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역명이 이 역명이었던 남한(대한민국)의 철도역, rd1=일로역)] {{{+1 三鄕驛 / Samhyang Station}}} ||<-3> {{{+2 '''삼향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함경북도 명간 삼향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amhyang || || [[한자]] ||<-2> 三鄕 || || [[간체자]] ||<-2> 三乡 || || [[일본어]] ||<-2> [ruby(三郷, ruby=サミャン)] || ||<-3> '''주소''' || ||<-3> [[함경북도]] 명간군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청진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평라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함경선]] ||<-2> 1927년 6월 10일 || ||<-3> '''열차거리표''' || || [[평양역|{{{#585858 {{{#!html
평양 방면
}}}}}}]][[룡동역|룡 동]][br]← 4.8 ㎞ || '''[[평라선]]'''[br]삼 향 || [[라진역|{{{#585858 {{{#!html
라진 방면
}}}}}}]][[극동역|극 동]][br] 3.3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라선]]의 철도역. [[함경북도]] [[명간군]] 소재. == 역 정보 == 명간이라는 지명은 2004년경에 화성에서 개칭한 것. 근데 군 이름이 좀 심하게 왔다리갔다리해서 어이가 없을 정도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당시에 명천군 북부의 약 40% 정도를 떼면서 영안군(永安郡)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 이름의 유래가 또 황당한 게, 일본의 한 재벌이 비료공장을 여기다 건설하면서 영안공장이라 이름을 붙인 데서 따온 것. 1967년 10월 명간천을 끼고 있는 군이라고 해서 명간군이라고 개칭했다. 이걸 그대로 쭉 이어가면 될 것을 1981년 10월에 화성군이라고 개칭, 2004년경에 명간군이라고 또 개칭... 군 중심부의 크기는 1.5㎢ 정도로 작은 편. 대략 [[덕성]]읍과 비슷한 크기다. 그나마 이쪽은 전철화된 [[평라선]]이 통과하고 있어서 상황이 조금 나은 편. [[덕성역]]은 전철화가 안 된 [[북청선]]이 통과하고 있다. 원래 이 역의 이름은 일제 시대에는 영안역이었다. 물론 유래는 위의 그 영안공장. [[송림청년역]]의 겸이포 뺨치는 어이없는 유래.[* 현재의 삼향이란 이름은 광복 당시에 이 인근에 있던 행정구역인 서면 삼향동(三鄕洞)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마도 통일이 되면 그대로 삼향역으로 갈 지도 모른다.] 민가는 거의 대부분 역 북쪽과 서쪽에 몰려 있으며 동쪽과 남쪽은 경작지. 역에서 동남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 호수(혹은 저수지)가 하나 있는데, 여기에서 물을 대는 듯하다. [[분류:평라선]][[분류:192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