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별궁과 궁가]][[분류:초수행궁]] [include(틀:조선의 별궁과 궁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상원사 관대걸이.jpg|width=100%]]}}} || || {{{#gold '''상원사 행궁의 유일한 흔적인 관대걸이'''}}}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조실록]]》 38권, 세조 12년 윤3월 17일 무자 2번째기사 1466년 명 성화(成化) 2년 [[상원사]]에 거둥하다.''' >----- >상원사(上院寺)에 거둥하니, 왕세자(王世子)가 효령 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영응 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물거윤(勿巨尹) 이철(李徹)·사산군(蛇山君) 이호(李灝)·영의정 신숙주(申叔舟)·상당군(上黨君) 한명회(韓明澮)·좌의정 구치관(具致寬)·인산군(仁山君) 홍윤성(洪允成), 중추부 동지사(中樞府同知事) 김수온(金守溫)·김국광(金國光), 이조 판서 한계희(韓繼禧)·호조 판서 노사신(盧思愼) 등과 더불어 수가(隨駕)하였다. '''임금이 행궁(行宮)에 돌아와서''' [[신숙주]]·한계희·노사신에게 명하여 문과 시장(文科試場)에 나아가서 참시(參試)하게 하였다. 조선 [[세조(조선)|세조]] 시기의 행궁. [[강원도]] [[오대산]]에 위치했다. 지금은 없다. == 상세 == 세조가 오대산 [[상원사]]에 올 때마다 사용했던 세조의 초수행궁이다. 현재 그 터가 전해지지는 않지만, 세조가 의관을 걸어두었던 관대걸이가 지금까지 전해지는 유일한 행궁의 유적이다. 행궁의 정확한 규모와 위치는 현재까지 확인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