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자)] [목차] == 개요 == {{{+1 [[常]][[用]][[漢]][[字]]}}}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각 [[국가]]에서 규정하여 [[일상]] 생활에서 쓰도록 권장하는 따로 취사선택한 [[한자]]의 모음을 말한다. 상용한자는 전부 외우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한자의 방대한 자수를 고려, 한자 교육의 편의 및 일상에서 쓰이는 한자의 제한과 정자로의 통일을 위해 고안되었다. || '''국가 • 지역''' || '''상용한자 규정 자료''' || '''개수''' || || [[한국]] || 교육용기초한자 || 1800자 || || [[북한]] || 보통교육용한자 || 3000자 || || [[중국]] || 현대한어상용자표 || 3500자 || || [[홍콩]] || 상용자자형표 || 4759자 || || [[대만]] || 표준자체표 || 4808자 || || [[일본]] || 상용한자표 || 2136자 || == 각국의 상용한자 == === [[한국]] === * [[1951년]] 9월 [[문교부]]가 상용일천한자표(常用一千漢字表)라는 이름으로 [[교육]] 한자 1000자를 처음 제정한 것으로 시작하였다. * [[1957년]] 교육 한자 1000자에 새로운 한자 300자를 추가했고 이름도 임시제한한자일람표(臨時制限漢字一覽表)로 고쳤다. * [[1964년]]부터는 학교 교육에서도 쓰였다. * [[1970년]] 한글 전용 정책 때문에 일시적으로 폐지되었다. * [[1972년]] 8월에 교육용기초한자(敎育用基礎漢字)로 '''1800자'''가 부활하여 교육에 활용되었다. 그 뒤 교육용기초한자는 [[대한민국 교육부|교육인적자원부]]가 있던 시절에 약간의 수정하여 지금에 이르기까지 고정되었다. 법률용 한자까지 합치면 사용하는 한자는 4800자이다. 그 외에 교육용 기초한자와 여러 한자로 구성된 한자어 시험인 한국한자어능력인증시험이 있다. [[http://edu.chosun.com/hanja/index.action|한국한자어능력인증시험]] 한국의 상용한자는 교육용 한자 1800자를 말한다. 나무위키에서의 목록 일람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문서 참조. 일상에서는 덜 쓰여도 [[한문]] 교육에서 필요한 글자들 역시 교육용 한자에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乎]](어조사 호), [[焉]](어찌 언) 등은 비중이 적어 상용 1800자 안에 들어가기엔 많이 간당간당한 글자[* 乎는 「斷乎(단호)하다」 할때 쓰이고, 焉은 책 제목(예: 『나무위키의 終焉』)에 많이 쓰인다.]이지만 한문을 배울 때는 거의 처음에 등장하는 글자이다 보니 교육용 한자에 포함된다. 그 외에 수능 등 각종 한자 시험에서 출제 가능한 한자를 정할 때 이 표가 기준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상용한자의 기준은 어문회 기준으로 [[한자/급수별/3급|3급]] 이하이며[* 8~3급 배정한자 1817자 중 17자가 제외되어 있다.] 1~2급 한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쓰이면서도 상용한자에 실리지 않았다. 이는 [[한국어문회]]가 이 표를 기준으로 급수를 정했기 때문이다.[* 교육용 한자가 개정될 때 어문회 배정한자도 일부 개정되었다.] === [[북한]] === [[북한]]은 한국보다 한참 전부터 한글 전용 정책을 펼치고 있었으나 [[1964년]]에 다시 한자 정책이 부활하여 현재는 상용한자로 '''3000자'''가 규정되어 있다. === [[중국]] === 중국 상용한자의 수는 [[1988년]]에 제정된 현대한어상용한자표(现代汉语常用字表)의 상용자(常用字) 2500자와 차상용자(次常用字) 1000자를 합쳐서 '''3500자'''이다. 상용한자에는 [[간화자]] 2235자가 포함되었다. [[2013년]] 8월 28일에 [[중국]] 교육부에서 발표한 "통용규범한자표" 에서는 총 8105자를 선정하였다. 