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성 라이온즈/역대 시즌)] ||||||||||<#dcdcdc,#222222><:> '''페넌트레이스[br]전기리그 성적''' || ||<#dcdcdc,#222222> '''순위''' ||<#dcdcdc,#222222> '''승''' ||<#dcdcdc,#222222> '''무''' ||<#dcdcdc,#222222> '''패''' ||<#dcdcdc,#222222> '''승률''' || || '''1''' || 32 || 0 || 18 || '''0.640''' || ||||||||||<#dcdcdc,#222222><:> '''페넌트레이스[br]후기리그 성적''' || ||<#dcdcdc,#222222> '''순위''' ||<#dcdcdc,#222222> '''승''' ||<#dcdcdc,#222222> '''무''' ||<#dcdcdc,#222222> '''패''' ||<#dcdcdc,#222222> '''승률''' || || '''5''' || 23 || 0 || 27 || '''0.460''' || [목차] == 스토브리그 == === 코칭스태프 이동 === [[이충남]] 감독이 기대와 달리 감독으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재계약을 포기하고, 그를 대신해 [[OB 베어스]]의 원년우승을 이끈 [[김영덕]] 감독을 영입했다. 원래 김영덕이 일본 유학을 가겠다고 하며 OB 구단과 마찰이 빚은 후에 OB를 나왔기에 삼성으로 올 수 있었다. 이에 삼성이 김영덕을 데려오기 위해 수를 썼다는 얘기도 있었지만, 원래 삼성에서는 이충남을 대신해 [[배성서]] 한양대학교 감독, [[강태정]] [[한국화장품 야구단|한국화장품]] 감독, [[김성근]] OB 코치 중 한 명을 감독으로 영입하려 했는데 모두 여의치 않아 [[김진영(1935)|김진영]] [[삼미 슈퍼스타즈]] 前 감독을 영입을 눈 앞에 두고 있었다. 그러던 중 김영덕이 OB 감독직을 사퇴하자 고심 끝에 김영덕에게 감독직을 제안했는데, 김영덕이 떡밥을 덥썩 문 것. 뿐만 아니라 [[롯데 자이언츠]]의 원년 감독인 [[박영길]]을 타격코치로 영입했고, 코치들의 수가 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코치들간 알력 다툼을 막고 선수들의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정동진(1946)|정동진]]을 수석코치로 영입했다. 한편 [[삼미 슈퍼스타즈]]와 [[OB 베어스]]에 이어 3번째로 [[삼성 라이온즈/2군|2군]]을 창설했는데, 삼성은 장기적인 선수 육성을 위해 박창용 前 대구상고 감독을 2군 감독으로 영입했다. === 선수 이동 === 1983년에 [[삼미 슈퍼스타즈]]가 영입한 [[재일 한국인|재일교포]] 투수 [[장명부]]가 대박을 치면서 다른 구단과 마찬가지로 삼성 역시 재일교포 영입에 나섰다. 그리하여 데려온 것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활동하고 있던 '''[[김일융]]'''. 선수 본인은 한국에 올 마음이 별로 없어서 트레이드 형식으로 모셔왔다. 여기에 한국어를 못했던 김일융을 위해 의사소통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재일교포 포수 [[송일수]]를 김일융의 전담포수 겸 트레이닝코치로 영입했다. === 신인 선수 === * 1차 지명 : 권기홍(상업은행 투수), [[김성래]](연세대 내야수), 김준희(영남대 투수), 전용권(한양대 투수), [[정성룡(야구선수)|정성룡]](포철공고 외야수), [[진동한]](고려대 투수), 황규민[* [[황규봉]]의 동생.](한국화장품 투수) * 2차 지명 : 김이수(한양대 외야수) 1984 신인지명에서 삼성은 1·2차 지명을 합쳐 모두 22명을 지명했는데, 그 중 입단한 건 위에 나오는 8명 뿐이었다. 당시 [[실업야구]]팀에서도 나름대로 대우받으면서 선수 생활을 할 수가 있었고, 결정적으로 삼성 선수층이 두텁다 보니 기회를 못 받을 수도 있어 이에 지명된 선수들이 삼성 입단을 기피한 탓도 있었다. 몇 년간 이와 비슷한 일이 계속됐다. == 전지훈련 == [[김영덕]] 감독의 인솔로 다시 일본으로 전지훈련을 떠났다. 김영덕이 [[재일 한국인]]이고 현역 시절 8년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난카이 호크스]]에서 활동하면서 일본프로야구에 박식해 큰 성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됐으나, 폭설 때문에 별다른 소득 없이 2주만에 귀국했다. == 정규 시즌 == 거의 주전만 기용했던 [[김영덕]] 감독의 스타일 때문에 선수단에 비해 기용되는 선수 수는 적었다. 그나마 2루수 [[배대웅]] 부상으로 전반기에 결장하게 되자 [[천보성]]과 [[정진호(1956)|정진호]]가 번갈아 기용된 것 정도. 