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성 Z 시리즈)] ||<-3> [br] {{{#000,#fff {{{+5 '''Samsung Z1''' }}}}}} [br] {{{#000,#fff {{{-3 '''SM-Z130H''' }}}}}} [br] [br] || ||<-3> [[파일:SZ1_1.jpg|width=100%]] || || '''{{{#E3E6ED 블랙}}}''' || '''{{{#A4A4A6 화이트}}}''' || '''{{{#E2BFC2 레드}}}''' || ||<-3> [[https://www.samsung.com/in/support/model/SM-Z130HZWDBNG/|{{{#ffffff 인도 삼성전자 SM-Z130H 고객지원 사이트}}}]] || [목차] == 개요 == [[삼성전자]]가 2015년 1월에 공개한 [[Tizen|타이젠]] [[스마트폰]]이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Spreadtrum]] SC7727S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PU]] ||[[ARM Cortex-A7]] MP2 1.2 GHz [[CPU]] || || [[GPU]] ||[[ARM Mali]]-400 460 MHz [[GPU]] || || NPU & DSP ||미탑재 || || Sensor Hub ||미탑재 || || 통신 모뎀 ||(파트넘버 불명) 내장 ||}}}}}}|| ||[[메모리]]||768 MB LPDDR3 SDRAM, 4 GB [[eMMC]] -.- 규격 내장 메모리, [[Secure Digital|micro SDXC]] (규격상 2 TB, 64 GB 공식 지원)||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4.0인치 15:9 비율 [[해상도/목록|WVGA]](480 x 800) PLS TFT-LCD (--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삼성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PL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 [[4G|HSPA+]] 21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 '''{{{#ffff00 선택지원}}}''' || 없음 ||}}}}}}|| ||근접통신||[[Wi-Fi]] 802.11b/g/n, [[블루투스]] 4.1||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카메라]]||전면 30만 화소, 후면 32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Li-Ion 1500 mAh|| ||[[운영체제]]||[[Tizen|타이젠]] 2.3 → 2.4[br][[삼성 터치위즈]] 네이쳐 UX 3.0|| ||규격||63.2 x 120.4 x 9.7 mm, 112 g||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블랙''', '''화이트''', '''레드'''||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br]듀얼심 지원|| ||기타|| || }}} == 상세 == [[삼성전자]]가 [[인텔]]과 같이 주도해서 만든 타이젠 연합이 개발한 모바일 [[운영체제]]인 [[Tizen|타이젠]]을 탑재한 [[스마트폰]]이다. 이미 2014년에 [[삼성 Z|Z]]를 공개했었으나, 여러 [[어른의 사정]]에 의해 정식 출시는 불발되었다. 이후, [[스마트폰]] 업계의 신흥 시장으로 올라오는 인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사양을 대폭 낮춰서 2015년 1월에 [[https://news.samsung.com/global/samsung-unveils-the-samsung-z1-the-first-tizen-powered-smartphone-for-indian-consumers|공개]]되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흔하게 볼 수 있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디자인이다. 다만, 안드로이드 4.4 킷캣 이후 출시 기기들이 메뉴 버튼 대신 멀티태스킹 버튼을 탑재한 것과는 달리 다시 메뉴 버튼 탑재로 회귀했다. 기본 색상은 블랙, 화이트, 레드로 총 3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스프레드트럼]] SC7727S를 사용한다. [[ARM Cortex-A7]] 듀얼코어 [[CPU]]와 [[ARM Mali]]-400 [[GPU]]를 사용한다. 성능의 경우, [[CPU]]는 [[http://browser.primatelabs.com/geekbench3/search?utf8=%E2%9C%93&q=SC7727S|Geekbench 3 기준]]으로 2011년에 출시된 [[갤럭시 S II]]와 [[http://browser.primatelabs.com/geekbench3/search?q=Samsung+Galaxy+S+II|비슷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ARM Cortex-A7]]과 [[ARM Cortex-A9]] 간의 성능 차이도 존재하지만, 생산된 공정에서 차이가 있기에 동급으로 끌려올라왔다. SC7727S는 28nm HPM 공정이고 엑시노스 4 Dual (4210)은 45nm 공정이다.] 