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70ba47 '''{{{+1 삼각창{{{#0066bd 의}}} 밖{{{#0066bd 은}}} 밤}}}'''[br]さんかく窓{{{#0066bd の}}}外側{{{#0066bd は}}}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단행본 만화.jpg|width=100%]]}}} || || '''{{{#70ba47,#70ba47 장르}}}''' ||[[미스터리]], [[호러물|호러]], [[브로맨스]] || || '''{{{#0066bd,#0066bd 작가}}}''' ||[[야마시타 토모코]] || || '''{{{#70ba47,#70ba47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리브레[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원씨아이]] || || '''{{{#0066bd,#0066bd 연재처}}}''' ||월간MAGAZINE BE×BOY || || '''{{{#70ba47,#70ba47 레이블}}}''' ||쿠로후네COMICS || || '''{{{#0066bd,#0066bd 연재 기간}}}''' ||2013년 4월호[* 2013년 3월 7일.] ~ 2021년 1월호[* 2020년 12월 7일.] || || '''{{{#70ba47,#70ba47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1권 ,,(2021. 12. 20. 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1권 ,,(2022. 12. 23. 完),,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만화. MAGAZINE BE×BOY(리브레)에서 2013년 4월호부터 2021년 1월호까지 연재되었다. 영혼이 보이는 서점원과 제령사인 남자가 심령탐정 콤비를 짜서 제령이나 연쇄살인사건의 수수께끼를 쫓는 미스터리 호러 만화이며, 브로맨스에 가깝기 때문에 보이 러브 만화로 보여지기도 한다. == 줄거리 == ||
서점에서 일하는 미카도 고스케는 언뜻 평범한 청년이지만 어릴 때부터 영혼이 보이는 특이체질에 시달리고 있었다. 어느날 서점에 찾아오는 제령사 히야카와 리히토가 그 체질을 알아내 권유에 의해 그의 제령사무소의 조수가 되었다. 여러가지 의뢰를 받고 제령업무를 하는 가운데, 두 사람은 형사인 한자와 히로키로부터 1년 전에 일어난 연쇄살인사건 이야기를 꺼내게 되어 그 수수께끼를 쫓게 되었다. || == 발매 현황 == ||
'''{{{#ffffff,#dddddd 01권}}}''' || '''{{{#ffffff,#dddddd 02권}}}''' || '''{{{#ffffff,#dddddd 03권}}}''' || ||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1권 (한국).jpg|width=100%]] ||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2권 (한국).jpg|width=100%]] ||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3권 (한국).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4년 02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12월 1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5년 02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6년 01월 1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03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6년 08월 15일''' || || '''{{{#ffffff,#dddddd 04권}}}''' || '''{{{#ffffff,#dddddd 05권}}}''' || '''{{{#ffffff,#dddddd 06권}}}''' || ||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4권 (한국).jpg|width=100%]] ||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5권 (한국).jpg|width=100%]] ||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6권 (한국).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12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01월 1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08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06월 1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07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6월 15일''' || || '''{{{#ffffff,#dddddd 07권}}}''' || '''{{{#ffffff,#dddddd 08권}}}''' || '''{{{#ffffff,#dddddd 09권}}}''' || ||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7권 (한국).jpg|width=100%]] ||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8권 (원판).jpg|width=100%]] ||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9권 (원판).