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갓켄토시선'(学研都市線), rd1=카타마치선)] [include(틀:JR 홋카이도의 철도 노선)] [include(틀:적자 83선)] ||<-2><)>{{{#!wiki style="margin: 0px -5px" [[JR 홋카이도|[[파일:JRH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JR 홋카이도|{{{#ffffff JR 홋카이도}}}]]}}}||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JRH-G.svg|width=50]]||<(>{{{#00a54f {{{+1 '''[ruby(札沼線, ruby=さっしょうせん)]'''}}}[br]삿쇼선[br]Sasshō Line}}}||}}}||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JR721-TOYOHOROHOROMUI.jpg|width=100%]] ---- [[721계 전동차]]|| ||<-2><:>'''{{{#ffffff 노선 정보}}}'''|| ||<:>'''애칭'''||가쿠엔토시선 (学園都市線: 학원도시선)|| ||<:>'''분류'''||지방교통선|| ||<:>'''기점'''||[[소엔역]]|| ||<:>'''종점'''||[[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 ||<:>'''역 수'''||14|| ||<:>'''역 기호'''||{{{#ed1c23 {{{+1 '''S'''}}}}}} (소엔)[br]{{{#00a54f {{{+1 '''G'''}}}}}} (하치켄-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 ||<:>'''개업일'''||[[1931년]] [[10월 10일]]|| ||<:>'''소유자'''||<|2>[[JR 홋카이도|[[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width=230]][br]{{{#2cb431 JR 홋카이도}}}]]|| ||<:>'''운영자'''|| ||<:>'''사용차량'''||[[721계 전동차]], [[731계 전동차]][br][[733계 전동차]], [[735계 전동차]]|| ||<:>'''차량기지'''||[[삿포로 운전소]], [[나에보 운전소]]|| ||<-2><:>'''{{{#ffffff 노선 제원}}}'''|| ||<:>'''노선연장'''||28.9km|| ||<:>'''궤간'''||1067mm|| ||<:>'''선로구성'''||단선, 복선|| ||<:>'''사용전류'''||교류 20000V 50Hz 가공전차선|| ||<:>'''폐색방식'''||특수 자동폐색식, 복선 자동폐색식|| ||<:>'''신호장비'''||[[열차자동정지장치|ATS]]-DN·SN|| ||<:>'''최고속도'''||85km/h|| ||<:>[[파일:JR_Sassho_Line_linemap.png|width=100%]]|| ||<:>{{{#ffffff 실측지도 상의 삿쇼선}}}|| ||<:>[youtube(Wiw0G-r79_A,width=100%)]|| ||<:>{{{#ffffff 신토츠카와~토베츠 간 후면주행영상}}}|| ||<:>[youtube(9SUkHA5GKkw,width=100%)]|| ||<:>{{{#ffffff 홋카이도의료대학~삿포로간 전면주행영상}}}||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소엔역]]에서 [[토베츠초]]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까지를 잇는 [[JR 홋카이도]]의 노선 중 하나이다. 원래 개통 당시에는 [[루모이 본선]]에 위치한 [[이시카리누마타역]]까지 운행되어서 '삿포로(札幌)'와 '누마타(沼田)'에서 한 글자씩 따서 삿쇼선이라고 명명했으나, 1972년 신토츠카와~이시카리누마타 구간이 폐지되어 이 이름은 무의미하게 되었고, 1991년부터 '학원도시선'(가쿠엔토시센)이라는 별칭을 따로 정해서 지금은 안내할 때도 '학원도시선'이라고 한다. 