하지만, [[GPU]]는 확실하게 밀리는데, 이는 [[갤럭시 S II]]에 탑재된 [[삼성 엑시노스 4]] Dual (4210)의 [[GPU]]와 동일하게 [[ARM Mali|Mali]]-400을 사용하지만 쿼드코어인 [[갤럭시 S II]]와 달리 싱글코어 구성이기 때문이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768 MB다. 내장 메모리는 4 GB 단일 모델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4.0인치 WVGA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PLS TFT-LCD이다. 4G [[LTE]]는 지원하지 않으며 3G [[WCDMA]]와 2G [[GSM]]만을 지원한다. 애초에 통신 모뎀이 모바일 AP에 통합된 원칩 AP이며 통합된 모뎀 자체가 4G [[LTE]]를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출시 지역이 지역인 만큼 듀얼심 솔루션이 지원된다. 배터리 용량은 착탈식 1,500 mAh이다. 후면 [[카메라]]는 320만 화소를 탑재했으며 불행 중 다행으로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가 온전히 탑재되었다. 전면 [[카메라]]는 3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단자 규격은 일명 '5핀 단자'라 지칭되는 [[USB]] micro Type-B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기기 공개 당시 [[Tizen|타이젠]] 2.3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2.3.0이다. === 기능 === 세계 최초 소비자 대상으로 판매한 [[Tizen|타이젠]] [[스마트폰]]이기에 [[Tizen|타이젠]] 운영체제가 곧 새로운 기능이다. 우선, [[Tizen|타이젠]]이 2.3으로 올라가면서 [[바다(운영 체제)|바다]]에서 사용하던 프레임워크 쪽을 걷어냈기에 부팅 속도나 퍼포먼스는 탑재된 부품들에 비해 빠른 편이다. 다만, 이 덕에 [[애플리케이션]] 개발 난이도는 리셋되었다.(...) 다만, 이 부분이 나쁜 점은 아닌게 기존의 코어 부분을 개발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안드로이드(운영체제)|구글 안드로이드]]에 비유하면, [[달빅#s-2|달빅 가상 머신]]을 제거했다는 것과 비슷한 이치라고 한다.] 또한, 타이젠 2.2에서 물밑작업 중이던 리눅스 기반의 만능 윈도우 매니저 라이브러리인 EFL이 본격적으로 수면 위로 올라와 가벼움을 충족시키려고 하고 있다. == 출시 == 공개와 동시에 인도 시장에 출시되었다. 출고가는 5,700 루피로 이는 2015년 1월 14일 기준 환율로 약 99,000 원 수준이라고 한다. 한국에도 공동 구매가 진행되고 있으며 구매가는 배송비를 포함해 150,000 원 수준이다. 이후, 방글라데시 시장에도 출시가 이루어졌다. 출시 후 10여일만에 약 50,000 대, 한 달만에 약 100,000 대를 판매했고, 약 반 년만에는 대략 100만 대 수준의 판매성과를 올렸다고 한다. 이러한 수치는 [[Tizen|타이젠]]의 성공이나 인도 초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전략적인 성공이라 보기에는 애매하나 단순히 신규 단말기로서 접근하면 실패한 수준은 아니라고 한다. 일단, [[스마트폰]] 시장에 발을 들여놓아서 [[Tizen|타이젠]]의 개발을 계속할 수 있고 미래를 도모할 수 있게 된 것만으로도 성과이다. 하지만, 인도 시장에는 [[샤오미]] 등 [[가격 대 성능비]]로 무장한 중국 제조사 후발주자들도 힘겨워하는 인도 로컬 제조사들이 비슷한 출고가에 더 좋은 사양을 가진 [[스마트폰]]을 중저가형 시장에 풀고있다. [[마이크로소프트]] 모바일이 4,800 루피에서 5,500 루피 대의 저렴한 [[Windows Phone]] [[스마트폰]]을 출시해도 성공을 장담하기 어렵다고 한다. 그래도 [[삼성전자]]의 이러한 정책은 일단 낮은 출고가를 가진 스마트폰으로 [[Tizen|타이젠]]을 대중화시킨 후에 하이엔드 스마트폰을 출시해서 본격적으로 타 운영체제와 경쟁을 할 것이라는 주장도 존재한다. 2015년 6월 12일, 인도 시장에서 [[http://www.androidauthority.com/samsungs-tizen-better-than-anticipated-616302/|약 50만 대 이상 판매 실적을 올려 2015년 1분기에 23.4%의 점유율을 얻었다]]고 한다. 2015년 6월 29일, 인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3개국에서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6/29/0200000000AKR20150629135900077.HTML|2015년 1월부터 5월까지 약 100만 대가 팔렸으며 이는 해당 시장에서는 단일 기종으로 가장 많이 팔린 기기]]라고 한다. 2015년 8월 4일, 네팔 시장에 [[http://www.tizenexperts.com/2015/08/tizen-continues-south-asia-conquest-as-samsung-z1-launches-in-nepal-priced-at-7490-npr-74/|출시 되었다]]고 한다. 출고가는 7,490 네팔 루피로 책정되었다고 한다. 