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가(노래))] [Include(틀:오스트리아 관련 문서)] ||||<#C8102E>|| ||||<#FFFFFF> {{{+1 '''Bundeshymne [br] der Republik Österreich'''}}} || ||||<#FFFFFF> '''오스트리아 공화국의 연방 찬가''' || ||||<#C8102E>|| |||| [[파일:오스트리아 국장.svg|width=200]] || || '''작사가''' || Paula Preradović [br] 파울라 프레라도비치 || || '''작곡가'''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oder Johann Holzer [br]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또는 요한 홀처 || || '''작곡연도''' || [[179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어]]: Land der Berge, Land am Strome [[오스트리아]]의 [[국가(노래)|국가]]. 오스트리아 연방 헌법에 따르면 공식 명칭은 오스트리아 공화국의 연방 찬가(Bundeshymne der Republik Österreich)지만, 가사의 첫 줄을 딴 이 문서의 제목도 많이 쓰인다. 오스트리아가 스키 강국이기 때문에 동계 올림픽에서 자주 들리는 국가 중 하나이다. == 역사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절에는 [[요제프 하이든]]이 작곡한 [[황제 찬가]]인 '신이여 프란츠 황제를 보호하소서([[황제 찬가|Gott erhalte Franz den Kaiser]])가 국가로 사용되고 있었지만[* 이 노래는 현재 독일연방공화국(과 과거 독일 제3제국)이 가사만 바꿔서 국가로 사용하고 있다. [[독일 국가]] 참조.], [[제1차 세계 대전|1차대전]] 패전 후 황실의 몰락과 공화국의 성립으로 인해 국가 자격을 상실했다. 대신 하이든의 선율은 그대로 살리면서 비군주제적인 다른 가사를 붙여서 계속 국가로 썼지만, 1938년에 [[나치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합병해 오스트마르크 주로 격하되자 독일이 도입한 [[국수주의]]적인 1절 가사를 붙인 국가가 나치 당가인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와 함께 불려졌다. 하지만 어떻게든 존속시켜 오던 하이든 작곡의 선율은 [[제2차 세계 대전|2차대전]] 종전 후 [[연합군]] 군정에 의해 나치의 잔재로 간주되어 금지[* 앞서 언급되었지만 '''이 금지된 선율은 똑같이 연합군 군정을 겪은 [[서독]]에서는 살아남아 지금의 [[독일 국가]]가 되었다.''' 만일 이 하이든의 선율이 오스트리아에서도 살아남았다면 [[자유의 찬가|현재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국가]]처럼 오스트리아도 독일과 가사까지 똑같은 국가를 사용하거나, 혹은 핀란드 국가인 [[Maamme]]와 에스토니아의 국가인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 그리고 [[주여 아프리카를 보호하소서|현재 탄자니아와 잠비아 국가]]의 사례처럼 독일 국가와 멜로디만 공유하고 가사와 노래 제목은 다르게 사용하거나, 과거 1960년대, 1970년대 당시 [[오 나의 무기여, 오랜 시간이 지나왔구나|이집트와 이라크의 국가]]처럼 독일 쪽은 가사를 넣어서 쓰거나, 오스트리아 쪽은 가사만 빼고 반주만 사용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되었는데, 잠정적으로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아름답고 푸른 도나우]]'나 페르디난트 프라이스의 [[행진곡]] '오 나의 오스트리아여'같은 곡들이 대신 사용되었다. 새로운 국가인 이 곡은 1946년 10월 22일에 법적으로 지정되었는데, 여성 문학가 파울라 프레라도비치(Paula Preradović, 1887-1951)[* 성을 보면 알겠지만 남슬라브계 혈통이다. 정확히는 크로아티아계 오스트리아인.]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모차르트]]가 작곡했다고 알려진 선율에 가사를 붙여서 완성시켰다. 다만 지정 직전까지 가능한한 군정 당국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도록 국수적인 냄새를 최대한 빼는 소소한 개작이 가해졌다. [youtube(PCvUw6t-i_M)] 오스트리아 국영방송의 방송 종료 때 나오는 기악 == 가사 개작과 작곡자에 대한 논쟁 == 1990년대 들어 오스트리아 정치권에 [[페미니즘]] 바람이 불면서 국가의 가사 일부가 [[성차별]] 적인 뉘앙스를 담고 있다는 비판이 여성계 쪽에서 나오기 시작했다. 1절의 넷째 줄에 나오는 '아들들(Söhne. 