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상상플러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상상플러스)] [[파일:상상플러스타이틀.jpg]] [[파일:상상플러스꼬꼬.jpg]] [목차] == 개요 == [[2004년]] [[11월 2일]]부터 [[2008년]] [[4월 1일]]까지 방영한 상상플러스의 첫 번째 시즌이다. 시청자들의 리플, 설문 등 참여로 진행되었다. == 코너 목록 == === [[세대공감 OLD & NEW]]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세대공감 OLD & NEW)] === 스타플러스 === * 스타 댓글 게스트가 5자로 된 네티즌들의 질문에 답을 하는 코너다. 네티즌들의 질문이 적힌 포스트잇으로 도배된 방에 게스트의 지인(연예인)이 들어와 직접 질문을 선정했다. * 스타의 닮은꼴을 찾아라 엠씨와 게스트들의 닮은꼴 사진을 보여주는 코너다. 네티즌들이 사진을 보내주고 투표로 가장 닮은 사람을 선정한다. 선정된 사진을 보내준 시청자는 상품을 받는다. <세대공감 OLD & NEW> 이전에 인기를 끌었던 코너다. * 이미지 댓글 시청자들이 생각한 게스트의 이미지를 온라인으로 참여 받아 보여주고 관련 토크를 하는 코너다. 시청자들이 선정한 이미지 순위를 당시 온라인에서 유행한 [[뇌구조]] 그림을 사용해 보여줬다. === 리플 하우스 === 제작진이 제시한 질문에 시청자들의 리플을 받아 진행하는 코너이다. MC들이 상상 팀과 플러스 팀으로 나눠 대결. === 상상 극장 === '리플 하우스'에서 진 MC 팀이 벌칙으로 수행하는 코너. 시작만 주어지는 콩트 상황을 시청자들의 릴레이 댓글로 이어가는 코너다. === 역사 속의 답변 한 마디 === 초창기 엔딩 코너로, 역사적인 인물의 감동적인 명언을 소개했다. 방송 시점에 불과 반년 전 사망한 [[로널드 레이건]] 前 미국 대통령의 [[로널드 레이건 암살 미수 사건|암살 미수 사건]] 당시 명언도 소개되었다. == 역사 == === 초창기와 전성기 === * 2004년 11월 2일에 <상상플러스>라는 제목으로 첫 방송을 시작했다. 초창기에는 [[탁재훈]], [[이휘재]], [[최성국]], [[김종국]], [[김동윤(배우)|김동윤]], [[지상렬]] 등이 진행했으며,[* 애초 [[유재석]] 단독으로 갈 계획이었으나 스케줄 문제 때문에 고사했다.] 이후 [[토니 안]], [[천명훈]], [[타블로]], [[박화요비|화요비]] 등이 번갈아 가며 출연했다. 이후 탁재훈, 이휘재, [[신정환]] 3명과 타블로 및 [[이켠]] 등 1명의 객원 MC까지 4인 MC 체제가 되었다. 이 당시에는 스타를 초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단순한 연예인 토크쇼 <스타플러스>에 댓글이라는 시청자 참여를 도입한 게 전부였고, 부가적으로 <별명>, <덧글> 코너가 있었다. * 초창기 <덧글> 코너는 팀전 형식으로 진행되어 대결에서 진 팀이 <상상극장>에서 덧글로 이루어진 콩트로 벌칙을 수행했다. * 그 후 엠씨와 연예인들을 닮은 사람의 사진을 보여주는 <스타의 닮은꼴을 찾아라> 코너가 인기를 끌었고,[* 인터넷 상에서 유행하던 것을 방송에서 활용한 것으로 신정환 닮은 일본 지하철 여성이나 [[유재석]]을 닮은 중국 광고 모델 등등.] [[2005년]] [[5월 10일]] 27회부터 시작된 퀴즈 포맷의 〈세대공감 OLD & NEW〉가 시작되면서 본격적으로 인기가 가파르게 상승, 당시 동시간대 프로였던 [[SBS]]의 즐겨찾기의 [[시청률]]을 역전하였다. 