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문서2,프로젝트1=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프로젝트2=나무위키 호남권 프로젝트)] ||<-6><:>{{{+2 '''삼례역'''}}} || ||<:><-2>[[용산역|{{{#!html
용산 방면}}}]][[익산역|익 산]][br]← 13.6 ㎞||<:><-2>[[무궁화호|{{{#!html
전라선
무궁화호
}}}]]||<:><-2>[[여수엑스포역|{{{#!html
여수엑스포 방면}}}]][[전주역|전 주]][br]11.9 ㎞ →|| ||<:><-2>[[용산역|{{{#!html
용산 방면}}}]][[익산역|익 산]][br]← 13.6 ㎞||<:><-2>[[누리로|{{{#!html
전라선
누리로
}}}]]||<:><-2>[[여수엑스포역|{{{#!html
여수엑스포 방면}}}]][[전주역|전 주]][br]11.9 ㎞ →|| ||<-6><:>[include(틀:지도,장소=35.904169 127.066353,너비=100%,높이=225px)]|| ||<-6><:><#c0c0c0>'''다국어 표기'''|| ||<:><-2>[[영어]] ||<:><-4>Samnye || ||<:><-2>[[한자]] ||<:><-4>參禮 || ||<:><-2>[[중국어]] ||<:><-4>参礼 || ||<:><-2>[[일본어]] ||<:><-4>サムニェ || ||<:><-6><#c0c0c0>'''주소''' || ||<:><-6>[[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역로 83[br](舊 후정리 283-13) || ||<:><-6>'''관리역 등급'''|| ||<:><-6>[[보통역]][br]([[전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전북본부)|| ||<:><-6><#c0c0c0>'''일반 철도'''|| ||<:><-3>[[전라선]] 개업일||<:><-3>1914년 11월 17일|| ||<:><-3>[[무궁화호]] 영업개시일||<:><-3>1984년 1월 1일|| ||<-6><#c0c0c0><:>'''열차거리표'''|| ||<:><-2><#ffffff>[[익산역|{{{#!html
익산 방면}}}]][[동익산역|동익산]][br]← 10.8 ㎞||<:><-2>'''[[전라선]]'''[br]삼 례||<:><-2><#ffffff>[[여수엑스포역|{{{#!html
여수EXPO 방면}}}]][[동산역|동 산]][br]4.0 ㎞ →|| ||<-6><:> [[삼례역 #s-3|{{{#ffffff '''↓ 여객열차 운행계통 보기 ↓'''}}}]] || ||이 역과 동익산역 사이에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던 [[춘포역]]이 있었으나 2011년 5월 13일자로 폐역되었다. || {{{+1 參禮驛 / Samnye Station }}} [[파일:attachment/1318F4454DFAC303025F96.jpg|width=550]] 현 삼례역사(2011~) [[파일:external/planar.co.kr/1375476283.jpg]] 삼례역 구역사.(1997-2011) [목차] == 개요 == [[전라선]]의 철도역.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역로 83 (舊 후정리 283-13번지)에 위치해 있다. == 역사 == 걸어서 5분 정도의 거리에 [[우석대학교]]가 있고, 완주군 내에서 인구가 가장 많았던[* 2000년대 후반부터 전주 제3공업단지가 조성된 봉동읍에 밀려 2위로 떨어졌다.] 삼례읍내에 위치하고 있어 이용객이 꽤 많은 편이며, 전라선 상하행 26편의 전라선 [[무궁화호]] 열차 중 상하행 단 한 편씩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2008년]] [[11월 1일]]부로 화물열차 취급이 중단되었다. 역이 마을 한가운데에 놓여있는 형국이라 역 주변 구간에 새로 놓일 복선 선로는 현재 선로에 비해 약간 지반을 낮춰서 짓고 있었는데, 구 역사는 이러한 계획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의 단선 선로에 맞춰 지은 것이라서 역사를 전주 방면으로 약간 옮겨서 지었고 2011년 6월 1일자로 신 역사로 이전했다. 문제는 구 역사가 (신 역사로 옮긴 시점 기준) 지은 지 15년도 안 된 건물이라는 것이다(...). 구 역사는 세계 막사발 미술관으로 사용 중이며, 단선 시절 전주로 향하던 만경강 철교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주변에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버스나 택시를 타려면 왠지 역 앞에 있는 버스/택시 환승센터에서 타야 정석일 것 같지만 버스타는곳이 나뉘어 있는데 전주로 가는 버스는 그곳에서 타는것이 맞고 익산이나 삼례읍내로 가는 버스는 약 300m(..) 쭉 가다보면 구 역사(세계 막사발 미술관) 옆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익산, 또는 삼례 읍내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다. 전주로 향하는 버스는 배차간격에 유의할 것. --하지만 전주시 시내버스 개편으로 혜택을 제대로 보는 곳중 하나다. 71번 버스가 이곳까지 연장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 71번은 우석대로 연장되고대신 73번이 들어오는데, 기존 373, 374 노선과 완전히 다를 뿐더러 373+374 배차 간격에 두세번 더 추가된 정도이다. 뭐, 이서나 혁신도시로 간다면 72번보다는 훨씬 빠르니까 시간만 잘 맞춘다면 개이득이겠지만.] 역 북쪽 인근에 급곡선 구간이 있는데, 곡선반경은 무려 '''R=400m'''으로 [[호남선]] [[계룡역]]~[[개태사역]] 구간의 급곡선과 같은 수준이다. 원래 이 구간은 전라선 익산~신리 구간 복선전철화 당시 R=1200m로 개량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http://www.samboeng.co.kr/upfiles/bc/result01_47.gif|참고 이미지]]], 결국 기존 선형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었다. == 여객열차 운행계통 ==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padding:12px" {{{+1 일반철도 노선 틀을 통폐합하자는 토론이 진행중입니다.}}} 현재 [[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의 토론방에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의견 개진을 원하는 사용자는 '''[[https://namu.wiki/topic/52781|해당 토론]]으로 이동해 주시길 바랍니다.''' 토론이 종결되면 해당 틀을 떼어주시기 바랍니다.}}} ||||||||||||<#FFFFFF><:> {{{#000000 '''급행여객열차'''}}} || ||||||||||<:><#f55839> '''[[무궁화호|{{{#ffffff 전라선 무궁화호}}}]]''' || ||<:> [[용산역|{{{#gray 용산}}}]] {{{#gray 방면}}}[br][[익산역|{{{#000000 익 산}}}]] ||<:> {{{+1 ←}}}[br]13.6 km ||<:> {{{#000000 '''삼 례''' }}} ||<:> {{{+1 → }}}[br] 11.9 km ||<:>[[여수엑스포역|{{{#gray 여수EXPO}}}]] {{{#gray 방면}}}[br][[전주역|{{{#000000 전 주}}}]]|| ||<-5><:>'''[[누리로|{{{#ffffff 전라선 누리로}}}]]'''[* 2016년 12월 9일 부터 시행]|| ||<:> [[용산역|{{{#gray 용산}}}]] {{{#gray 방면}}}[br][[익산역|{{{#000000 익 산}}}]] ||<:> {{{+1 ←}}}[br]13.6 km ||<:> {{{#000000 '''삼 례''' }}} ||<:> {{{+1 → }}}[br] 11.9 km ||<:>[[여수엑스포역|{{{#gray 여수EXPO}}}]] {{{#gray 방면}}}[br][[전주역|{{{#000000 전 주}}}]]||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 [[분류:전라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