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록수 시리즈)] ||<-2> {{{+1 '''상록수'''}}} (1961)[br]常綠樹 | ''Evergreen Tre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상록수(1961)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신상옥]] || || '''원작''' || [[심훈]] || || '''각본''' || 김강윤 || || '''제작''' || [[신상옥]] || || '''기획''' || 황남 || || '''주연''' || [[최은희(배우)|최은희]], [[신영균(배우)|신영균]] || || '''촬영''' || 배성학 || || '''조명''' || 이계창 || || '''편집''' || 김영희 || || '''음악''' || 정윤주 || || '''미술''' || 정우택 || || '''제작사''' || 신필림 || || '''개봉일''' || [[1961년]] [[9월 20일]] || || '''개봉관''' || 명보극장 || || '''관람인원''' || 50,000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심훈]]의 소설 〈[[상록수(소설)|상록수]]〉를 영화화한 [[신상옥]] 감독의 1961년 개봉 영화. 심훈은 영화에도 조예가 있어 일본에서 연출법을 배워와 《[[먼동이 틀 때]]》(1927)라는 영화를 직접 연출했며 〈[[이수일과 심순애]]〉를 영화화한 《[[이수일과 심순애/영화#장한몽(1926)|장한몽]]》(1926)에 이수일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그런 만큼 자신의 소설인 상록수 역시 영화화하려고 백방으로 애썼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숨졌다. 그의 사후 25년이 지난 후에야 영화화가 이뤄졌다. 농촌의 아름다운 풍경과 배우들의 열정적 연기가 결합되어 훌륭한 영화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영신 역의 [[최은희(배우)|최은희]]는 [[대종상]] 여우주연상, 동혁 역의 [[신영균(배우)|신영균]]은 [[아시아-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2003년 제56회 [[칸 영화제]] 회고전에 초청되었다. 1978년 [[임권택]] 감독에 의해 [[김희라]], [[한혜숙]] 주연으로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 출연 == * [[최은희(배우)|최은희]] - 채영신 역 * [[신영균(배우)|신영균]] - 박동혁 역 * [[허장강]] - 건배 역 * [[도금봉]] - 건배 처 역 * [[신성일]] - 원재 역 * [[윤일봉]] - 동화(동혁의 동생) 역 * 박성대 - 정득 역 * [[한은진]] - 원재네 역 * 고선애 - 현경 역 * [[변기종]] - 송장로 역 * [[조항(배우)|조항]] - 갑산 역 == 줄거리 == [[구제전문학교|전문학교]] 출신의 동혁([[신영균(배우)|신영균]])과 영신([[최은희(배우)|최은희]])은 농촌 계몽에 뜻을 두고 각기 고향으로 내려간다. 그는 마을 회관을 세우고 농촌 청년들을 선도해 가고 그녀는 학당을 세워 문맹 퇴치를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일제의 간악한 탄압의 손길이 그들에게까지 뻗쳐 그는 일경에게 잡히는 몸이 되고 그녀는 과로 끝에 몸져 눕는다. 그가 풀려 나오던 날, 그녀는 안타깝게도 농촌에 대한 정열을 꽃피우지 못한 채 죽고 만다. == 수상 == * 1962년 * 제1회 [[대종상]] 여우주연상([[최은희(배우)|최은희]]) · 공로상(신필름) * 제9회 [[아시아-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신영균(배우)|신영균]]) · 남우조연상([[허장강]]) · 음악상(정윤주) * 제5회 [[부일영화상]] 여우조연상([[도금봉]]) [[분류:한국 영화]][[분류:1961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15세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