단수형 Sohn)'과 3절의 넷째 줄에 나오는 '형제들의 합창(Brüderchören)'이 남성만을 지정한다는 것이 문제였다. 심지어 몇몇 강경파 페미니스트들은 이 대목에 딸(Tochter)이나 자매(Schwester) 같은 단어를 집어넣는 식으로 고의적으로 개사해 부르기도 했다. 이 때문에 2011년에 가사를 가능한한 성평등화 시키기 위한 개작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문제가 된 1절에서는 아들들 앞에 딸들(Töchter)이 추가되었고, 3절의 형제들의 합창은 아예 남녀 성별과 관계 없는 환호의 합창(Jubelchören)이라는 단어로 교체되었다. 물론 이 개작에 대해 오스트리아 내에서도 갑론을박이 벌어지는 등 꽤 어수선한 분위기였지만, 결국 개작된 가사가 공식적으로 연방 헌법에 반영되어 2012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얻었다. 가사 외에 이 곡의 작곡자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한데, 1946년에 처음 채택되었을 당시에는 모차르트가 생전에 마지막으로 완성시킨 작품인 '[[프리메이슨]] 칸타타(Freimaurerkantate)'에서 선율을 따왔기 때문에 모차르트 작곡이라고 보는 것이 정설이었다. 하지만 해당 선율이 모차르트의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 음악학자들도 있었는데, 이들은 모차르트가 속해 있던 프리메이슨 롯지의 동료였던 요한 홀처(Johann Holzer, 1753-1818)의 노래 선율을 모차르트가 빌려쓴 것이므로 작곡자는 홀처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논쟁에서 명확한 결론은 나지 않았고, 지금도 이 국가의 작곡가는 모차르트 아니면 홀처라고 애매하게 기입된 문헌이 많다. == 가사 == 아래 가사는 2012년 1월 1일 개정된 오스트리아 연방 헌법에 의한 신판이다. 구판에서 바뀐 부분은 별도로 주기했다. || 독일어 || 한국어 번역 || ||<-2> 1절 || ||Land der Berge, Land am Strome, Land der Äcker, Land der Dome, Land der Hämmer, zukunftsreich! Heimat großer Töchter und Söhne, [* 개정 이전에는 ''Heimat bist du großer Söhne,''] Volk, begnadet für das Schöne, Vielgerühmtes Österreich. Vielgerühmtes Österreich.||산의 나라, 강의 나라, 들의 나라, 첨탑의 나라, 찬란한 미래를 가진 망치의 나라! 위대한 딸들과 아들들의 고향, [* 개정 이전에는 '위대한 아들들의 고향'] 국민들은 아름다움으로 축복을 받았네, 큰 찬양을 받은 오스트리아, 큰 찬양을 받은 오스트리아!|| ||<-2> 2절 || ||Heiß umfehdet, wild umstritten, Liegst dem Erdteil du inmitten Einem starken Herzen gleich. Hast seit frühen Ahnentagen Hoher Sendung Last getragen, Vielgeprüftes Österreich. Vielgeprüftes Österreich.||격렬한 불화, 격렬한 전투, 너는 대륙의 중심에 위치해 강한 심장과도 같다네. 옛 조상들의 시대부터, 높은 사명이라는 무거운 짐을 졌다네, 큰 시련을 거친 오스트리아, 큰 시련을 거친 오스트리아!|| ||<-2> 3절 || ||Mutig in die neuen Zeiten, Frei und gläubig sieh uns schreiten, Arbeitsfroh und hoffnungsreich. Einig laß in Jubelchören, [* 개정 이전에는 ''Einig laß in Brüderchören,''] Vaterland, dir Treue schwören, Vielgeliebtes Österreich. Vielgeliebtes Österreich.||새 시대를 향하여 용감하여라, 자유와 경건함을 향해 나아가는, 우리의 근면과 희망을 보아라. 통일된 환희의 합창은, [* 개정 이전에는 '통일된 형제들의 합창은'] 조국에 충성을 맹세한다네, 큰 사랑을 받은 오스트리아, 큰 사랑을 받은 오스트리아!|| [[분류:국가(노래)]][[분류:오스트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