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三陸(さんりく)}}}''' == 개요 == [[일본]]의 [[혼슈]] [[도호쿠]] 지방 중 북동부에 위치하면서 태평양과 맞닿아 있는 지역이다. [[미야기현]] 북부 해안부터 [[아오모리현]] 남부 해안까지의 산리쿠 연안 지역과 [[미야기현]], [[이와테현]], [[아오모리현]] 내륙의 키타카미 산지를 포괄하는 지역이다. 각 현의 옛 지명인 리쿠젠국, 리쿠츄국, 리쿠오국의 앞글자가 같은 것에서 따 산([[三]])리쿠라 불리게 되었다. == 지리 == 서쪽에는 키타카미 산지가 있으며 동쪽에는 태평양과 접하고 있는 서고 중저 동고 지형이다. 북부 해안가는 가파르고 절벽이 많은 융기 해안이며 중남부 해안가는 [[리아스식 해안]]이다. 해안가가 전체적으로 불규칙한 형태를 띠고 있어 [[쓰나미]] 발생 시 피해가 커진다.[* 거기다 산리쿠 해역의 지진활동은 '''난카이 해곡, 사가미 해곡보다 더욱 잦고 강력'''하기로 유명하다. 당장 역사 문단의 지진만 봐도 다른 곳(간토/간사이/큐슈)이라면 '''역사적인 거대지진'''으로 기록되고도 남을 정도로 하나같이 극도로 강력한 지진임을 알 수 있다.] 일본 내 쓰나미 높이 기록은 산리쿠 지역의 이와테현이 가지고 있는데,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이와테현 오후나토시 료리 만에서 {{{#8000bb '''40.1m'''}}}의 해일을 관측한 것이 1위이며, 1896년 산리쿠 지진 당시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에서 {{{#8000bb '''38.2m'''}}}의 쓰나미를 관측한 것이 2위이다. == 역사 == * 1869년 [[보신 전쟁]]에서 [[무츠|무츠국]]이 패해 5개 국으로 분리되었는데 이 중 리쿠오, 리쿠츄, 리쿠젠 3개 지역을 합해 산리쿠라 부르기 시작했다. * 1896년 6월 15일 산리쿠 해역에서 {{{#brown '''M 8.5'''}}}, 진도 4의 강진과 함께 쓰나미가 발생하면서 산리쿠 지역이 큰 피해를 받았다. 지진동 자체는 규모에 비해 강력하지는 않았지만 최대 '''38.2m'''의 쓰나미가 발생하여 '''20,000명이 넘는 사망/실종자가 발생'''했다. 당시 전국의 언론들이 일제히 이 지진을 보도하면서 산리쿠 연안이라는 지명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 1933년 3월 3일 산리쿠 해역에서 {{{#brown '''M 8.4'''}}}, 진도 5의 강진이 발생하였다.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에 최대 '''28.7m'''의 거대 쓰나미가 발생하여 사망자만 '''1,500명'''을 넘길 정도로 거대하고 참혹한 지진으로 기록되었다. * 1994년 12월 28일 산리쿠 해역에서 '''M 7.8''', 진도 '''6'''의 강진이 발생하였다. 그나마 불행 중 다행으로 쓰나미는 이와테현 미야코시의 55cm가 전부일 정도로 피해가 크지 않았다. * 2011년 3월 11일 산리쿠 해역에서 {{{#7500eb '''M 9.1'''}}}, {{{#b50068 '''진도 7'''}}}의 격진이 발생하였다. 이와테현 오후나토시 료리 만에 최대 {{{#7500eb '''40.1m'''}}}의 거대 쓰나미가 발생하여 '''15,0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 교통 == * [[산리쿠 철도]] - [[산리쿠 철도 리아스선]] == 관련 문서 == * [[무츠]]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분류:일본의 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