〈세대공감 OLD & NEW〉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2005년 [[12월 6일]] 57회부터는 [[토크쇼]]였던 스타플러스는 사실상 종영되고 〈세대공감 OLD & NEW〉에 토크쇼를 통합한 형태로 변경되었다.[* 또한 이 때부터 방청객 녹음 소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2006년]]에 시청률 30%를 넘기는 등 전성기[* 꼭짓점 춤이 나온 방송.]를 보내면서 대표 MC [[탁재훈]]이 [[KBS 연예대상]]을 [[2007년]]에 타기도 했다. 다만 당시 진행 비중이 높아 유력한 대상 후보였던 이휘재는 [[정형돈]]에게 은밀하게 [[뻐큐|욕설]]을 날리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고 그게 그대로 방송돼 파문을 일으키면서 대상은 못 타고 최우수상에 그쳤다.[* 그때 호구라는 단어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정형돈이 '''호랑이의 입'''이라고 하자 다들 뭔소리냐는 반응이었는데 아나운서가 맞다고 하는 장면이었다.][* 참고로 이휘재는 [[슈퍼맨이 돌아왔다]]로 [[2015년]]에야 대상 수상을 하였다.] 물론, 누구나 인정할 이 프로 최대 수혜자는 단연 [[노현정]] 아나운서다. 이 프로그램으로 단아하고 정갈한 아나운서 이미지를 확실히 구축하고, 4명의 MC들이 노현정을 웃기거나 놀리는 장면에서 보여진 인간적 모습이 큰 인기를 얻어 KBS에서 [[전현무]] 이전 가장 성공한 아나테이너로 인정받았고, 이후 [[현대그룹]]의 [[며느리]] 중 하나로 들어가면서 방송인 커리어를 마감하게 되었다. === 후반기와 몰락 === * 그러다가 오래 방영되면서 소재고갈과 식상하다는 문제점으로 인해 <세대공감 OLD & NEW>는 [[2007년]] [[추석]]이 지난 뒤에 소리소문없이 종영되었고, 이후 <책 읽어주는 남자>라는 이름의 책을 낭송하는 형식으로 개편되었지만, 역시 인기를 끌지 못한 채 종영되었다. 그래도 전체 방영 기간의 5년 3개월간 중 세대공감 올드&뉴 덕에 2년 4개월간 전성기를 누릴 수 있었다. * 그 뒤 다시 <놀이의 탄생>이라는 이름으로 개편했으나, 역시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 물론 어디까지나 <세대공감 OLD & NEW>에 비교해서 그렇다는 거고 시청률로는 10% 초중반으로 괜찮은 성적이었으며, 2010년대 이후부터 1년은커녕 얼마 가지 못하는 프로그램들도 많은 걸 감안할 때 꽤 오래 살아남다고 보면 된다. 또한 후속 프로그램이었던 [[김승우의 승승장구]]가 방영 내내 이 프로그램의 종영 직전 시청률 수준에 머물러 있었음에도 3년이나 롱런했다는 점을 생각해보자.[* 이쪽은 진행자였던 [[김승우]] 본인이 스케줄 문제로 하차하면서 종영되었다.] == 마스코트 == || [[파일:상상플러스 깜부2.jpg|width=100%]]|| ||{{{#!folding 더 많은 이미지는 → [ 펼치기 · 접기 ] [[파일:상상플러스 깜부.jpg|width=70%]] [[파일:상상플러스 홈페이지.png|width=70%]] }}}|| 한 번쯤은 봤을 법한 캐릭터인 '깜부'는 상상플러스의 마스코트로 처음 공개되었다. 자막과 세트장 등 프로그램의 메인 캐릭터로 많이 사용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상상플러스, version=218,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