguesa–Tietê || |■| || || || PPQ || 5.9 || [[아르메니아역]] || Armênia || |■| || ||<|2> 봉헤찌로 || || TRD || 6.6 || [[치라덴치스역]] || Tiradentes || |■| || || || LUZ || 7.2 || [[루즈역]] || Luz || │■││■ | || [[파일:상파울루 메트로 간단로고.png|width=15]] [[파일:SP 지하철 4호선 로고.png|width=15]] [[4호선]][br] [[파일:CPTM 로고 간단1.png|width=15]] [[파일:SP 지하철 7호선 로고.png|width=15]][[7호선]], [[파일:SP 지하철 11호선 로고.png|width=15]][[11호선]], [[파일:SP 지하철 13호선 로고.png|width=15]][[13호선]] || 헤푸블리카 || || BTO || 8.1 || [[상벤투역]] || São Bento || ■││■ || ||<|3> 쎄 || || PSE || 8.7 || [[쎄역]] || Sé || │■││■│ || [[파일:상파울루 메트로 간단로고.png|width=15]] [[파일:SP 지하철 3호선 로고.png|width=15]] [[3호선]] || || LIB || 9.2 || [[자팡-리베르다지역]] || Japão–Liberdade || |■| || || || JQM || 10.0 || [[상조아킴역]] || São Joaquim || |■| || ||<|2> 리베르다지 || || VGO || 10.8 || [[베르게이로역]] || Vergueiro || |■| || || || PSO || 11.5 || [[파라이소역]] || Paraíso || |■| || [[파일:상파울루 메트로 간단로고.png|width=15]] [[파일:SP 지하철 2호선 로고.png|width=15]] [[2호선]] ||<|4> 빌라마리아나 || || ANR || 12.2 || [[아나호사역]] || Ana Rosa || ■││■ || [[파일:상파울루 메트로 간단로고.png|width=15]] [[파일:SP 지하철 2호선 로고.png|width=15]] [[2호선]] || || VMN || 13.1 || [[빌라마리아나역]] || Vila Mariana || |■| || || || SCZ || 14.3 || [[산타크루즈역]] || || |■| || [[파일:상파울루 메트로 간단로고.png|width=15]] [[파일:SP 지하철 5호선 로고.png|width=15]] [[5호선]] || || ARV || 15.6 || [[프라사지아르보리역]] || Praça da Árvore || |■| || ||<|3> 사우지 || || SAU || 16.5 || [[사우지역]] || Saúde || |■| || || || JUD || 17.3 || [[상주다스역]] || São Judas || |■| || || || CON || 18.5 || [[콘세이상역]] || Conceição || |■| || ||<|2> 자바콰라 || || JAB || 20.2 || [[자바콰라]] || || |■| || || == 역사 == [[상파울루시]] 북부의 산타나와 과를류스를 잇는 지하철 계획은 엔지니어 안토니우 카를로스 카르도소에 의해 [[1928년]] 제시되었다 이듬해인 주제 피레스 두 히우 상파울루시장은 카르도소의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진행하려 했지만 [[대공황]]이 불어닥치는 바람에 전면 백지화 되었다. 이후 [[1945]]년 엔지니어 마리오 로페즈 레앙이 상파울루 지하철 계획을 다시 고안하여 프라사 두 쎄(Praça da Sé) 에서 자바콰라(Jabaquara)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을 제시하였지만 상파울루시에겐 다른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상파울루시]]는 기존의 철도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던 서남쪽의 Santana-Moema 선을 이용하길 원했는데, 굳이 동남쪽의 자바콰라까지 연결하는 지선을 만들이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때 상파울루 주 정부는 [[1870년]] 이후 75년만에 트램과 버스 요금을 인상했는데 이에 분노한 시민들이 [[1947년]] 트램과 버스를 불태우는 등 사회적 혼란이 야기되었다. 시장은 사임을 발표하였고, 시정에 공백이 생기면서 다시 한번 지하철1호선 계획은 무산될 수 밖에 없었다. 이후 1956년 상파울루시의회는 [[SP Trans]]의 전신인 시영 대중교통 회사(CMTC)에 새로운 지하철 계획을 세워줄 것을 요구했으며. 지금의 남과 북을 잇는 형태와는 다르게 남부와 북동부를 잇는 노선이 낙점되었다 이후 국제 입찰을 통해 서독의 알베그사가 선정되었으나, 이번에는 상파울루 주 정부가 계약의 타당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계약서에 사인도 못해보고 계획이 보류되었다. 만약 아무런 문제 없이 지하철 1호선이 만들어졌다면 남아메리카 최초의 [[모노레일]]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1966년]] 프라이아 리마 시장은 지하철 계획을 다시 수립하기 위해 광역권 이사회(Grupo Executivo do Metropolitano;GEM)을 발족했다. 