신토츠카와역은 [[하코다테 본선]]과 [[네무로 본선]]의 [[타키카와역]]이 약 3km 정도로 가깝지만, 환승은 되지 않았기 때문에 홋카이도츄오버스에서 운행하는 타키카와행 시내버스를 이용하여야 한다. 노선 주변에는 [[홋카이도교육대학]]이나 홋카이도의료대학 등의 교육기관이 많으며 주택지구도 형성되어 있다. 애초에 '가쿠엔토시선'이라는 별칭 자체가 교육 기관이 많은 데서 따서 지은 것이다. 일본 추리소설 오타쿠라면 잘 알고 있을 노선이다. 바로 [[시마다 소지]]의 요시키 타케시 시리즈의 제11작 [[기발한 발상, 하늘을 움직이다]]에 나오는 「삿쇼선 열차 괴사건」의 무대가 바로 작중 현재인 [[1989년|헤이세이 원년]]으로부터 32년 전인 [[1957년|쇼와 32년]] 1월의 우라우스발 이시카리누마타행 열차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원래 [[지방교통선]]으로 분류되었던 노선이며, 전구간 비전철화 노선이었지만, 노선이 지나가는 아이노사토(あいの里) 지역이 80년대 들어서 신도시로 개발되면서 해당 구간은 90년대 이후로 이용객이 신도시 개발 이전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하여 출퇴근시간대에는 [[디젤동차]]를 4량 편성 이상으로 연결하여 수십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가축수송을 일삼고 있었다. 결국 JR 홋카이도는 이 구간에 대해 전철화를 단행했으며, 2012년 6월 1일 전철화가 완공되어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전철화는 홋카이도 고속개발이라는 제3섹터 회사(JR 홋카이도가 50%, 홋카이도와 연선 지자체가 합쳐서 50%의 지분을 갖고 있으며, [[세키쇼선]], [[네무로 본선]], [[소야 본선]] [[아사히카와역]]-[[나요로역]] 구간의 고속화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의 주체로 진행되었으며, 전철화 시설 역시 이 회사가 소유하고 있다.] 다만 이후로도 몇달 동안 일부 열차는 디젤동차로 운행되다가 같은 해 10월 27일 전 열차가 전동차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 노선 데이터 === * 관활 : 홋카이도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구간 : 소엔~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 28.9km * 궤간 : 1067mm * 역수 : 13 * 복선구간 : 하치켄~아이노사토쿄이쿠다이 11.4km * 전화구간 : 전구간 (교류 20000V 50Hz) * 폐색방식 * 소엔~하치켄, 아이노사토쿄이쿠다이~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 : 특수자동폐색식 (궤도회로검지식) * 하치켄~아이노사토쿄이쿠다이 : 자동폐색식 * 보안장치 * 소엔~아이노사토쿄이쿠다이 : ATS-DN * 아이노사토쿄이쿠다이~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 : ATS-SN * 최고속도 * 소엔~토베츠 : 85km/h * 토베츠~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 : 65km/h * 운전지령소 : 삿포로 종합지령소 * [[교통카드]] 호환지역 : 전구간 대응 * 영업본부 : 본사 철도사업본부 (직할) == 운행 형태 == [[소엔역]] ~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 구간이 전철화되어서 삿포로역까지 운행중이다. [[아이노사토코엔역]]을 종착으로 하는 열차가 꽤 있으며 일 1회 [[에어포트(열차)|신치토세공항 직통열차]]가 운행한다. 단, 삿쇼선 내에서는 각역정차. 2012년 10월 27일 이전까지는 [[하코다테 본선]] [[에베츠역]]까지 직통하는 열차도 있었다.