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스타크래프트)] [include(틀:삼성 갤럭시/스타크래프트)] [[99 PKO]] 시절부터인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선수들을 지원하고 있었으며, 초대 감독은 [[정수영(e스포츠)#s-1|정수영]] 감독이었다. 당시 선수들은 성적은 신통치도 않았고, 팀의 사정이 좋지 않았다. 그러던 와중에 2001년, [[e스포츠]]의 [[레알 마드리드]]인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가 창단을 하면서 스카웃 되어 옮겨버렸다. 그 후 무려 02 시즌에서 03 시즌 초까지 2년간 '''[[개판 5분 전|감독 없이]]''' 구단 [[프런트]]가 관리하는 상태가 되었다가 2003년부터 늦여름부터 팀의 게이머로 있던 '''[[김가을(e스포츠)|김가을]]'''이 학업 때문에 은퇴를 했었으나, 구단의 부탁으로 최초의 e스포츠 프로게이머 출신 겸 여성 감독으로 부임을 한다. [[스타크래프트]] 팀으로서는 2005년 이전까지 전형적인 약체팀으로, 그야말로 고난의 연속이었다. 2004년 하반기에 영입한 [[이용범(e스포츠)|이용범]][* 이용범은 2003년 [[WCG]] 금메달을 수상하였고, [[SG 패밀리]]와 [[하이트 스파키즈|KOR]]의 유망주였'''었'''다. 허나 그 해 연말에 삼성에서도 방출당하고 이후에는 아마추어로만 활동하더니, 나중에는 절도범으로 전락했다.]이 바로 팀의 에이스 취급을 받을 정도였고,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T1]]에서 이적했던 [[저그]] 출신 [[이창훈(프로게이머)|이창훈]]의 말에 의하면 자신이 삼성에 들어갈 당시 팀플에 대한 개념 자체가 아예 없는 상태였다고 한다. 당시 삼성의 주요 팀원은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슈마 GO]] 출신인 [[최인규(1981)|최인규]], [[김근백]]과 랜덤 게이머 [[이현승(프로게이머)|이현승]]이 있었고, 3테란으로 유명한 프랜차이즈 선수인 [[최우범|최수범]][* 선수 생활과 지도자 생활을 합쳐 18년 이라는 세월을 했다. 선배 김가을과 함께 원 클럽 플레이어다.] 등. [[김가을(e스포츠)|김가을]] 감독이 말하길 이 시절에는 대체 '''[[노답|어디서부터 손을 대야할 지 모를 정도였다고 한다]]'''. 최인규의 영입도 사실 경기력으로 [[에이스]] 역할을 해주기보다는, 경험 많은 선수로써 팀 내에서 [[베테랑|정신적 지주]]가 한 명 있어야한다는 생각에 영입했다고... 즉, [[2004년]] 말까지의 삼성에게 있어 일종의 [[리빌딩]] 과정이었던 셈이다. 이 시기까지 삼성전자 칸의 이미지는 [[쌍방울 레이더스|외인구단]]의 노릇이었다. 2005년 이전까지 팀 단위 리그 성적도 2003년에 8팀이 본선 무대에 진출할 수 있었던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에서는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KTF EVER Cup]] 7위,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neowiz Pmang Cup]] 예선 탈락, 2004년에 11개 모든 팀이 풀리그로 경기를 치룬 [[SKY 프로리그 2004 1Round]]에서는 10위, 5팀씩 양대 리그로 나뉜 [[SKY 프로리그 2004 2Round|2Round]]와 [[SKY 프로리그 2004 3Round|3Round]]는 각각 4위, 5위를 기록했다. [[팀리그]]에서는 2003년에 개최된 계몽사배와 라이프존배는 예선에서 탈락하고, LG IBM배는 패자 4강에서 광탈, 투싼배는 예선 탈락, MBC MOVIE배는 8강 풀리그에서 8위를 기록할 정도였다.[* 특히 MBC MOVIES배에서는 당시 아마추어인 [[주영달]]을 냈다가 몰수패를 당하고, 그 다음 경기에 불참해서 부전패를 당했다.] 그리고 개인리그도 이 못지 않게 [[양대리그]]에서 본선 진출자는 몇몇을 배출하긴 했지만, 4강까지도 가지 못했을 정도였다. 