그래도 매번 다른 선수가 출장하던 지명타자 자리에 [[박승호(야구)|박승호]]가 자리를 잡았고, [[홍승규]]는 여타 선배들을 제치고 좌익수로 자리잡는 등, 소소한 변화는 있었다. [[송일수]] 덕분에 매경기 포수로 출장하지 않아도 된 [[이만수]]는 시즌 초반부터 불방망이를 가동해, 타격 부문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특히 정규시즌 후반에는 ~~김영덕의 기록 지켜주기 때문에~~ 10경기 가량 결장했지만 타율 부문 외에는 이렇다할 경쟁자가 없었을 만큼 여유로웠다. 전기리그 32승 18패를 차지하며 전기리그 1위를 차지했다. 애초에 김영덕은 후기리그에서도 우승해 한국시리즈 개최 자체를 무산시키려고 했으나, 후기리그에서 중위권으로 밀리자 여유 있게 경기를 운영하게 됐다. 이때 코칭스태프에서 '''후기리그 1위로 어떤 팀을 밀어줄 것인가'''로 회의를 했었다. 코치들의 의견은 확실한 에이스가 없는 [[해태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 불고기 항명사건]]으로 쑥대밭이 된 것도 있었다)와 [[OB 베어스]]였으나, 김영덕은 롯데를 선택했다.[* 박영길 당시 타격코치의 회상에 따르면 박영길은 실업야구 시절에 최동원과 같은 팀에서 코치 생활을 했고 그로 인해 최동원이 혼자서 코리아시리즈 4승을 거두는 것을 옆에서 봤었다. 그래서 최동원의 무서움을 잘 알고 있었기에 한국시리즈 상대로 롯데를 점찍는 것을 결사반대하면서 차라리 OB나 해태를 밀어 주자고 했으나 OB는 김영덕 감독이 제대로 뒤통수(...)를 쳤던 경력 탓에 복수심에 불타서 상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기각됐고, 해태는 김종모, 김봉연, 김준환등 김씨 타선의 [[클린업 트리오]]가 무섭다는 점이 걸렸다고 한다. 거기다 최동원의 84시즌 삼성전 성적이 생각보다 좋지도 않았거니와 그 최동원만 믿고 가던게 당시 롯데라서 그냥 롯데가 가장 낫겠다는 생각으로 유야무야 넘어갔다고...] 삼성은 전기리그 때 롯데에게 9승 1패로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고, 시즌 중 [[롯데 자이언츠]]의 에이스 [[최동원]]을 이긴 적이 있다는 것이 김영덕이 롯데를 고른 이유였다. 그러나 [[박영길]] 코치는 [[1981년 코리안시리즈]]를 직접 목도한 선수였고, 완투가 가능한 최동원이 페이스까지 조절하면 상대할 수 없다고 반대했다. 하지만 코치가 감독의 뜻을 꺾을 수는 없었으니 롯데가 한국시리즈 상대로 정해졌다. 그리고 OB와 롯데가 후기리그 1위를 두고 시즌 막바지까지 승부가 치열해지자, 삼성은 롯데가 한국시리즈에 올라오도록 롯데와의 경기에서 일부러 지는 모습, 즉 [[져주기 게임]]을 보였다. 결국 롯데가 후기리그 1위를 차지했다. 한편 삼성은 후기리그에서 23승 27패로 5위를 차지했다. 총 55승 45패로 현재 같은 승률제 방식이라면 2위에 해당하는 성적을 거뒀다. 김영덕 감독은 롯데를 후기리그 1위로 밀어준 것 외에, [[이만수]]의 타율 1위를 지켜주기 위해서 후기리그 후반에는 이만수를 결장시키는 한편 타율 2위였던 롯데의 [[홍문종(야구)|홍문종]]을 상대로 9차례나 고의사구를 지시하는 등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였다. 이 때문에 이만수는 한국프로야구 최초 타격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고도 시즌 MVP에 뽑히지 못했다. [[트리플 크라운/야구]] 참고. === 사건 및 사고 === 초대 [[OB 베어스]] 감독이었던 [[김영덕]] 감독이 [[OB 베어스]]를 떠나 삼성 감독으로 옮기며 OB 선수들도 [[김영덕]] 감독에게 서운한 감정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유독 OB와 충돌이 몇 차례 있었다. 이에 대한 것은 [[삼성 라이온즈/사건사고#s-2|이곳]]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 포스트시즌 == ||||||<#dcdcdc,#222222><:> '''포스트시즌[br]한국시리즈 성적''' || ||<#dcdcdc,#222222> '''승''' ||<#dcdcdc,#222222> '''무''' ||<#dcdcdc,#222222> '''패''' || || 3 || 0 || 4 || |||||| '''[[1984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패배]]''' || 일부러 져주기까지 하며 롯데를 선택했던 결과는 [[1984년 한국시리즈]] 참조.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선수별 개인 성적 == * 진한 표시는 리그 5위내 성적.