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신토츠카와 구간은 비전철화 구간으로 남아있었다. [[토베츠역]] -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 사이 구간은 전철과 디젤동차가 같이 다니고 있었으며 토베츠에서 디젤 동차들이 시종착하고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에서 전동차들이 시종착했다.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 이북으로는 열차 편수가 급감하는데 2016년 3월 26일 기준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우라우스 구간은 '''왕복 6편''', 우라우스~신토츠카와 구간은 '''왕복 1편''' 정도로 횟수가 너무 적었다. 우라우스 이후 구간은 JR 역사상 최초로 여객열차가 1일 1왕복만 하는 구간이 되었으며, [[일본국유철도|일본국철]]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도, [[시미즈항선]] [[시미즈역(시즈오카)|시미즈]]-미호 구간(1972-1984) 이후 최초이다.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 북쪽 구간은 원맨 디젤 동차가 다니고 있었으며 역 번호도 붙지 않았고, 역 관리도 엉망진창이었다. '''[[공기수송(교통)|이용객이 손으로 셀 만큼 적으니까]]'''. 이렇게 수요가 처참했던 이유는 이 노선이 [[하코다테 본선]]과 거의 대부분의 구간을 병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복선에 전철화까지 되어 있는 하코다테 본선에 비해 단선에 비전철화였던 삿쇼선은 경쟁에 밀릴 수밖에 없었고, 연선 주변의 인구도 하코다테 본선에 비해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적었고, 노선이 산 쪽에 근접하게 부설되어 선형도 불량했다. 결국 1972년에 일찌감치 [[신토츠카와역]] 이북 구간이 폐선되었고, 2020년에는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 이북 구간도 폐선에 이르게 된 것이다. 폐지 후 대체버스는 토베츠 ~ 이시카리츠키가타(9왕복)과 이시카리츠키가타 ~ 우라우스(5왕복) 구간으로 나눠져 운행한다. 우라우스 ~ 신토츠카와는 원래 기존 노선버스가 운행되어 별도로 대행버스를 신설하지 않았으나 2022년 10월 기존 사업자가 해당 노선에서 철수하면서 공영버스로 대체되었다. === 폐지대행버스 운행 형태 === 2022년 10월 기준 * 토베츠 ~ 이시카리츠키가타 : 1일 9왕복, 2020년 4월부터 운행 개시[* 7m급 준중형버스([[히노자동차|히노]] 폰쵸) 1대와 승합차 1대([[토요타]] [[토요타 하이에이스|하이에이스]]) 14인승 모델로 운행] [[https://www.town.tobetsu.hokkaido.jp/uploaded/attachment/16397.pdf|시간표(PDF)]] * 이시카리츠키가타 ~ 우라우스 : 1일 5왕복, 2020년 4월부터 운행 개시[* 승합차 1대([[토요타]] [[토요타 하이에이스|하이에이스]]) 14인승 모델로 운행] [[https://www.town.urausu.hokkaido.jp/syoukai/access.html|시간표]] * 우라우스 ~ 신토츠카와 ~ [[타키카와역|타키카와]] : 1일 4왕복(주말 3왕복) [[https://www.town.urausu.hokkaido.jp/syoukai/access.html|시간표. 滝川浦臼線을 찾으면 된다.]] 2022년 10월 1일부터 우라우스초에서 직접 운영한다. * 신토츠카와 ~ [[키타카미톳푸역|키타카미톳푸]] : 1일 5~7왕복(주말 3왕복) 예약제 승합버스 운행. 