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상용차|[[파일:삼성상용차 로고.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Ego53634491d3fdb.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mt4989.co.kr/%EC%84%9C%EB%B3%B4%EC%82%BC%EC%84%B120%EC%9A%B4%EC%95%9E.jpg|width=100%]]}}} || || {{{#ffffff '''SM510/SM530'''}}} || [목차] [clearfix] '''Samsung SM510/SM530''' == 개요 == 1994년에서 2000년까지 [[삼성상용차]]에서 [[UD 트럭|닛산 디젤]]의 [[닛산 디젤 빅 썸|빅 썸(Big Thumb)]]을 들여와 한국시장에 대응하여 판매한 대형 [[트럭]]. 빅 썸은 [[쌍용 DA트럭]](DA10 제외)의 원형인 [[닛산 디젤 레조나|레조나]]의 후속 모델로, 1990년부터 2014년까지(일본 내 판매는 2005년까지) 생산되었다. == 설명 == 1990년 6월에 일본 닛산디젤과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고, 1992년 7월에 삼성중공업 대형트럭 기술도입 정부인가를 취득, 같은 해 [[삼성중공업]] 중장비 산하조직 상용차사업부를 발족했다. 1992년 10월에 [[삼성중공업]]과 일본 닛산 디젤 실행 각서가 조인되어 1993년 시험생산, 성능 내구성 시험을 영국 밀부룩에서 치뤘다. 1993년 8월, [[삼성중공업]] 중장비 공장 내에 삼성트럭 조립라인이 준공되어 시제차량 1호차가 생산 완료되어 테스트에 착수했다. 1994년 5월에 출시했다. [[닛산 디젤 R형 엔진|닛산디젤 340마력 RF8 엔진]][* 당시 국내 최대 배기량을 자랑하는 16,991cc였고, 내구성이 뛰어나 작업 현장에서 호평이 자자했다. 트랜스미션의 경우, TPS 시스템을 도입해서 고급 승용차처럼 기어 변속이 부드러웠다는 장점이 있다.]을 장착했다. [[삼성]]의 브랜드 파워와 닛산 디젤의 검증된 모델, [[쌍용자동차|동아자동차]] 시절에도 유명했었던 [[닛산 디젤 R형 엔진]][* 동아자동차 시절 DA10/DA20 트럭, [[동아 HA/HR버스|HA50/HA55 버스]]에도 탑재되었다.]을 [[https://www.etnews.com/199503280059|200만km 무보링 엔진]]이라고 마케팅해 출시 초기에는 돌풍을 일으켜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10100099106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5-01-01&officeId=00009&pageNo=6&printNo=8973&publishType=00010|1994년 히트상품]]으로 선정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특히 대형트럭으로써는 이례적으로 대대적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haMu0M0GVYQ|TV광고]]를 내보내면서, 제대로 위기를 느낀 경쟁자([[현대 대형트럭|현대 91A 트럭]], [[기아 그랜토|아시아 그랜토]], [[대우 차세대트럭]])들도 TV광고를 내보내게 할 정도로 맞대응해 출시 당시 국내 대형트럭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었다. 1996년 SM530이 출시한다. [[닛산 디젤 R형 엔진|닛산디젤 360마력 RG8 엔진]]을 장착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22300329124009&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2-23&officeId=00032&pageNo=24&printNo=15973&publishType=00010|#]] SM530 18.5톤 카고트럭 역시도 1996년 히트상품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1996년 8월, 상용차사업 부문을 [[삼성상용차]]로 분리, 1997년 11월부터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성서산업단지]]로 생산라인을 전체 이전하게 된다. 그릴 오른쪽에 붙은 레터링[* SM530의 경우는 초기형에 한해서 RG8이라고 쓰여있는 스티커가 앞쪽에 붙어있는 경우도 있었다.] 외에는 외관상 차이는 없다. 전면부는 [[대우 차세대트럭]]과 유사한 디자인이며 후기형에는 [[르노코리아자동차|르노삼성자동차]]와 같은 엠블럼이 부착됐다. 2000년 11월에 [[삼성상용차]]의 파산으로 [[삼성 야무진|야무진]]과 같이 단종되었다. 하지만 한국 특유의 과적 문화에 어울리지 않는 허약한 프레임을 갖춰서 외면당한 야무진과 달리 내구성이 뛰어나 SM트럭은 여전히 한국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중이다. [[순천시]]에서는 공업용으로 사용되는데 주황색이고 전면 유리창 하단에 거대하게 영어로 만든 로고가 부착된 초기형이 주류이다. [[동해시]]의 경우 구형 트럭들의 성지라고 불릴 정도라서 2~3분 단위로 돌아다니는 SM트럭을 구경할 수 있다.