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성어]] [목차] == [[고사성어]] 三三五五 == === 뜻 === ||<-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三]]'''}}} || {{{+5 '''[[三]]'''}}} || {{{+5 '''[[五]]'''}}} || {{{+5 '''[[五]]'''}}} || || 석 '''삼''' || 석 '''삼''' || 다섯 '''오''' || 다섯 '''오''' || > 서너 사람 또는 다여섯 사람들이 같이 다니거나 무슨 일을 하는 것 > 여기저기 몇몇 씩 흩어져 있는 모양 == 유의어 == > 삼오삼오(三五三五) > 서너 사람 또는 대여섯 사람이 떼를 지어 다니거나 무슨 일을 함. 또는 그런 모양. == 유래 == 당나라 시인 이백의 <채련곡>이라는 작품에서 볼 수 있다. 약야계(若耶溪) 옆의 연꽃 따는 아가씨들(若耶溪傍采蓮女) 연꽃 사이에 두고 웃고 이야기 나누네(笑隔荷花共人語) 햇빛은 새로 화장한 얼굴 비춰 물속까지 환하고(日照新妝水底明) 바람이 향기로운 소매 날려 공중에 펄럭이네(風飄香袂空中舉) 언덕 위엔 뉘집의 풍류 즐기는 사내들인가(岸上誰家遊冶郎) 삼삼오오 짝 지어 수양버들 사이에 비추누나(三三五五映垂楊) 자류마(紫騮馬) 울며 지는 꽃 속으로 들어가니(紫騮嘶入落花去) 이것 보고 주저하며 부질없이 애끓는다오(見此踟躕空斷腸) 위 시에서 처럼 삼삼오오는 사람들이 서너 명이 무리지어 몰려다니는 모습을 표현한다. 많은 인원이 아닌 서너 명이 무리를 이룬 것을 말한다. === 예시 === > 어린아이들이 삼삼오오 모여, 재미있게 놀고 있었다. === 여담 === * 장학퀴즈 760~790회의 1라운드 형식으로 진행했는데, 이 사자성어과는 내용이 다르며 3가지 유형의 문제를 5개씩 출제되는 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