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북구의 법정동)] ---- ||<-2> '''[[강북구|{{{#000000,#dddddd 강북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삼양동}}}'''[br]三陽洞 | Samy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강북구 삼양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강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080125 || || '''관할 법정동''' || 미아동 || || '''하위 행정구역''' || 37통 330반 || || '''면적''' || 0.91㎢ || || '''인구''' || 22,651명[*A] || || '''인구밀도''' || 24,891.2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강북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용진]] ,,(재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3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용균(정치인)|이용균]] ,,(초선),, || ||<-2> '''강북구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노윤상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심재억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최인준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솔매로 69 (미아동 762-20) || || [[https://www.gangbuk.go.kr/samyang/index.do|삼양동 주민센터]] || [목차] [clearfix] == 개요 == 삼양동은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있는 [[행정동]]으로, 법정동은 [[미아동]] 이다. '삼각산 양지바른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동명이 지어졌다. 1961년부터 1970년까지 분구 전 [[성북구]] 관할 실존했던 동명이었고, 1971년 행정구역 통합으로 삼양동은 미아동으로 변경되어 공식적으로는 폐지된 지명이었으나 그 이후로도 오랫동안 주민들은 편의상 미아1,2,6,7동 지역을 삼양동으로 부르곤 했었다. 즉 부산의 완월동(..)처럼 공식 지명은 아니지만 관습적으로 불리우던 지명[* 삼양시장 삼양사거리 삼양초등학교 등 과거 이곳이 삼양동이었음을 의미하는 흔적이 많다.]으로 내려져오다가 2008년 6월 30일 미아제1동, 미아제2동이 합쳐진 통합 행정구역의 명칭을 삼양동으로 명명함으로써 삼양동이라는 지명이 전격 부활되었다. 인구는 '''22,697명'''.[*P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본래 [[나무위키]]에서는 법정동 1곳을 여러 개의 행정동으로 나눠서 관리할 경우에는 법정동 작성이 원칙이다. 하지만 실제 거주하는 주민들의 경우 행정동을 더욱 많이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옆 동네인 [[송천동(강북구)|송천동]]과 마찬가지로 삼양동 주변이 그렇다. 이 문단은 앞서말한 원칙에도 불구하고 이런 이유로 작성되었다.''' == 상세 == 삼양동은 [[1960년대]]를 전후해서 서울의 도시 재개발 사업으로 철거를 당한 [[후암동]], [[신설동]] 주민들이나 남창동, 양동[* 현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남대문로5가. [[서울역]] 앞 일대.]에서 화재로 집을 잃은 화재민, 장마 때 한강의 범람으로 집을 잃은 [[이촌동]] 수재민들이 이주하여 정착한 곳이다. 이 지역은 [[북한산]] [[대한민국의 국립공원|국립공원]]에 의한 고도 제한 지역이어서 대규모 아파트 개발이 힘든 곳이라 빌라로 재건축 되었으며, 2018년 기준으로 아직 오래된 건축물이 일부 남아있다. [[박원순]] 전 [[서울특별시장]]이 2018년 여름 옥탑방 한 달 살이 행보를 보여 많이 알려지기도 했다. 법정동은 미아동이지만, 정식 행정동명이 삼양동으로 바뀌기 전에도 이 일대는 삼양으로 불리었다. 현재 삼양동은 미아사거리 일대 다음으로 버스가 많이 정차하는 곳이며, 삼양동사거리 일대는 상업 시설과 학원가 등이 소규모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역의 삼양동사거리는 나름 중요한 곳이며, 이곳을 기준으로 북부는 삼양동/송천동, 남부는 삼각산동, 송천동으로 나뉜다. 학교로는 [[서울삼양초등학교]], 미양초등학교, 솔샘중학교, 솔샘고등학교가 있다. 상업시설로는 [[삼양역]] 근처에 삼양시장과 [[롯데마트 삼양점]]이 있다. 