비록 [[이현승(프로게이머)|이현승]]의 [[iTV 랭킹전]] 6차 대회에서의 3위, [[최수범]]과 [[김근백]]의 [[IOPS 스타리그 04~05]] 8강 진출, [[최수범]]의 스타리그 3회 본선 진출, [[최인규(1981)|최인규]]의 [[하나포스 센게임 MSL]] 본선 진출 등의 성적은 있었지만 최소 스타리그 4강 진출 혹은 MSL 패자준결승 진출자를 배출했던 다른 11개팀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오죽하면 2003년과 2004년 경에 큰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최대규모급의 대회였던 [[KT-KTF 프리미어 리그]]에서도 삼성전자 칸은 다른 10개 팀과는 다르게 '''두 차례나 개최된 대회에서 단 한 명의 본선 진출자도 배출하지 못하였을 정도'''다. 1차 대회에서는 KTF 매직엔스 5명([[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홍진호]], [[송병석]], [[이윤열]], [[박신영(프로게이머)|박신영]]), 한빛 스타즈(後 [[웅진 스타즈]]) 3명([[변길섭]], [[박정석]], [[박경락]]), 슈마 GO(後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3명([[이재훈(1981)|이재훈]], [[서지훈]], [[강민]]), 동양 오리온 2명([[임요환]], [[박용욱]]), AMD 드림팀 2명([[장진수]], [[장진남]]), [[SouL]] 2명([[박상익]],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KTEC Plus(後 르까프 오즈 → [[화승 오즈]]) 1명([[성학승]]), KOR 1명([[전태규]]), POS(後 [[MBC GAME HERO]]) 1명([[도진광]]), 2차 대회에서는 KTF 매직엔스 7명(변길섭, 김정민, 홍진호, [[강민]], [[한웅렬]], 조용호, 박정석), SK텔레콤 T1 6명([[최연성]], 성학승,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임요환, [[박정길(프로게이머)|박정길]], 박용욱), GO 3명(박태민, 서지훈, [[김환중]]), 팬택 앤 큐리텔 큐리어스(後 [[위메이드 폭스]]) 2명([[이병민]], [[이윤열]]), KOR 1명([[차재욱]]), POS 1명([[박성준(1986)|박성준]])으로, 삼성전자 칸만 당시 11개 팀들 가운데에서는 유일하게 본선 진출자를 단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하였다.][* 비록 [[이현승(프로게이머)|이현승]]이 그나마 [[iTV 랭킹전]] 6차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긴 하였지만 이마저도 당시 iTV 랭킹전은 쇠퇴하고 있었고, 그 때에도 큰 영향력을 가진 양대 게임방송사들의 대회인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MBC GAME 스타리그]] 혹은 [[KT]]와 [[KTF]]에서 개최한 최대 규모급 대회였던 [[KT-KTF 프리미어 리그]]에서 올린 성적이 아니었기 때문에 큰 주목을 받지는 못하였다.] 사실 이 시기의 주요한 성과는 [[스타크래프트]] 팀이 아니라 [[워크래프트 3]] 팀에서 더 많이 냈다. [[강서우]]와 [[장용석]]을 필두로 [[hello apM WEG]]라는 워3 팀 단위 리그에서 3위를 일궈내기도 했고, 장용석은 마지막 온게임넷 워3리그에서 [[장재호(프로게이머)|장재호]]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당시 장용석은 워크래프트 3에서 미래가 상당히 기대되는 최고의 유망주였으나, 이후 [[워3 프라임리그 맵 조작 사건]] 등 여러 이유로 대회가 사라지고 의욕을 잃으면서 스타크래프트 종목으로 전향하였다.] 또한 강서우는 비록 우승은 못했지만 양대 방송사 개인리그인 온게임넷 워3리그와 MBC GAME 프라임리그 모두 결승전에 진출해서 준우승을 한 적이 있다. 그래도 스타크래프트 팀의 입장에서 2004년 막바지에는 희망을 보게 된다. 바로 [[온게임넷 챌린지리그]]에서 우승자를 배출해낸 것. 그 게이머는 바로 '''[[송병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스타크래프트, version=392)] [[분류: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