현금 승차 불가, 미리 지정 장소에서 평일에 승차권을 구매하여야 하므로 외지인은 이용이 어렵다. [[http://www.town.shintotsukawa.lg.jp/hotnews/detail/00004041.html|시간표]] * 키타카미톳푸 ~ [[우류역|우류]] : 노선버스 폐지 * [[우류역|우류]] ~ 이시카리오이와케 : 약 1시간 간격 운행하는 소라치 중앙버스의 후카타키선(우류 경유)을 대신 이용하면 된다. * [[이시카리오이와케역|이시카리오이와케]] ~ [[헤키스이역|헤키스이]] : 1일 3왕복, 기존 타키가와호쿠류선(滝川北竜線)을 대신하여 2022년 4월부터 호쿠류쵸에서 운행을 개시했다. [[https://www.town.uryu.hokkaido.jp/soshiki/kikakuzaisei/oiwake.html|시간표]] * 헤키스이 ~ [[이시카리누마타역|이시카리누마타]] : 노선버스 폐지. 지역주민만 이용 가능한 예약제 택시 운행 ==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 이북 구간 폐선 결정 == 2016년 11월 18일 JR 홋카이도는 "당사 단독으로는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선구"들을 발표하게 되는데, 그 중 삿쇼선의 [[신토츠카와역]]~[[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 구간이 포함되었다. 2018년 10월부로 모든 연선 자치체가 폐지를 받아들였다. 아래는 각 지자체의 철도 폐지 허용 사유이다. * 토베츠초 * 이용객 증가가 예상되지 아니하여 국가나 도의 지원을 기대할 수 없다고 판단. * JR 홋카이도의 방침이 타당하다고 판단. * 츠키가타초 * 수송밀도가 적음. * 버스로 전환하는 것이 더욱 안정적임. * JR 홋카이도가 대체수송 버스 운행에 협조적인 자세를 보임. * 츠키가타 고등학교의 학생들이 버스 전환에 긍정적인 의견을 보임. * 우라우스초 * 폐선 이후 JR 홋카이도로부터 대체 교통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음. * 2016년 11월 발표된 선구 중 "JR 단독으로 유지가 불가능한 노선"에 삿쇼선이 포함됨 * 신토츠카와초 * 노선의 향후 이용객 확대를 기대할 수 없음. * 기존에도 버스 교통체계가 존재하고 있음. * 폐선처리 비용을 JR 홋카이도가 부담함. 2020년 4월 1일부터 [[토베츠역|토베츠]] - [[이시카리츠키가타역|츠키가타]] 구간 1일 9왕복, 츠키가타 - [[우라우스역|우라우스]] 구간 1일 5왕복의 대체운행 버스가 운행을 개시했다. 원래는 [[골든위크]] 기간에 여러 폐선 기념(?) 행사를 하려 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하여 이런 행사들이 죄다 취소, 2020년 4월 17일(금) 10시 정각 신토츠카와발 토베츠행 열차를 마지막으로 모든 열차가 운행을 중단, 5월 7일 폐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https://trafficnews.jp/post/95609|기사]] == 역 목록 == === 운행중 === * 전구간 교류 전화. * 전구간 [[홋카이도]] [[이시카리 진흥국]] 관내 소재. ||<-7><:>{{{#ffffff '''JR 홋카이도 삿쇼선 (학원도시선)'''}}}|| ||<:>{{{#ffffff 노선}}}||<:>{{{#ffffff 번호}}}||<:>{{{#ffffff 역명}}}||<:>{{{#ffffff km}}}||<:>{{{#ffffff 환승노선}}}||<-2><:>{{{#ffffff 소재지}}}|| ||<-2> ↑ '''직통운행''' ||<-5>'''보통(1일 1회)''': [[에어포트(열차)|쾌속 에어포트]] 등급으로 [[파일:JRH-H.svg|width=17]][[치토세선]] [[신치토세 공항역|신치토세 공항]]까지 직통 || ||<|2><:>[[하코다테 본선|하/본]]||<:>{{{#ffffff 01}}}||<:>[[삿포로역|삿포로]] ([[파일:JR_area_SATSU.svg|width=17]])[br]札幌||<:>1.6||¶[[JR 홋카이도]] [[파일:JRH-A.svg|width=17]][[하코다테 본선]] (이와미자와 