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시내버스 회사)] [include(틀:문경여객 계열사)] [목차] == 설명 == 차고지가 경상북도 상주시 삼백로 379 (화개동)에 위치한 [[버스 회사]]로, 1991년 12월 25일 [[문경여객]] 상주시내사업부를 분리하여 설립했다. 홈페이지 : [[http://www.sjcitybus.kr/]]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jcitybus]] == 도색 == 입석버스 도색은 2014년까지는 옆동네 [[문경시 시내버스|문경]]과 [[의성군 농어촌버스|의성]]과 함께 [[경상북도 시내버스]] 공용 도색(흔히 말하는 구도색)을 사용했었다. 2015년부터 새로 들어온 신차는 계열사 문경여객에서 2013년에 [[용남고속]] 중고로 재도색하지 않고 도입한 입석 준저상버스와 동일한 [[경기도 시내버스|GBUS]] 입석도색이다.[* GBUS 입석도색은 경상북도에서 [[영양동행버스|영양여객]]의 '''자체 구매 신도색'''에서도 사용했다.(개선형 출시 이후 녹색 떡칠 도색으로 변경) 참고로 GBUS 마을버스 도색은 경상북도에서 [[군위교통]]의 [[현대 카운티|E-카운티 F/L]] 2011년식 2도어 모델 하남시 마을버스 업체인 은방울교통 중고차(2018년에 그린시티 개선형 좌석으로 조기대차)와 [[영덕버스]]의 [[자일대우버스 BS|BS090]] 2008~2010년식 '''자체 구매분'''에서 사용했다.] 지역에서는 [[코리아와이드 진안]]의 구형 도색이나 [[코리아와이드 경북]]의 도색과 비슷해서 [[시외버스]]로 혼동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이 진안고속 구도색과의 중복 때문인지 2016년 8월부터 버스 전후방에 시내버스라고 적어둔다.[* 더불어 상주시내버스 업체인 상주여객과 문경시내버스 업체인 [[문경여객]]은 동일한 대표이사가 운행하는 계열사이며, [[좌석버스]] 도색도 서로 같다. 그리고 [[경상북도]] 북부 지역에서 많이 쓰는 [[티머니]]를 공용한다.] 단, 좌석버스는 설립 당시부터 계열사 [[문경여객]]과 공용으로 쓰고 있는 도색으로 출고하고 있다. 기존 경북 구도색 입석형이 GBUS 입석도색으로 재도색되고 2019년부터 GBUS 입석도색에 붉은 줄이 추가되다가 10월부터 [[금아버스그룹]]과 비슷한 도색으로 변경되었으며, 금아버스그룹에서 분리된 경주 [[새천년미소]]가 [[좌석버스]]에 적용하는 것과 달리 입석버스에 적용한다. 2022년 9월 말 도입한 전기버스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와 패턴이 같은 푸른색의 도색을 적용했다. 배터리 상단옆에 상주여객이라고 적혀있는게 특징. == 차량 == 2009년 이전만 해도 [[자일대우버스]] 위주로 운용했지만 2009년부터 [[현대자동차]]도 운용하고 있으며, 자일대우버스는 2016년까지 출고했다. 계열사인 문경여객과 달리 설립 때부터 현대차와 자일대우버스를 혼용하는 가운데 자일대우버스를 조금 더 많이 이용했다.[* 한때 [[좌석버스]]는 전 차량 [[현대 RB버스|RB520]]으로 운행하고 [[자일대우버스 BS|BS105]]는 좌석버스로는 단 한대도 운행하지 않던 문경여객과 달리 오히려 상주여객은 RB520보다 BS105가 많았다.] 2012년 8월 31일부터 부산 회사인 [[일광여객]]에서 [[부산 버스 307|307번]]에 굴렸던 대우 BS106 F/L 좌석형을 도입하여 운용하다가 대차되었다. [[파일:external/blogfiles7.naver.net/pjDSC_0825.jpg|width=750]] [[http://blog.naver.com/n0308/220208365877|출처]] 2013년에는 [[용남고속]]에서 중고로 [[자일대우버스 BC|BC211M]]을 도입했다.