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의미 == 한자 : 傷弓之鳥 한자 훈음 : 다칠 상/활 궁/갈 지/새 조 중국어 : shānggōngzhīniǎo 일본어 : しょうきゅうのとり. 화살에 맞아서 다친 새. 1. 어떤 일로 한 번 매우 놀란 뒤에 그것을 매우 두려워하여 위축됨. 2. 예전에 일어난 일에 놀라서 작고 하찮은 일에도 매우 두려워하여 경계함. 출전은 전한(前漢)시대 유향(劉向)이 쓴 <전국책(戰國策)> 초책.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속담과 뜻이 통한다. == 유래 == [[전국시대]] 말엽 여섯 나라가 합종(合縱)하여 강대국 [[진나라]]와 대치하고 있을 때의 일이다. [[조나라]] 왕은 위가(魏加)라는 신하를 초(楚)나라에 보내어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 승상 [[춘신군]](春申君)과 군사 문제에 대한 협의를 하게 했다. 춘신군을 만난 위가는 이렇게 물어보았다. ||"귀국에는 쓸 만한 장군이 있습니까?" "있고 말고요. 우리는 임무군(臨武君)을 총지휘관으로 내정하고 있지요." 이 말을 들은 위가는 그건 가당치 않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임무군]]은 진나라와 싸워 참패한 적이 있는데 아직까지도 진나라를 두려워한다는 소문을 듣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위가는 표정을 바꾸지 않고 넌지시 말했다. "그렇습니까. 그러면 활쏘기에 비유해서 한 말씀 드리지요." 하고는 이렇게 말을 이었다. "옛날 [[위나라]]에 경영이라는 명궁(明弓)이 있었죠. 어느날 임금과 같이 있을 때 [[기러기]] 한 떼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는 화살을 메기지 않은 채 시위를 당겼죠. 그런데 맨 뒤에 날아가던 기러기 한마리가 땅에 떨어졌습니다. 눈이 휘둥그레진 임금이 그 연유를 묻자 명궁의 대답은 이랬습니다. '떨어진 놈은 전에 저의 화살을 맞아 다친 적이 있는 기러기(傷弓之鳥)죠. 그때의 상처가 아물지 않았기 때문에 우는 소리가 유난히 슬펐고 맨 뒤에 가까스로 따라가고 있었던 겁니다. 제가 시위만 당겼는데도 그 소리에 놀라 높이 날려다가 상처가 터져서 떨어진 거죠.' 그러니까 진나라에 혼이 난 적이 있는 임무군은 진나라에 대항해 싸우는 장군으로 기용하는 건 적절치 못한 것 같군요."||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