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성)] ||<-3> {{{#034ea2 '''{{{+1 {{{#fff 삼성이앤에이 주식회사}}}}}}[br]{{{-1 {{{#fff SAMSUNG E&A Co., Ltd.}}}}}}'''}}} || ||<-3> [[파일:삼성 이엔에이 로고.png|width=100%]]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설립일''' ||[[1970년]] [[1월 20일]] || ||<-2> '''업종명''' ||산업 플랜트 제조업 || ||<-2> '''본사'''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로6길 26 (상일동, GEC) || ||<-2> '''대표자''' ||남궁홍 || ||<-2> '''임원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34ea2; font-size: 0.75em" {{{#fff '''대표이사 사장'''}}}}}}''' 남궁홍[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34ea2; font-size: 0.75em" {{{#fff '''경영지원실장 · 부사장'''}}}}}}''' 김강준[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34ea2; font-size: 0.75em" {{{#fff '''마케팅본부장 · 부사장'''}}}}}}''' 최재훈[br],,(사외이사 제외),,}}} || ||<-2> '''기업 분류''' ||[[대기업]] || ||<-2> '''상장 유무''' ||상장기업 || ||<-2>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1996년 ~ 현재) || ||<-2> '''종목코드''' ||028050 || ||<-2> '''편입지수''' ||[[코스피]] [br] [[KOSPI200]] [br] [[KRX100]] || ||<-2> '''그룹''' ||[[삼성]] || ||<-2> '''웹사이트''' ||[[https://www.samsungena.com/kr/|홈페이지]]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매출액''' ||10조 543억원 ^^(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7,029억원 ^^(2022년 기준)^^ || || '''순이익''' ||5,953억원 ^^(2022년 기준)^^ || || '''직원 수''' ||5,710명 ^^(2023년 3월 기준)^^ || || '''도급순위''' ||33위^^(2023)^^ ||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엔GEC.jpg|width=100%]] }}} || || '''{{{#white 삼성엔지니어링 글로벌엔지니어링센터}}}''' || 구 삼성엔지니어링. [[삼성그룹]] 계열 건설 [[대기업]]으로,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로6길 26 (상일동, GEC[* Global Engineering Center])에 위치해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사옥을 공유하고 있다.[* 회사가 적자이던 시절, 한 동을 비워 물산 건설부문에 임대를 주었기 때문이다. 매출 등에 따른 그룹 내 위상 차이 때문에 물산의 처우가 더 좋다고 한다. 물산 건설부문 입주 후 식단이 개선되었고, 시설도 늘어났으며 통근버스 노선이 더 다양하게 늘어났다.] == 상세 == 1970년 한국엔지니어링이 미국 럼머스(Lummus) 사와 합작해 '유한회사 코리아엔지니어링'을 세웠다. 1973년 일본 도요엔지니어링이 미국 측 지분을 인수했고, 1978년 삼성물산이 산은 보유지분을 인수하고 주식회사로 개편했다. 1987년 기술연구소를 세우고, 199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했다. 1996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1990년대부터 [[동남아시아]] [[개발도상국]] 등과 같은 플랜트 건설에 뛰어들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등의 대규모 [[석유]]플랜트 등을 수주하여 공사하기도 하였다. [[경기도]] [[고양시]] [[행신역]]에 있는 고양차량기지, [[상암동(서울)|상암동]]의 [[서울월드컵경기장]]도 당사가 건설한 것이다. 주요 사업분야는 에너지, 화공, I&I 사업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엔지니어링 모든 분야의 솔루션이나 컨설팅 등을 제공하기도 하며, 2010년대 무렵부터 ESG 관련된 그린수소, 탄소포집, 암모니아 분해 등 사업분야도 진입했다.[* 해외 플랜트 및 국내 관계사 공사([[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등) 위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1990년대 가락동 그린빌딩에 있다가 2002년 도곡동 [[타워팰리스]] 건너 SEI 타워 및 삼성역 글라스타워등에 사옥이 있었으며,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연봉 높고 PS도 그럭저럭 잘나오고 근무지도 도곡/삼성[* 대부분은 현장에 나가 있지만...]이다 보니 그룹 내에서도 부러움의 대상이 되었었다.[* 특히 그룹공채 신입사원연수 때 첫 월급을 받는데 엔지니어링은 앞자리가 달라 다른 관계사 동기들에게 많은 부러움을 샀으며, [[스누라이프]]에서도 추천하는 회사였을 정도로 잘나갔었다 카더라.] 회사가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근무공간이 부족해지자 2012년 4월엔 [[강동구]] [[상일동]]에 신사옥(글로벌엔지니어링센터)을 신축하고 이사하였다. 