[* 계열사 [[문경여객]]에서도 운용했으며 입석형은 상주여객은 경상북도 공용 입석 구도색으로 재도색, 문경여객은 '''경기도 도색 그대로''' 운용했고 좌석형은 상주여객/문경여객 둘 다 문경/상주여객 좌석버스 도색으로 재도색해 좌석버스 시트가 아닌 입석형 플라스틱 시트의 1열부분을 전부 2열로 개조하고 전 좌석에 안전벨트를 추가적으로 장착하고 삼각형 손잡이를 제거하였다.] 2019년에 차령 만료 후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으로 대차됐다. 한때 중형차량 위주로 투입했던 적도 있으나 다시 대형차량 위주로 투입하고 있다.[* 경상북도 시단위에서 [[영주시 시내버스|영주시]]를 제외한 지역의 공통 사항이다.][* 참고로 좌석형 차량 중 중간문이 있는 시내좌석형 옵션 차량은 대부분이 중형차량이며(일부 대형차량 존재) 중간문이 없는 중형좌석차량은 BM090밖에 없었으며, 계열사 문경여객과 더불어서 경북에서 마지막으로 굴린 BM090이였다. 대형 좌석버스의 경우 중간문 없이 [[시외버스]] 옵션으로 투입하고 있다.] 다만 2015년부터 [[현대 그린시티|그린시티]]와 [[자일대우버스 BS|NEW BS090]] 입석형 신차를 투입한다. 2017년 이후의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뉴 슈퍼 에어로시티 F/L]]의 경우 계열사인 [[문경여객]] 및 대구광역시, 경산시 소재 회사들처럼 로우백 시트+롱기어 조합을 사용한다. 같은 경북 북부지역의 안동과 예천, 경북 서부지역의 김천과 구미가 숏기어를 적용하는 것과 대비된다. 격벽은 안동, 예천과 달리 설치되어 있다. 설립 때부터 중고차 도입은 거의 없었으며[* [[일광여객]] 중고 [[자일대우버스 BS|BS106 F/L]] 전중문형 좌석버스와 [[용남고속]] 중고 준저상버스는 정말 의외의 경우다.] 대부분의 차량이 자체 출고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형차의 경우 대체로 2004~2005년에 들어온 차량이 많아 점점 대형차로 교체되는 중이다. 그리고 좌석버스의 경우 중간문이 없다. 2021년 내로 디젤 [[저상버스|초저상버스]] 1대를 운용할 계획이었으나 2022년에 경북 북부지역 최초로 전기 저상버스 2대를 도입하는 걸로 바뀌었다. 2022년 7월에는 그린시티 개선형 전문형 좌석형을 첫 도입했다. 2022년 9월 말, 전기버스를 경북 북부 최초로 도입했다. 차종은 일렉시티이며[* 당초 계획에는 중형 전기 저상버스를 투입할 계획이었으나 중간에 대형 전기 저상버스로 변경됐다.] [[상주시 시내버스/200번대#250번대|250번, 251번]]과 [[상주시 시내버스/500번대#550번대|552번]]에 각 1대씩 배차된다. 또한 상주 최초의 초저상버스이기도 하다. 2023년 11월 일렉시티 3대를 추가로 도입했다. == 면허 체계 == * 경북 70 자 '''67##'''호 === 현재 보유 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디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090 뉴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디젤]] === 과거 보유 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F|대우 BF101(Q) 디젤]] * [[자일대우버스 BF|대우 BF105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C|대우 BC211M 로얄하이시티 디젤]] ==== [[현대자동차]] ==== * [[현대 RB버스|현대 RB520 디젤]] [[분류:상주시 시내버스]][[분류:경상북도의 시내버스 회사]][[분류:1991년 설립]][[분류:문경여객 계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