지금까지 제시된 여러 프로젝트를 참고해 남과 북을 잇는 노선을 최종적으로 확정지었고, [[1968년]] 12월 14일 첫 삽을 뜨면서 공사가 시작되었다. === 공사연혁 === || [[파일:1968년 히우 지 자네이루 관보.png]] || || 착공을 알리는 [[관보]] {{{#!folding 포르투갈어, 한국어 번역본 [ 펼치기 · 접기 ] * 포르투갈어 원문 ''''O METRO COMEÇA HOJE!'''' '''14.12.68''' Afinal, o METRO. Sonho de 40 anos. Feliz realidade que principa a existir. Coroamento de todo um enorme acévo de realizações que definem a Nova São Paulo. Trata-se do mais complexo projeto de engenharia urbana de todo o Pais. Resilverá, de vez, o problema de transporte para toda a população. '''Será dos mais modernos do mundo! Em tudo!''' É natural que comecemos a nos orgulhar, desde já do METRO que a nossa cidade terá. '''O inicio das obras será às 10 horas da manha, na Av. Jabaquara, altura do n.o 1500.''' '''- VOCÊ ESTÁ CONVIDADO!''' '''Comparaça. Leve a familia, Vá com sua máquina fotográfica e retrate ésse acontecimento maiúsculo. Guarde uma recordação désse singular momento histórico: O INÍCIO DAS OBRAS DO METRO DE SÃO PAULO!''' '''COMPANHIA DO METROPOLITANO DE SÃO PAULO-METRO''' ADMINISTRAÇÃO FRAIA LIMA * 한국어 ''' 지하철이 오늘 시작됩니다! ''' ''' 1968년 12월 14일 ''' 드디어. 지하철. 40년의 꿈. 이 행복한 현실이 다가왔습니다. 새로운 상파울루를 정의하는 방대한 업적을 장식하게 됩니다. 브라질에서 가장 복잡한 도시공학 계획. 상파울루 전체 주민의 교통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 나아가 세계에서 가장 현대적인 지하철이 될 것입니다!''' ''' 작업 시작은 아베니다 자바콰라에서 오전 10시에 시작합니다.''' ''' - 당신을 초대합니다! ''' ''' 비교해보세요, 카메라를 들고 가족과 함께 방문하여 이 중요한 순간을 남기세요. 상파울루 지하철 1호선 기공식이라는 독특한 역사의 순간을 기억하세요!''' ''' 상파울루 광역 교통회사 ''' 프라이아 리마 시정 }}} || || 구간[* 계획은 총 11개 구간으로 나뉘어 실행했기 때문에 착공일 순서가 아닌 구간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 착공일 || 준공일 || || 1[br][[산타나역]] - [[폰치페케나역]] || [[1969년]] 7월 5일 || [[1975년]] 9월 26일[* [[쎄역]]은 1978년 개통하였음] || || 2[br][[루즈역]] || [[1972년]] ||<|4> [[1975년]] 9월 26일 || || 3[br][[상벤투역]] - [[쎄역]] || [[1969년]] 2월경 || || 4[br][[리베르다지역]] - [[베르게이루역]] || [[1971년]] 5월경 || || 5[br][[파라이수역]] || [[1971년]] 12월 3일 || || 6[br][[아나호자역]] - [[빌라마리아나역]] || [[1969년]] 10월경 || [[1974년]] 9월 14일 (빌라마리아나역)[br][[1975년]] 9월 26일 (아나호사역) || || 7[br][[산타크루즈역]] - [[프라사지아르보리역]] ||<|2> [[1968년]] 12월 14일 ||<|3> [[1974년]] 9월 14일 || || 8[br][[사우지역]] - [[상주다스역]] || || 9[br][[콘세이상역]] - [[자바콰라역]] || [[1969년]] 7월 17일 || || 10[br]자바콰라차량기지 || [[1973년]] || [[1976년]] || || 11[br][[파라이소역]] - --모에마역-- ||<-2> 취소됨 || === 개통 이후 === || [[파일:Faria_Lima_nas_obras_do_Metro_(1968).jpg|width=80%]] || [[파일:Inauguração_do_Metrô_de_São_Paulo_(1974).jpg|width=80%]] || || 기공식에서 [[트랙터]]위에 서 있는 프라이아 리마 前 상파울루시장 || 준공후 열차를 시승하기 위해 이동하는 라우도 나텔 前 상파울루 주지사(오른쪽에서 두번째)와 미겔 콜라수오노 前 상파울루시장(오른쪽에서 세번째) || 최초 운행은 [[1974년]] 9월 14일에 [[자바콰라역]]과 [[빌라마리아나역]]사이 7Km구간을 운행[* 하지만 거의 [[시운전]] 수준이었으므로, 오전 10시부터 오후3시까지만 운행했다.]하면서 시작되었다. 안타깝게도 상파울루 지하철 1호선 계획을 진두지휘했던 프라이아 리마 前 시장은 [[1969년]]에 사망했기 때문에 준공을 보지 못하고 눈을 감았다. 이후 [[1976년]] 9월 26일 나머지 구간이 개통되면서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 30분까지 총연장 16.9km의 노선위 19개 역을 자유롭게 오가는 상파울루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었다. === 연장 === [[1980년대]] 중반부터 종점 [[산타나역]]에서 더 북쪽에 위치한 잔사낭지역까지 연장하려는 계획안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당시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브라질 경기가 처참해지면서 완전한 구간 공사는 물건너갔는데 버티고 버텨 공사하다 [[1998년]] [[투쿠루비역]]까지 구간을 완공하는데 그쳤다. 이후 30년이 지난 지금까지 당시 완공된 노선을 끝으로 더 이상 연장하지 않고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