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 투수는 이닝이 많은 순서대로, 타자들은 타수가 많은 순서대로. === 투수 === * 우완 ||<#dcdcdc,#222222>  ||<#dcdcdc,#222222> 이름 ||<#dcdcdc,#222222> 경기수 ||<#dcdcdc,#222222> 선발등판 ||<#dcdcdc,#222222> 이닝 ||<#dcdcdc,#222222> 승 ||<#dcdcdc,#222222> 패 ||<#dcdcdc,#222222> 세이브 ||<#dcdcdc,#222222> ERA ||<#dcdcdc,#222222> 피안타 ||<#dcdcdc,#222222> 사사구 ||<#dcdcdc,#222222> 탈삼진 || || 29 || [[김시진]] || 39[br](6위) || 26 || '''215'''[br](5위) || '''19'''[br](2위) || 11 || 2 || 3.18 || 178 || 125 || '''154'''[br](3위) || || 1 || [[황규봉]] || 34 || 8 || 108 || 10 || 2 || 4[br](6위) || 3.25 || 109 || 32 || 48 || || 9 || [[양일환]] || 20 || 10 || 64 || 2 || 5 || 1 || 4.64 || 57 || 37 || 20 || || 17 || [[송진호]] || 12 || 2 || 33 || 0 || 1 || 0 || 5.45 || 29 || 29 || 14 || || 41 || 전용권 || 13 || 1 || 26⅓ || 0 || 2 || 1 || 4.44 || 26 || 13 || 6 || || 36 || [[성낙수]] || 6 || 1 || 15⅓ || 0 || 2 || 0 || 4.11 || 21 || 6 || 4 || || 13 || [[진동한]] || 2 || 2 || 5 || 0 || 0 || 0 || 1.80 || 1 || 5 || 0 || || 33 || [[박영진(야구선수)|박영진]] || 1 || 0 || 1 || 0 || 0 || 0 || 18.00 || 3 || 1 || 0 || * 좌완 ||<#dcdcdc,#222222>  ||<#dcdcdc,#222222> 이름 ||<#dcdcdc,#222222> 경기수 ||<#dcdcdc,#222222> 선발등판 ||<#dcdcdc,#222222> 이닝 ||<#dcdcdc,#222222> 승 ||<#dcdcdc,#222222> 패 ||<#dcdcdc,#222222> 세이브 ||<#dcdcdc,#222222> ERA ||<#dcdcdc,#222222> 피안타 ||<#dcdcdc,#222222> 사사구 ||<#dcdcdc,#222222> 탈삼진 || || 28 || [[김일융]] || 38[br](7위) || 23 || '''222'''[br](4위) || '''16'''[br](3위) || 10 || 3[br](8위) || '''2.27'''[br](3위) || 191 || 84 || '''155'''[br](2위) || || 27 || [[권영호(야구선수)|권영호]] || 29 || 18 || 127⅔ || 6 || 8 || 2 || 3.28 || 124 || 61 || 52 || || 26 || [[이선희(야구)|이선희]] || 17 || 8 || 51⅔ || 2 || 4 || 0 || 4.53 || 58 || 26 || 23 || || 48 || 권기홍 || 3 || 0 || 8 || 0 || 0 || 0 || 7.88 || 9 || 5 || 0 || === 타자 === * 포수 ||<#dcdcdc,#222222>  ||<#dcdcdc,#222222> 이름 ||<#dcdcdc,#222222> 경기수 ||<#dcdcdc,#222222> 타수 ||<#dcdcdc,#222222> 타율 ||<#dcdcdc,#222222> 안타 ||<#dcdcdc,#222222> 2루타 ||<#dcdcdc,#222222> 3루타 ||<#dcdcdc,#222222> 홈런 ||<#dcdcdc,#222222> 타점 ||<#dcdcdc,#222222> 득점 ||<#dcdcdc,#222222> 도루 || || 22 || [[이만수]] || 89 || 300 || '''{{{#ff0000 .340}}}'''[br](1위) || 102[br](6위) || 17[br](8위) || 1 || '''{{{#ff0000 23}}}'''[br](1위) || '''{{{#ff0000 80}}}'''[br](1위) || 45[br](9위) || 3 || || 23 || [[이시야마 가즈히데|송일수]] || 64 || 137 || .277 || 38 || 3 || 2 || 2 || 16 || 15 || 1 || || 55 || [[박정환(1957)|박정환]] || 12 || 15 || .200 || 3 || 0 || 0 || 0 || 1 || 0 || 0 || || 37 || [[손상대(야구선수)|손상대]] || 4 || 3 || .333 || 1 || 0 || 0 || 0 || 1 || 0 || 0 || * 