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상용(上庸) 후한의 지명이다. 삼국지에서 논하는 상용은 원래 [[한중]]군 동부 산간지역으로 현재 [[산시성(섬서성)|산시성]] [[안캉]]시인 서성현, [[후베이성]] [[스옌]]시 주산현(竹山縣)인 상용, 팡현(房县)인 방릉을 말한다. 이 셋은 조조가 한중을 정벌하자 한중과 나뉘어 서성군(위흥군), 상용군, 방릉군(신성군)이 되었다. 촉한 시절에는 한중 동쪽에 있다고 동삼군(東三郡)이라 불렸으며 서진말 익주가 익주와 양주(梁州)로 나뉘면서 다시 양주에 속했다. 익주에 [[성한]]이 건국되면서 수많은 익주의 주민들이 한중군, 신성군, 위흥군 지역으로 이주했다. == 역사 == [[상나라]] 시절에는 이곳에 용(庸)나라가 자리잡았다.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가 용나라를 멸망시키고 이곳에 용현을 설치했는데, [[한중]]군에 속했다. 후한 말엽시절 조조가 이곳을 정벌하여 상용군이 되고, 이후 [[남북조시대]]에 죽산현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곳은 과거의 [[형주]]에 해당하는 후베이성에 속해 있지만, 원래 [[익주]]에 속한 곳이었다. [[파일:attachment/shangyong.png]] [[삼국지]] 시대에는 원래 [[장로]]와 연계되어 [[신탐]]이 지배하고 있었는데, 이후 유비가 [[한중]]을 탈취한 후, 신탐을 굴복시키고 [[맹달]]과 [[유봉]]으로 이곳을 지키게 하였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이곳은 [[장안]]의 바로 남쪽이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지만, [[촉나라]]가 형주를 잃은 후에 맹달이 [[위나라]]로 귀순하면서 이곳은 위나라의 영토가 된다. 이곳을 잃음으로써 촉나라는 장강의 수로를 이용하여 [[중원]]으로 보급할 수 있는 길이 막혀버렸고, 결국 [[제갈량]]은 북쪽으로 뚫어보려 하나 워낙 지형이 험하기 때문에 성공하지 못한다. 상용은 한중에서 형북지방을 잇는 대단히 중요한 요충지이다. 비록 형주는 잃었지만 상용이 다시 촉한의 영역이 된다면 굳이 진령산맥을 넘는 고생을 하지 않아도 상용에서 직접 남양을 노릴 수 있게 된다. 제갈량 사후 [[장완]]은 한중에서 한수방면으로 해서 상용, 형주 북부를 노리는 전략을 세워본다. 그러나 강물을 타고 내려가는 건 쉬워도 후퇴할 때 강을 거슬러 올라와야 하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하여 전략이 실행되지는 않았다. 위나라에서는 맹달의 반란 이후에는 신성군을 신설해 편입시켰다가 [[259년]]에 상용군으로 다시 분리시켰다. [[서진]] 멸망 후 옛 [[촉한]]의 영역에 들어선 [[성한]]은 한중을 차지했으나 [[남만]]에의 영향력도 거진 없는 약체였고 또한 이곳도 [[이웅]]에게 점령당하지 않았다. [[동진]]에게 멸망당할 때 상용 일대는 남조의 판도에 들어가게 되며, 북주가 [[익주]] 일대를 침탈하기 전까진 대체로 남조 영역에 들어가게 된다. == 관련 문서 == * [[삼국지/지명]] [[분류:삼국지/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