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삼덕역'''}}} || ||<-3>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North Korea Sotuh Pyongan Samdeok station, 너비=100%, 높이=225px)]}}}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Samdŏk || || [[한자]] ||<-2><|2> 三德 || || [[중국어]] || || [[일본어]] ||<-2> サムドク || ||<-3> '''주소''' || ||<-3> [[평안남도]] [[성천군]] 삼덕리 || ||<-3> '''역 등급''' || ||<-3> (평양철도총국 관리) || ||<-3> '''운영 기관''' || || [[평덕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평덕선]] ||<-2> 1942년 9월 18일 || ||<-3> '''열차거리표''' || || [[평양역|{{{#585858 {{{#!html
평양 방면
}}}}}}]][[성천역|성 천]][br]← 7.0 ㎞ || '''[[평덕선]]'''[br]삼 덕 || [[구장청년역|{{{#585858 {{{#!html
구장청년 방면
}}}}}}]][[신성천역|신성천]][br]6.1 ㎞ → || {{{+1 三德驛 / Samdŏk Sta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덕선]]의 철도역. [[평안남도]] [[성천군]] 삼덕리 소재. == 상세 == 삼덕은 원래부터 있었던 지명이다. 해방 당시에는 이역과 [[신성천역]]등이 삼덕면이라는 이름을 이루고 있었다. 이것은 조선시대에 삼기방(삼기면)의 기암리, 초리, 호덕리 를 합치면서 세개의 덕이라는 이름으로 삼덕리라 했고 1896년 행정 정비를 하며 방이 면이되었다. 1914년 성암면을 합쳐 삼덕면이 된 것이다. 원삼덕리는 1951년 기창리에 흡수되고 지금의 삼덕리는 삼덕역이 포함된 문원리, 노동리, 성천면의 상부리를 합쳐 새로 만든 리이다. 철도가 행정 구역 이름을 바꾼 사례. 산지이지만 비류강 계곡을 따라 철도가 놓여있다. [[분류:평덕선]][[분류:194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