2014년 9월 1일, [[삼성중공업]]과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277/0003322490|합병을 추진]]하기로 하였으나, 최종적으로 부결되었다. 자세한 것은 [[삼성중공업]] 항목을 참조.[* 이후 삼성중공업은 지속적으로 적자를 보고 있다는 점에서 삼성엔입지니어링 입장에서는 오히려 다행이었다는 내부 분위기가 있다.] 2015년 10월 22일, 삼성엔지니어링이 3분기 영업손실 1조 5,000억여 원을 공시하며 [[어닝쇼크]]가 왔다. 한때 20만 원대를 구가하던 주가가 11월 2일 기준 18,000원까지 급락했다. 전직원 순환 무급휴직을 결정할만큼 여건이 악화되었고, 사옥을 팔고 [[유상증자]]를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12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실권주 발생 시 사재 3천억을 투입하겠다는 [[https://www.mk.co.kr/economy/view.php?sc=50000001&year=2015&no=1157624|선언]] 이후 상황은 급반동하여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발행된 우리사주는 청약율 100%, 구 주주 청약율 99.9%에 0.01%의 일반공모 약 10억 원가량의 배정에 2조에 가까운 금액이 몰리며 흥행, 유상증자 성공을 발표하였다. 단, 충분한 물량의 실권주가 발생하지 않아 [[이재용]] [[부회장]]의 약 3천억가량의 청약은 무산되었으나 지분참여에 대한 의지를 재천명함으로써 관전포인트가 늘어나게 되었다. 유증 후 신주상장은 2016년 2월 26일로 발표되었다. 2016~2018년, [[삼성물산 건설부문]]에서 플랜트 부문을 자회사로 떼어 삼성엔지니어링에 합병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으나 실행되지 않았다. 2018년 최성안 부사장 겸 프랜트사업1본부장이 대표로 승진한 후 수익성이 양호한 프로젝트만을 선별 후 수주하며 플랜트사업의 기본설계와 [[EPC]][*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를 동시 수주하는 'FEED to EPC' 전략으로 설계 최적화를 통한 비용/공기 절약을 실시했고, 베트남에서 만든 부품을 배에 실어서 공사 현장으로 옮기는 모듈화를 통해 불확실성을 줄이는 등 혁신에 박차를 가했다. 거기에 지속적인 유가 상승 등에 힘입어 2018년 1,964억, 2019년 4,227억, 2020년 3,612억의 영업이익(연결기준)을 기록하며 실적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3년 5월 개명을 추진한다는 기사들이 나왔고, 실제 후보 이름들을 상표등록도 했으나 실행되진 않았다. 2024년 3월 21일, 삼성엔지니어링에서 삼성이앤에이(삼성 E&A)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시공능력평가]] 순위 == || '''연도''' || '''시공능력평가 순위''' || || 2000년 || 25위 || || 2001년 || 17위 || || 2002년 || 21위 || || 2003년 || 24위 || || 2004년 || 36위 || || 2005년 || 25위 || || 2006년 || 27위 || || 2007년 || 26위 || || 2008년 || 28위 || || 2009년 || 27위 || || 2010년 || 31위 || || 2011년 || 21위 || || 2012년 || 15위 || || 2013년 || 11위 || || 2014년 || 29위 || || 2015년 || 22위 || || 2016년 || 41위 || || 2017년 || 14위 || || 2018년 || 28위 || || 2019년 || 25위 || || 2020년 || 16위 || || 2021년 || 19위 || || 2022년 || 26위 || || 2023년 || 33위 || == 지배구조 == 2023년 4월 기준. ||
{{{#fff '''주주명'''}}} || {{{#fff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삼성SDI]] || 11.69%||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삼성물산]] || 6.97%||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재용]] || 1.5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삼성화재]] || 0.22%||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삼성생명]](특별계정) || 0.12%|| ||[[싱가포르|[[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2]]]] 에버딘 아시아 리미티드 || 7.17%||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국민연금]] || 9.05%|| == 역대 임원 == * 부회장 * 양인모 (2003 ~ 2006) * 대표이사 사장 * [[이종찬]] (1970 ~ 1975) * 함병소 (1975 ~ 1978) * 마경석 (1978 ~ 1980) * 서영관 (1980) * 김광모 (1980 ~ 1982) * [[김명년]] (1982 ~ 1983) * 안병휘 (1983) * 최관식 (1983 ~ 1991) * 안덕기 (1993 ~ 1996) * 양인모 (1999 ~ 2003) * 정연주 (2003 ~ 2009) * 박기석 (2010 ~ 2013) * 박중흠 (2013 ~ 2017) * 최성안 (2018 ~ 2022) * 남궁홍 (2023 ~ 현재) * 대표이사 부사장 * 안덕기 (1991 ~ 1992) * 양인모 (1996 ~ 1998) [[분류:삼성]][[분류:1970년 기업]][[분류:대한민국의 건설 회사]][[분류:코스피상장법인]][[분류:서울특별시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