내야수 ||<#dcdcdc,#222222>  ||<#dcdcdc,#222222> 이름 ||<#dcdcdc,#222222> 경기수 ||<#dcdcdc,#222222> 타수 ||<#dcdcdc,#222222> 타율 ||<#dcdcdc,#222222> 안타 ||<#dcdcdc,#222222> 2루타 ||<#dcdcdc,#222222> 3루타 ||<#dcdcdc,#222222> 홈런 ||<#dcdcdc,#222222> 타점 ||<#dcdcdc,#222222> 득점 ||<#dcdcdc,#222222> 도루 || || 12 || [[함학수]] || 100 || 318 || .277 || 88 || 12 || 0 || 9 || 45[br](10위) || 38 || 12 || || 15 || [[김근석]] || 86 || 281 || .299[br](9위) || 84 || 13 || 0 || 5 || 30 || 29 || 3 || || 16 || [[오대석]] || 77 || 231 || .286 || 66 || 10 || 2 || 7 || 34 || 31 || 4 || || 21 || [[박승호(야구)|박승호]] || 92 || 220 || .277 || 61 || 11 || 1 || 3 || 23 || 28 || 5 || || 7 || [[천보성]] || 64 || 180 || .217 || 39 || 8 || 0 || 2 || 20 || 20 || 5 || || 35 || [[김한근]] || 58 || 125 || .208 || 26 || 8 || 0 || 0 || 10 || 11 || 1 || || 3 || [[배대웅]] || 43 || 104 || .240 || 25 || 2 || 0 || 0 || 5 || 5 || 4 || || 6 || [[정진호(1956)|정진호]] || 43 || 103 || .291 || 30 || 4 || 0 || 0 || 10 || 19 || 1 || || 5 || [[김성래]] || 39 || 59 || .186 || 11 || 2 || 0 || 1 || 3 || 6 || 0 || || 25 || [[김동재]] || 24 || 30 || .067 || 2 || 0 || 0 || 0 || 3 || 3 || 1 || * 외야수 ||<#dcdcdc,#222222>  ||<#dcdcdc,#222222> 이름 ||<#dcdcdc,#222222> 경기수 ||<#dcdcdc,#222222> 타수 ||<#dcdcdc,#222222> 타율 ||<#dcdcdc,#222222> 안타 ||<#dcdcdc,#222222> 2루타 ||<#dcdcdc,#222222> 3루타 ||<#dcdcdc,#222222> 홈런 ||<#dcdcdc,#222222> 타점 ||<#dcdcdc,#222222> 득점 ||<#dcdcdc,#222222> 도루 || || 10 || [[장효조]] || 89 || 309 || '''.324'''[br](4위) || 100[br](8위) || '''19'''[br](4위) || '''7'''[br](2위) || 7 || 44 || '''56'''[br](4위) || 8 || || 4 || [[장태수(1957)|장태수]] || 74 || 192 || .268 || 55 || 13 || 2 || 2 || 8 || 40 || 10 || || 38 || [[홍승규]] || 72 || 183 || .235 || 43 || 9 || 1 || 3 || 19 || 24 || 7 || || 31 || [[허규옥]] || 52 || 139 || .237 || 33 || 4 || 1 || 0 || 13 || 13 || 1 || || 20 || [[정현발]] || 54 || 132 || .280 || 37 || 6 || 0 || 10 || 28 || 23 || 2 || || 24 || 김이수 || 48 || 117 || .197 || 23 || 5 || 1 || 2 || 10 || 19 || 6 || || 18 || [[황병일]] || 37 || 51 || .137 || 7 || 1 || 0 || 2 || 5 || 4 || 0 || || 44 || [[박찬(1955)|박찬]] || 20 || 36 || .167 || 6 || 0 || 0 || 0 || 3 || 3 || 1 || || 11 || [[정성룡(야구선수)|정성룡]] || 21 || 33 || .273 || 9 || 0 || 0 || 0 || 2 || 3 || 0 || == 수상 및 기록 == * [[김시진]] : 전구단 상대 승리 * [[김일융]] : 전구단 상대 승리 * [[황규봉]] : 승률 1위(0.883(10승 2패)) * [[이만수]] :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타율 1위(.340), 홈런 1위(23개), 타점 1위(80타점), 장타율 1위(.633) * [[장효조]] : 골든글러브 우익수 부문, 출루율 1위(.424) [[분류:삼성 라이온즈/198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