[* [[쌍용 SY트럭|SY트럭]]이나 [[현대 대형트럭|91A]]는 30초 단위로 SM트럭보다 더 많이 돌아다닌다.] [[삼성상용차]]가 파산한 이후에는 부품 공급이 어려워 [[기아 그랜토|그랜토]]와 더불어 중고 트럭들을 매매하는 업자들이 매입을 거절하는 트럭으로 전락했지만 [[UD 트럭]]의 [[UD 큐온|큐온]]이 한국에 상륙하자 [[볼보트럭|볼보트럭코리아]]를 통한 부품 공급이 다시 이루어짐과 동시에 SM트럭 차주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는다. 동시에 SM트럭은 [[대우 차세대트럭|차세대트럭]], [[쌍용 SY트럭|SY트럭]]과 더불어 기사들과 매매업자들이 가장 호평하는 트럭으로 입지가 상승했다. 하지만 [[기아 그랜토|그랜토]]는 [[기아]]의 생산기지가 위치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를 제외하면 여전히 부품 공급이 어려워서 매매업자들이 기피하는 트럭 신세를 면하지 못한다. 일본 트럭을 베이스로 한 국산 트럭 중에 [[현대 대형트럭|91A]]와 더불어 가장 오래 생존하는 트럭이다. 2020년대에 접어든 지금도 연식을 불문하고 한국의 국토를 활보하고 다닌다. || [[파일:PX281S.png|width=100%]] || [[파일:삼성 PX321S.png|width=100%]] || || PX281S. || PX321S. || || [[파일:삼성 PX361S.png|width=100%]] || [[파일:삼성 PX362S.png|width=100%]] || || PX361S. || PX362S. || [[삼성중공업]]의 공동 생산차량(주로 콘크리트 펌프카)으로는 PX281S(3단 붐), PX321S/SL(4단 붐), PX361S(4단 붐), PX362S(4단 붐)이 있다. 이전에 썼던 트럭섀시는 [[아시아자동차]]의 [[기아 AM트럭|AM트럭]]. 소형 콘크리트 펌프카 MPC55BL16의 트럭섀시는 [[기아 라이노]]였다. 삼성 SM트럭이 나온 이후에도 1997년에 기아 그랜토 차체에 콘크리트 펌프장비를 탑재했다. == 엔진 == || '''{{{#white 엔진}}}''' || '''{{{#white 최대 출력}}}''' || '''{{{#white 최대 토크}}}''' || '''{{{#white 배기량}}}''' || '''{{{#white 실린더}}}''' || '''{{{#white 보어X스트로크}}}''' || '''{{{#white 흡기방식}}}''' || || RF8 || 340 PS at 2,200 rpm || 1,177 Nm at 1,400 rpm || 16,991 cc || V8 || 138 x 142 mm || 자연흡기 || || RG8 || 360 PS at 2,200 rpm || 1,225 Nm at 1,400 rpm || 17,990 cc || V8 || 142 x 142 mm || 자연흡기 || == 사용된 변속기 == * [[6단 수동변속기]] * 10단 수동변속기 * 16단 수동변속기 == 여담 == * 삼성트럭, 특히 덤프트럭 모델은 유난히 주황색 차량이 많은 것으로도 유명하다.~~91A와 마찬가지로 한국 드라마의 차 사고 씬의 필수요소. 쌍라이트 날리면서 돌진하는 장면이 많다~~ 덤으로 [[쌍용 SY트럭]]도 마찬가지. 해당 차량의 오렌지색 페인트는 [[HD현대인프라코어]]의 솔라 굴삭기에 사용되는 도료와 일치하다. * 부산 강서구 신호동 [[르노코리아자동차]] 공장 내에 사내 [[소방차]]로 1대 남아있다. * 18.5톤 8X4 카고트럭(SM530)의 명칭이 압권이었는데, 출시 당시 정식 명칭이 '''앞사발'''이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91100099148008&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6-09-11&officeId=00009&pageNo=48&printNo=9548&publishType=00010|#]] 현업들 사이에서 사용되던 은어를 아예 정식명칭으로 써버린 것이었다. * 원판인 [[닛산 디젤 빅 썸|빅 썸]]도 [[닛산 디젤 레조나|전속 차량]]과 마찬가지로 국내에 직수입된 적 있었는데, [[MBC강원영동|강릉 MBC(현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소속 중계차로 운행 중이다. [[http://www.mediatoday.co.kr/news/photo/201203/100742_93494_1818.jpg|#]][* 참고로 해당 차량은 1998~1999년식으로 국내에서 SM510/530 트럭이 생산되는 와중에 직수입되었다.] * [[르노 트럭]]의 엔진이 탑재 될 뻔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0235188?sid=001|#]] 2000년 11월 부터 탑재 될 예정이었으나 [[삼성상용차]]의 파산으로 무산되었다. [[분류:삼성상용차/생산차량]][[분류:트럭]][[분류:1994년 출시]][[분류:2000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