인수봉로와 솔샘로, 삼양로가 주요 도로이며 [[우이신설선]] [[솔샘역]]과 [[삼양사거리역]], [[삼양역]]이 솔샘로와 삼양로를 지나간다. 솔샘터널을 통해 [[성북구]] [[정릉동]]과 연결된다. 동네 전체적으로 경사가 굉장히 가파르고 험하며 골목길은 좁다(...). 겨울철 눈이 내릴 때 헬게이트 오픈이다. == 역사 == || 조선시대 이전 || [[백제]] [[고이왕]] 때 역사의 무대로 등장하기 시작한 [[강북구]]는 [[고려]] 태조때에 양주로 개칭되었고, [[조선시대]]에는 동부 숭신방에 속하였으며, 1914년에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으로 개편됨 || || 1949. 8. 13 ||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미아리에서 서울특별시 [[성북구]] 숭인출장소 미아리로 편입 || || 1950. 3. 15 || 미아리가 미아동으로 개칭됨. || || 1955. 4. 18 || 행정동제 실시에 따라 미아제1~3동이 신설됨. || || 1959. 10. 13 || 미아제1동을 길음동으로, 미아제2동을 인수동으로 개칭하고, 미아제3동을 송천동과 삼양동으로 분동함. || || 1964. 10. 29 || 삼양동을 삼양제1, 2동으로 분동함. (삼양1동은 현 삼각산동, 삼양2동은 현 삼양동) || || 1970. 5. 18 || 삼양동.송천동이 [[미아동]]으로 개칭 삼양동은 미아8동이 됨. || || 1973. 7. 1 || [[성북구]]에서 [[도봉구]]로 분구(도봉구 미아8동) || || 1975. 10. 1 || 미아동 일부를 [[성북구]]에 편입[* 미아초등학교가 성북구 길음동에 있는 이유다.]하여 길음동으로 개칭하고, 미아동을 미아제1~7동으로 조정함. 삼양동은 미아1, 2동에 해당함. || || 1995. 3. 1 || [[도봉구]]에서 [[강북구]]로 분구(강북구 미아1,2동) || || '''2008. 6. 30''' || '''미아1동과 미아2동을 통합하여 삼양동으로 개칭''' || == 주요 시설 == * 공공시설 * 삼양동 주민센터[* 과거에는 '삼양로 268'에 위치했으나 2022년 1월부터 지금의 '솔매로 69에서 업무를 보고 있다.] * 삼양동 종합복지센터 * 삼양마을마당공원 * [[강북구립도서관|솔샘문화정보도서관]] * 하늘어린이공원 * 강북구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 교육 * [[서울미양초등학교]] * [[서울삼양초등학교]] * [[솔샘중학교]] * [[솔샘고등학교]] * 서울효정학교[* 2017년에 생긴 국내 최초의 시각장애 영·유아 특수학교이다.] * 종교 * [[천주교 서울대교구]] 삼양동 성당 * 주하늘교회, 신성교회 및 기타 개신교 교회 등등 * 법화사, 약수암 등 기타 불교 시설 * 상업 시설 * [[롯데마트 삼양점]] * 삼양시장 * 대지시장 * 동북프라자 == 공동주택 == * 벽산건설 미아 벽산 라이브파크 - 2002년 8월 입주 * [[삼성물산]] 미아 래미안 1차 아파트 - 2006년 11월 입주 * ~~북서울자이폴라리스 아파트 - 2024년 8월 준공 예정~~ == 교통 == === 도로 === 큰 도로는 서쪽의 인수봉로, 남쪽의 [[성북구]] [[정릉동]]으로 가는 솔샘터널에서 삼양동사거리로 이어지는 솔샘로, 동쪽의 [[삼양로]]가 있다. 우이신설선은 솔샘로와 삼양로를 지나간다. 솔매로는 삼양동 한가운데 롯데마트와 삼양시장 근처를 가로로 지나가며 인수봉로에서 [[미아역]]을 지나 오패산터널로 이어지는 도로다. === 버스 === * [[마을버스(서울)|마을버스]] : [[서울 버스 강북10]] * [[간선버스(서울)|간선버스]] : [[서울 버스 104]], [[서울 버스 109]], [[서울 버스 121]], [[서울 버스 144]], [[서울 버스 152]] * [[지선버스(서울)|지선버스]] : [[서울 버스 1115]] [[서울 버스 1116]], [[서울 버스 1128]], [[서울 버스 1165]] === 도시철도 === * [[우이트랜스]] 경전철 [[우이신설선]] * [[삼양역]] * [[삼양사거리역]] * [[솔샘역]] == 여담 == * 배우 [[최철호]]가 주연으로 나왔지만 그리 큰 흥행을 하지 못했던 [[삼양동 정육점]]이라는 영화의 삼양동이 여기를 의미한다. * 한자(三陽洞)가 같은 동네가 [[제주도]]에도 존재한다. [[삼양동(제주)]] *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3화(2018년 12월 8일 방영분)에 등장했다. * [[오세훈]] 현 서울시장이 잠시 삼양동 판자촌에서 유년기를 보낸 바 있다. [clearfix]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노도강, version=43, paragraph=2)]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미아동, version=146, paragraph=2.1)] [[분류:강북구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