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상명대학교)] [include(틀:상명대학교)] [목차] [[파일:80year_emblem_1.jpg]] == 개요 == [[상명대학교]]의 학교법인으로, 상명대학교와 사범대학 부속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1937년 12월 1일 [[배상명]] 박사에 의해 설립된 '''상명고등기예학원'''을 모체로 하여 1945년 7월 15일에 재단법인 '''상명학원'''이 설립되었고, 1964년 4월 18일 '''학교법인 상명학원'''으로 개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법인 설립자 배상명의 외손자 이준방이 이사장을 맡고 있다가, 이사장 일가가 비리 의혹으로 물러난 후에는 9대 총장이자 전 화학과 교수인 강태범 교수가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 역사 == [1937년] '''상명고등기예학원'''을 설립. [1945년] '''재단법인 상명학원'''을 설립. [1953년] '''[[상명여자중학교]]'''와 '''[[상명여자고등학교]]'''를 설립. [1964년] '''재단법인 상명학원'''을 '''학교법인 상명학원'''으로 개명. [1964년] '''상명국민학교'''를 설립. [1965년] '''상명여자사범대학'''을 설립. [1979년] [[상명초등학교]]와 상명여자중학교, 상명여자고등학교가 '''학교법인 [[민정학원]]'''으로 분리 인가. [1994년] 학교법인 민정학원이 '''상명공업고등학교'''를 설립. [2001년] 학교법인 민정학원의 상명공업고등학교가 '''학교법인 미래학원'''으로 분리 인가 [2001년] 학교법인 민정학원의 상명초등학교가 '''학교법인 예인학원'''으로 분리 인가. == 이사회 == 이사회는 이사 7인(위원장을 포함)과 감사 2인으로 구성되며, 이사의 임기는 5년이고 감사는 3년이다. 현재 이사회는 서명덕 전 총장이나 유인수 명예교수를 비롯한 상명대 내부인사들과 삼덕회계법인 공인회계사 2인, 전 광주고등법원장 출신의 변호사로 구성되고 있다. === 역대 이사장 === ||||||<:>[[이사장|{{{#FFFFFF 이사장}}}]]|| ||1대||조동식||1954 - 1970|| ||2대||김영훈||1970 - 1973|| ||3대||[[신봉조]]||1973 - 1980|| ||4대||[[배상명]]||1980 - 1986|| ||5대||이준방[* 배상명의 외손자이자 8대 이사장 방정복의 아들]||1986 - 1987|| ||6대||곽종원||1987 - 1989|| ||7대||문남식||1989 - 1989|| ||8대||방정복[* 배상명의 딸]||1989 - 1991|| ||9대||신봉조||1991 - 1992|| ||10대||이준방||1992 - 2021|| ||11대||구기헌[* 전임 총장. 2021년 [[국정감사]]에서 전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645972?sid=102|이준방 이사장 일가의 비리 의혹]]으로 인해 이준방이 갑자기 이사장에서 물러나면서 이사장이 되었다.]||2021-2022|| ||12대||강태범[* 9대 총장. 이전에 화학과 교수로 재직했다.]||2022~|| == 산하 학교 == * [[상명대학교]] *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중학교]] *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유치원 === 과거 상명학원에 속했던 학교 === *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現 학교법인 미래학원) * [[상명고등학교]] (現 학교법인 민정학원) * [[상명중학교]] (現 학교법인 민정학원) * [[상명초등학교]] (現 학교법인 예인학원) == 자산 == [[http://infor.sahak.or.kr/portal_main.asp]] [[파일:2mTYVDu.jpg]] [[파일:capture-20190411-173317.png]] [[http://khei-khei.tistory.com/1650|2015년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28.8%로써 많이 낮은 편이다.(전국 평균 56.9%) [[http://khei-khei.tistory.com/1625|2014년 사립대학 등록금 의존율 현황]] 운용수입중 등록금 비율이 74.3%로 전국평균 63.2%보다 높다. 참고로, 자료출처는 대학교육연구소. 본교 [[영어교육과]]의 박거용 교수가 소장을 지내고 있다. 대학 운용수입중 등록금 비율이 높은 편으로, 대학의 재정이 탄탄한 수준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그래도 외부에서 돈을 끌어다 일을 벌리지는 않기 때문에, 재정 건전성은 높은편이다. [[분류:상명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