1급 한자(의무교육에서 알아야 할 필수 한자) 3500자, 2급 한자(출판물 등에 쓰이는 한자) 3000자, 3급 한자(인명, 지명 등 고유명사에 활용되는 한자) 1605자로 나뉜다. [[http://www.gov.cn/gzdt/att/att/site1/20130819/tygfhzb.pdf|통용 규범 한자 모음 (PDF 파일)]] 나무위키에서의 목록 일람은 [[통용규범한자표]] 참조. 아래의 하이퍼 링크는 중국 상용한자에 대한 읽기 자료(중국어)이다. *[[http://zh.wiktionary.org/wiki/%E9%99%84%E5%BD%95:%E7%8E%B0%E4%BB%A3%E6%B1%89%E8%AF%AD%E5%B8%B8%E7%94%A8%E5%AD%97%E8%A1%A8|현대한어상용한자표(위키낱말사전)]] *[[http://baike.baidu.com/view/490908.htm#8|현대한어상용한자표(바이두 백과)]] *[[http://zidian.911cha.com/changyongzi.html|현대한어상용한자표(신화자전)]] *[[http://humanum.arts.cuhk.edu.hk/Lexis/lexi-can/faq.php|상용한자사용빈도표]] *[[http://humanum.arts.cuhk.edu.hk/Lexis/chifreq|현대한어상용한자사용빈도통계]] *[[http://wenku.baidu.com/view/e146a551f01dc281e53af0a5.html|3500자(바이두 문고, 병음 표기) ①]] *[[http://wenku.baidu.com/view/b2d28fefe009581b6bd9eb9e.html?re=view|3500자(바이두 문고, 병음 표기) ②]] *[[http://www.zdic.net/z/zb/cc1.htm|2500자[한전(漢典)]]] *[[http://www.zdic.net/z/zb/cc2.htm|1000자[한전(漢典)]]] [[1988년]]에 [[중국]] 당국이 발표한 "현대한어상용자표" 3500자(상용자 2500자, 차상용자 1000자)만 알면 중국 모든 출판물의 99.48%를 커버한다고 한다. 한편 2009년 중국 언어 생활 실태 보고서[* 2009年中国语言生活状况报告 [[http://www.moe.gov.cn/s78/A19/A19_ztzl/baogao/201011/t20101125_130352.html|#]]]에 따르면 중국어를 구사하는 데 상용한자 3500자가 전부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한자 581~602자를 알면 중국어의 80%를, 934~971자를 알면 90%를, 2314~2400자를 알면 99%를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상용한자 중 7.15%, 11.49%, 28.47%밖에 되지 않는다.[* 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중국어 글말에서 자주 쓰이는 한자 581개 단어집이 출판되었다. 보고서는 2009년이라고 적혔고 출판된 책에는 2006년 보고서를 기반해서 출판했다고 했으니, 2009년 보고서가 개정된 보고서일 수도 있다. ISBN-13 번호는 9787801847102.] 달리 말하면, 중국어를 약 99%의 이해도로 구사하기 위해 필요한 글자의 수는 30%를 초과하지 않는다. 상용한자 3500자 중에서도 약 3358자는 변화 없이 유지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한자, version=r1498, paragraph=s-5.3)] === [[홍콩]] === [[홍콩]]의 상용한자는 상용자자형표(常用字字形表) '''4759자'''이다.[* 설명은 링크 참고 [[http://baike.baidu.com/view/489179.htm|#]] 중국어로 쓰여 있다.] === [[대만]] === [[대만]]의 상용한자는 표준자체표(標準字體表)에서 '''4808자'''를 규정했다. === [[일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일본의 상용한자)] [[일본]]의 상용한자는 '''2136자'''이다. 나무위키에서의 목록 일람은 [[일본의 상용한자/목록]] 문서 참조. [[분류: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