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36호 ||<|2> ← || '''37호''' ||<|2> → || 38호 || || [[천도교 중앙대교당]] || '''삼군부 총무당''' || [[금암기적비]]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7호}}}]]''' || ||<-2> {{{#fff {{{+1 '''삼군부 총무당'''}}}[br]{{{-1 三軍府 淸憲堂}}}}}}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삼선공원,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4길 147[br]([[삼선동]] 303)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 || '''{{{#fff 수량 / 면적}}}''' || 건물 1棟, 토지 443.2㎡ || || '''{{{#fff 지정연도}}}''' || [[1978년]] [[12월 18일]]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육군사관학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군부총무당.jpg|width=100%]]}}} || || {{{#fff ''' 삼군부 총무당[*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1/%EC%82%BC%EA%B5%B0%EB%B6%80%EC%B4%9D%EB%AC%B4%EB%8B%B91.jpg|사진 출처 – 위키백과.]]] '''}}} || [목차] [clearfix] == 개요 == [[삼군부]]의 청사였던 건물이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 삼선공원 내에 있다. == 역사 == 삼군부는 [[조선]] 초기에 군정과 군령을 총괄하던 관서로, 정식 명칭은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였다. 삼군부는 [[태종(조선)|태종]] 이후 군정 기능은 [[병조]]로, 군령 기능은 [[오위]]로 분할 및 귀속되며 사라졌다가, 1865년([[고종(대한제국)|고종]] 2년)에 [[흥선대원군]]이 재설치했다. 자세한 내용은 [[삼군부]] 문서 참조. 총무당은 재설치 3년 뒤인 1868년(고종 5년) 양 옆의 부속 건물인 청헌당(淸憲堂), 덕의당(德義堂)과 함께 건립되었다. 위치는 [[예조]]가 있던 곳으로 원래 예조가 들어오기 전에는 조선 건국 초 삼군부 관청 부지였으며, 지금의 [[정부서울청사]] 자리이다. 1880년(고종 17년)에 [[조정#s-3]]에서 [[삼군부]]를 폐지하고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면서 총무당은 통리기무아문의 청사가 되었고, 1894년(고종 31년) 이후에는 [[시위대]]에서 청사로 이용했다. 1910년([[융희]] 4년)부터 1926년 [[순종(대한제국)|순종]]이 승하할 때까지는 [[조선보병대]]에서 사령부로 사용했다. 이후 [[1930년대]]에 [[일본 제국|일제]]는 총무당을 [[성북구]] [[돈암동]]으로 옮겼다. 1942년 2월에는 [[경기도]]에서 공무원연수장으로 사용했다가 [[8.15 광복|광복]] 후에는 서울시직업훈련원에서 사무실로 쓰기도 했다. 1979년에 대대적으로 보수하고 옛 모습대로 복원했다. 1978년 12월 18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7호로 지정받았다. == 구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총무당현판.jpg|width=100%]]}}} || || {{{#fff ''' 삼군부 총무당 현판[*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123&ccbaKdcd=21&ccbaAsno=0037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건물 전면에 '총무당'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다. 조선 후기 무신이자 [[강화도 조약]] 당시 조선 측 대표였던 [[신헌]](초명 신관호)의 글씨라 전해진다. * 정면 5칸, 측면 3칸, 총 15칸 건물이다. 기단석 3벌 위에 4각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2고주 7량가 건물을 올렸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이며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무출목 이익공으로, 쇠서 형태이다. 지붕 위에는 용두를 올렸으며 지붕마루는 기와로 마감했다. * 전면 가운데 대청칸 외면에는 출입문을 설치하고 그 위에 교창을 달았다. 건물 뒷면, 측면, 온돌방 외면에는 하단에 머름을 둔 창을 달았다. 문과 창 모두 사분합이다. * 건물 전면의 기둥에는 주련이 걸려있다. * [[조선시대]]에는 총무당이 가운데에 있었고, 양 옆에 [[삼군부 청헌당|청헌당]]과 덕의당이 있었으며 두 건물 다 총무당과 복도로 이어져있었다고 한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삼군부 청헌당, version=2)] [[분류:조선군]][[분류:조선/건축]][[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