이외에도 인도네시아 시장과 말레이시아 시장에도 [[http://www.tizenexperts.com/2015/11/samsung-z3-tizen-smartphone-coming-to-11-european-countries-including-uk-france-germany-and-russia/|수 개월 내로 판매를 시작할 것]]이라고 한다. 2015년 11월 10일, 누적 판매량이 [[http://www.tizenexperts.com/2015/11/demand-increases-in-korea-for-the-samsung-z3-will-we-see-a-launch-there/|약 170만 대 수준]]이라고 한다. 2016년 2월 16일, 후속작인 [[삼성 Z3|Z3]]와 합쳐서 [[Tizen|타이젠]] [[스마트폰]]의 2015년 전체 판매량이 [[http://www.tizenexperts.com/2016/02/tizen-smartphone-sold-3-million-units-in-2015/|약 300만 대 수준]]을 넘었다고 한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OS 업그레이드 === ==== 2.4 ==== 2015년 8월 24일, 타이젠 2.4의 [[http://www.tizenexperts.com/2015/08/samsung-z1-tizen-2-4-beta-program-opens-apply-now/|베타 테스트 펌웨어가 공개]]되었다. 기본적인 타이젠 2.4의 기본 기능과 함께, * 울트라 데이터 세이빙 모드 * 향상된 메시지 기능과 개인 메시지 및 메모 숨기기 지원 * 좋아하는 노래와 함께 목소리 녹음 기능 지원 * 간편한 동영상 플레이어 컨트롤 * 간편한 메모 작성, 할 일 메모에 추가 * 쉬운 설치 마법사 * 홈 런처 위젯 기능 개선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다고 한다. 2015년 10월 29일, 삼성 Z1의 타이젠 2.4 업그레이드가 [[http://www.tizenexperts.com/2015/10/samsung-begins-rolling-out-tizen-2-4-users-in-india-other-countries-to-follow/|실시]]되었다. == 기타 == [youtube(-JIrjNqldf4)] * 타이젠 2.3 리뷰 영상으로, 해당 버전을 탑재한 기기가 얘 뿐이라 사실상 삼성 Z1 핸즈온 영상이라 할 수 있다. * 타이젠이 탑재되고 소비자 대상으로 판매된 최초의 스마트폰은 맞지만, 최초의 휴대 전화는 아니다. 이미 스마트 워치인 [[삼성 기어 S|기어 S]]가 타이젠 달고 출시되었었다. ~~스마트 워치는 휴대 전화가 아니잖아~~ ~~통신 모뎀 달려있으면 맞지 뭐~~ * 여담으로 제품 본체 색상에 따라서 제공되는 번들 이어폰 색상도 동일하게 제공된다. 또한, 제품 본체 색상과는 관계 없이 박스에 인쇄된 제품 이미지는 화이트 색상으로 고정이다. * 어떤 블로거[* [[MN 위키]]의 운영자라고 한다.]가 이 폰을 구입한 다음 [[웨이브 II]]를 [[http://kalaheim.egloos.com/1212303|망치로 부숴버렸다]](...) ~~얘도 2년쯤 뒤엔 같은 결말을 맞이할지도~~[* 실제로 그럴 징조가 보이고 있다(...) 해당 블로거는 꾸준히 타이젠 관련 글을 올리는 중인데, '''점점 안티로 변해가고 있다.''' 그리고 결국 [[http://kalaheim.egloos.com/1218137|살해 예고장(...)]]이 뜨고 말았다.] * 해외 IT매체 ArsTechnica에서 장문의 자세한 리뷰를 했지만 [[http://arstechnica.com/gadgets/2015/02/samsung-z1-review-the-first-tizen-smartphone-still-feels-like-plan-b/|단 하나의 장점도 없다고 요약할만큼 매우 부정적]]이다. 초저가 하드웨어의 한계를 감안하더라도 타이젠은 2014년 초반 타이젠 데모 때 보여준 것보다도 크게 퇴보했다며 아무런 혁신도 방향성도 보여주지 못하고 안드로이드의 열화복제품에 불과하다고 까고있다. 이러한 퇴보는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 '''하드웨어 사양이 그만큼 낮아졌기 때문'''이다. 당장 공개는 되었으나 출시하지 못한 [[삼성 Z|Z]]의 모바일 AP는 2015년 현재까지도 명기로 칭송받는 [[퀄컴 스냅드래곤]] 800 MSM8974이다. * 주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기 [[애플리케이션]]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전용의 호환성 레이어인 ACL를 통해 구동하는 사례가 많다. 단, 이걸로 다른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apk를 사이드로딩해 구동할 수는 없고[* 타이젠 연합이 ACL 전용으로 미리 포팅해서 타이젠 스토어에 올려놓은 애플리케이션들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CL 공통 컴포넌트도 타이젠 스토어에서 다운받아야 한다.] 로딩도 상당히 느린 편이라고한다. 메이저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WhatsApp의 경우 과거 이런 방식으로 구동되었지만, 타이젠 스토어에 [[http://kalaheim.egloos.com/1219960|네이티브 버전으로 재출시]]를 한 상황이라고 한다. 이후 과도기적 단계였는지 타이젠 2.4 업그레이드 이후 ALC 지원이 중단되었고 ACL 컴포넌트 역시 제거되었다. *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전용의 호환성 레이어인 ACL를 이용해서 안드로이드를 가상 머신으로 구동시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는 ACL 자체가 일종의 컨테이너 방식이었기 때문에 [[UC 브라우저]]의 취약점을 이용해서 안드로이드 런처를 설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해당 방식은 이후 막혔기 때문에 구형 운영체제를 이용해야 한다고 한다. [[분류:스마트폰(기타 운영체제)/삼성]][[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