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09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6월 02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2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02월 22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9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07월 27일''' || || '''{{{#ffffff,#dddddd 10권}}}''' || '''{{{#ffffff,#dddddd 그 후(完)}}}''' || ||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10권 (원판).jpg|width=100%]] ||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그 후 (한국).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03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11월 2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12월 2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23일''' || == 등장인물 == * '''하야카와 리히토'''(冷川理人) {{{-1 - 성우. [[반 타이토]](드라마 CD), [[하타노 와타루]](TVA) [[코바야시 유우]](TVA어린시절) / 배우: [[오카다 마사키]]}}} 주인공. 제령사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낮다. 186cm. * '''미카도 코스케'''(三角康介) {{{-1 - 성우: [[이시야 하루키]](드라마 CD), [[시마자키 노부나가]](TVA) / 배우: [[시손 쥰]]}}} 주인공. 어렸을 때부터[* 어렸을때 성우는 [[타카하시 리에]].] 유령이 보이는 체질을 가지고 있다. 하야카와의 만남으로 인해 제령의 길에 뛰어들게 된다. 편모가정. 키는 177cm로 히야카와보다 9cm 작다. * '''히우라 에리카'''(非浦英莉可) {{{-1 - 성우: [[안자이 치카]] / 배우: [[히라테 유리나]]}}} 햐아카와와 미카도의 사정을 어떠한 이유로 알게 된 여자 고등학생. 16세. * '''한자와 히로키'''(半澤日路輝) {{{-1 - 성우: [[미카미 사토시]] / 배우: [[타키토 켄이치]]}}} 살인과 형사. 오컬트를 믿지 않는다. * '''무카에 케이타'''(迎系多) {{{-1 - 성우: [[사이토 소마]]}}}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은 점술가. 29세. * '''사카키 카즈오미'''(逆木一臣) {{{-1 - 성우: [[스와베 준이치]]}}} 에리카의 심복. 양아치 출신. 28세. * '''선생님'''(先生) {{{-1 - 성우: [[히라타 히로아키]]}}} * '''야마이'''(山井) * '''코스케의 어머니'''(康介の母) {{{-1 - 성우: [[혼다 타카코]]}}} 남편과는 오래전에 헤어진 후 코스케를 혼자 키웠다. == 미디어 믹스 == === 영화 === ||<-2>
{{{#ffffff,#dddddd '''{{{+1 삼각창의 밖은 밤}}}'''[br]さんかく窓の外側は夜[br]The Night Beyond the Tricornered Window}}}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삼각창의 밖은 밤 영화.jpg|width=100%]]}}} || ||<-2>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dddddd 원작}}}''' ||[[야마시타 토모코]] || || '''{{{#ffffff,#dddddd 감독}}}''' ||모리가키 유다이(森ガキ侑大) || || '''{{{#ffffff,#dddddd 각본}}}''' ||아이자와 토모코(相沢友子) || || '''{{{#ffffff,#dddddd 제작}}}''' ||후지타 다이스케(藤田大輔)[br]후쿠시마 다이스케(福島大輔)[br]타부치 미노리(田渕みのり) || || '''{{{#ffffff,#dddddd 제작 총지휘}}}''' ||오오와다 우이치(大和田宇一)[br]요시다 시게아키(吉田繁暁) || || '''{{{#ffffff,#dddddd 출연}}}''' ||[[오카다 마사키]][br][[시손 쥰]][br][[히라테 유리나]][br][[타키토 켄이치]] || || '''{{{#ffffff,#dddddd 음악}}}''' ||야마구치 유마(山口由馬) || || '''{{{#ffffff,#dddddd 주제가}}}''' ||계속 한밤중이면 좋을텐데(ずっと真夜中でいいのに。) - 「어둡고 검게」(「暗く黒く」) || || '''{{{#ffffff,#dddddd 촬영}}}''' ||콘도 테츠야(近藤哲也) || || '''{{{#ffffff,#dddddd 편집}}}''' ||키루조 이토(キルゾ伊東) || || '''{{{#ffffff,#dddddd 제작사}}}''' ||삼각창의 밖은 밤 [[제작위원회]] || || '''{{{#ffffff,#dddddd 배급사}}}''' ||[[쇼치쿠]] || || '''{{{#ffffff,#dddddd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1월 22일]] (예정) || || '''{{{#ffffff,#dddddd 등급}}}'''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PG12 || }}}}}}}}} || 와타나베 엔터테인먼트와 [[쇼치쿠]]에 의한 공동 제작 프로젝트의 제 1탄 작품으로서 실사 영화화. 감독은 모리가키 유다이, 주연은 [[오카다 마사키]]와 [[시손 쥰]]. 당초 2020년 10월 30일 공개 예정이었으나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확대의 영향으로 2021년 1월 22일로 공개가 연기되었다.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삼각창의 밖은 밤/애니메이션)]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2013년 만화]][[분류:미스터리 만화]][[분류:2021년 영화]][[분류:일본의 미스터리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