방면), [[파일:JRH-H.svg|width=17]][[치토세선]][br]¶[[삿포로 시영 지하철]] [[파일:SPRSub-N.svg|width=17]][[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난보쿠선]](N06), [[파일:SPRSub-Th.svg|width=17]][[삿포로 시영 지하철 토호선|토호선]](H07)||<|12><:>[[삿포로시|삿[br]포[br]로[br]시]]||<:>[[키타구(삿포로)|키타구]]|| ||<|2><:>{{{#ffffff S02}}}||<|2><:>[[소엔역|소엔]] ([[파일:JR_area_SATSU.svg|width=17]])[br]桑園||<|2><:>0.0||<|2>¶[[JR 홋카이도]] [[파일:JRH-S.svg|width=17]][[하코다테 본선]] (오타루 방면)||<|2><:>[[주오구(삿포로)|주오구]]|| ||<|14><:>'''삿[br]쇼[br]선'''|| ||<:>G03||<:>[[하치켄역|하치켄]] ([[파일:JR_area_SATSU.svg|width=17]])[br]八軒||<:>2.2||<:>||<:>[[니시구(삿포로)|니시구]]|| ||<:>G04||<:>[[신카와역(홋카이도)|신카와]] ([[파일:JR_area_SATSU.svg|width=17]])[br]新川||<:>3.7||<:>||<|8><:>[[키타구(삿포로)|키타구]]|| ||<:>G05||<:>[[신코토니역|신코토니]] ([[파일:JR_area_SATSU.svg|width=17]])[br]新琴似||<:>5.6||¶'''[[아사부역]]''' : [[삿포로 시영 지하철]] [[파일:SPRSub-N.svg|width=17]][[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난보쿠선]](N01; 대체운송 지정역[* 삿쇼선이 불통이 되었을 때만 환승 가능하다.])|| ||<:>G06||<:>[[타이헤이역|타이헤이]] ([[파일:JR_area_SATSU.svg|width=17]])[br]太平||<:>7.3||<:>|| ||<:>G07||<:>[[유리가하라역|유리가하라]] ([[파일:JR_area_SATSU.svg|width=17]])[br]百合が原||<:>8.6||<:>|| ||<:>G08||<:>[[시노로역|시노로]] ([[파일:JR_area_SATSU.svg|width=17]])[br]篠路||<:>10.2||<:>|| ||<:>G09||<:>[[타쿠호쿠역|타쿠호쿠]] ([[파일:JR_area_SATSU.svg|width=17]])[br]拓北||<:>12.2||<:>|| ||<:>G10||<:>[[아이노사토쿄이쿠다이역|아이노사토쿄이쿠다이]] ([[파일:JR_area_SATSU.svg|width=17]])[br]あいの里教育大||<:>13.6||<:>|| ||<:>G11||<:>[[아이노사토코엔역|아이노사토코엔]] ([[파일:JR_area_SATSU.svg|width=17]])[br]あいの里公園||<:>15.1||<:>|| ||<:>G11-1||<:>[[로이즈타운역|로이즈타운]][br]ロイズタウン||<:>17.8||<:>||<|4><-2><:>이시카리군[br][[토베츠초]]|| ||<:>G12||<:>[[후토미역(홋카이도)|후토미]][br]太美||<:>19.3||<:>|| ||<:>G13||<:>[[토베츠역|토베츠]][br]当別||<:>25.9||--¶[[토베츠 정영궤도]]--(1958년 폐선)[br]--¶[[에토 궤도]]--(1936년 폐선)|| ||<:>G14||<:>[[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br]北海道医療大学||<:>28.9||<:>|| === 폐선 구간 === ||<-5><:>{{{#ffffff '''JR 홋카이도 삿쇼선 (폐선구간)'''}}}|| ||<:>{{{#ffffff 역명}}}||<:>{{{#ffffff km}}}||<:>{{{#ffffff 승강장}}}||<:>{{{#ffffff 환승노선 및 비고}}}||<:>{{{#ffffff 소재지}}}||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br]北海道医療大学||<:>28.9||<:>2면 2선||<:>||<|5><:>이시카리군[br][[토베츠초]]|| ||<:><-4>{{{#white '''↓ 2020년 폐선 구간 ↓'''}}}|| ||<:>[[이시카리카나자와역|이시카리카나자와]][br]石狩金沢||<:>31.1||<:>단선||<:>|| ||<:>[[모토나카고야역|모토나카고야]][br]本中小屋||<:>35.6||<:>단선||<:>|| ||<:>[[나카고야역|나카고야]][br]中小屋||<:>38.8||<:>단선||<:>|| ||<:>[[츠키가오카역|츠키가오카]][br]月ヶ岡||<:>41.6||<:>단선||<:>||<|5><:>카바토군[br][[츠키가타초]]|| ||<:>[[치라이오츠역|치라이오츠]][br]知来乙||<:>44.2||<:>단선||<:>|| ||<:>[[이시카리츠키가타역|이시카리츠키가타]][br]石狩月形||<:>46.3||<:>섬식||<:>|| ||<:>[[토요가오카역|토요가오카]][br]豊ヶ岡||<:>51.0||<:>단선||<:>|| ||<:>[[삿피나이역|삿피나이]][br]札比内||<:>53.5||<:>단선||<:>|| ||<:>[[오소키나이역|오소키나이]][br]晩生内||<:>58.0||<:>단선||<:>||<|5><:>카바토군[br][[우라우스초]]|| ||<:>[[삿테키역|삿테키]][br]札的||<:>60.9||<:>단선||<:>|| ||<:>[[우라우스역|우라우스]][br]浦臼||<:>62.7||<:>단선||<:>|| ||<:>[[츠루누마역|츠루누마]][br]鶴沼||<:>66.1||<:>단선||<:>|| ||<:>[[오사츠나이역|오사츠나이]][br]於札内||<:>67.9||<:>단선||<:>|| ||<:>[[미나미시모톳푸역|미나미시모톳푸]][br]南下徳富||<:>69.4||<:>단선||<:>||<|8><:>카바토군[br][[신토츠카와초]]|| ||<:>[[시모톳푸역|시모톳푸]][br]下徳富||<:>71.5||<:>단선||<:>|| ||<:>--[[나카톳푸역|나카톳푸]][br]中徳富--||<:>--73.9--||<:>--단선--||<:>(2006년 폐역)|| ||<:>[[신토츠카와역|신토츠카와]][br]新十津川||<:>76.5||<:>단선||<:>|| ||<:><-4>{{{#white '''↓ 1972년 폐선 구간 ↓'''}}}|| ||<:>[[이시카리하시모토역|이시카리하시모토]][br]石狩橋本||<:>79.2||<:>단선||<:>|| ||<:>[[카미톳푸역|카미톳푸]][br]上徳富||<:>82.0||<:>단선||<:>|| ||<:>[[키타카미톳푸역|키타카미톳푸]][br]北上徳富||<:>83.7||<:>단선||<:>|| ||<:>[[미나미우류 가승강장]][br]南雨竜仮乗降場||<:>86.5||<:>단선||<:>||<|5><:>우류군[br][[우류초]]|| ||<:>[[우류역|우류]][br]雨竜||<:>88.8||<:>단선||<:>|| ||<:>[[나카우류 가승강장]][br]中雨竜仮乗降場||<:>89.8||<:>단선||<:>|| ||<:>[[이시카리오이와케역|이시카리오이와케]][br]石狩追分||<:>92.1||<:>단선||<:>|| ||<:>[[이노츠역|이노츠]][br]渭ノ津||<:>94.5||<:>단선||<:>|| ||<:>[[야와라역|야와라]][br]和||<:>97.9||<:>단선||<:>||<|3><:>우류군[br][[호쿠류초]]|| ||<:>[[나카노타이역|나카노타이]][br]中ノ岱||<:>101.0||<:>단선||<:>|| ||<:>[[헤키스이역|헤키스이]][br]碧水||<:>102.8||<:>단선||<:>|| ||<:>[[호쿠류역|호쿠류]][br]北竜||<:>106.0||<:>단선||<:>||<|3><:>우류군[br][[누마타초]]|| ||<:>[[고카야마역|고카야마]][br]五ヶ山||<:>108.6||<:>단선||<:>|| ||<:>[[이시카리누마타역|이시카리누마타]][br]石狩沼田||<:>111.4||<:>2면 3선[* 현재는 단선으로 운영중]||¶[[JR 홋카이도]] [[루모이 본선]]|| [[분류:삿쇼선]][[분류:나무위키 일본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