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山]][[谷]]驛 / Sangok Station}}} ||<-3> {{{+2 '''산 곡'''}}} || ||<-3>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30]]]] || || [[장암역|{{{#!html
장암 방면}}}]][[부평구청역|부평구청]][br]← 1.6 ㎞ || [[서울 지하철 7호선|{{{#!html
7호선
(760)
}}}]] || [[석남역|{{{#!html
석남 방면}}}]][[석남역|석 남]][br] 2.3 ㎞ → || ||<-3> [include(틀:지도, 장소=37.508542 126.703542,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Sangok || || [[한자]] ||<-2><|2> 山谷 || || [[중국어]] || || [[일본어]] ||<-2> サンゴク || ||<-3> '''주소''' || ||<-3> [[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지하 379 ([[산곡동(부평구)|산곡동]] 10-32번지)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2021년 5월 22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2|복선]] [[상대식 승강장]]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7호선]] 760번. [[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지하 379 ([[산곡동(부평구)|산곡동]] 10-32번지) 소재. [[서울교통공사]]가 운행 중. [[2014년]] [[10월 30일]] 착공식을 열었으며 2021년 5월 22일 개통했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산곡역 안내도.jpg|width=100%]]}}}|| || {{{#ffffff '''역 안내도 [[https://blog.naver.com/carlovetw/222364404820|출처]]'''}}} || 7호선 부평구청~석남 연장 구간의 하나뿐인 중간역이다. 이 역과 석남역 사이는 2.6km로, [[원적산(인천)|원적산]]을 통과하기 때문에 역간 거리가 긴 편이다. 이는 청라 연장 이전까지 7호선에서 가장 역간 거리가 긴 구간이다. 2020년 3월 10일부터 3월 29일까지 역명 선호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후보는 산곡역, 산곡청천역, 산청역, 원적산역, 백마장사거리역, [[마장역]] 등. 조사 결과, 위 중에서 산곡역이 가장 선호도가 높았고, 2020년 6월 3일 산곡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 역 주변 정보 == * 출구 정보 || {{{#ffffff 1}}} ||부평우체국|| || {{{#ffffff 2}}} ||인천부마초등학교|| || {{{#ffffff 3}}} ||산곡1동행정복지센터|| || {{{#ffffff 4}}} ||산곡초등학교|| || {{{#ffffff 5}}} ||마곡초등학교|| || {{{#ffffff 6}}} ||산곡북초등학교|| || {{{#ffffff 7}}} ||청천중학교|| 산곡푸르지오, 산곡1동주민센터, 부평우체국, 인천산곡초등학교 등이 있다. 부평우체국 옆에는 [[수도방위사령부]] 산하의 육군 공병부대가 있었으나 현재는 이전되어 유휴부지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임시 대책으로 옛 부대 정문과 뒤편(세월천로25번길)을 잇는 인도가 설치되어 활용중이다.] 공병부대 부지에는 인천부평경찰서가 확장 이전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일부 부평 주민들이 산곡동 공병부대 부지[* 부평경찰서 이전과 소규모 공원을 제외한 부지]에 쇼핑몰을 유치할 것을 [[https://www.incheon.go.kr/cool/COOL010201/view?petitSn=2041659|인천시에 청원]]하였고, 인천시는 해당 부지에 쇼핑몰 유치를 희망하는 사업자가 나타난다면 진행할 수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역이 들어서는 [[마장로(인천)|마장로]]를 기준으로 서쪽 지역에는 꽤 오래된 저층의 단독주택들이 많은데 북쪽의 [[청천동]] 일대와 한데 묶어 대단위 아파트 재개발이 예정돼 있다. 이미 일부 지역은 아파트 공사가 진행 중이며 2021년에 입주하는 곳도 있다. 2024년 쯤에는 아파트 재개발이 완료될 예정이어서 재개발 이전과는 확실히 다른 분위기가 될 듯하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21년 || 8,688명 || || || 2022년 || {{{#747f00 11,842명}}} || || * 개통일인 5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22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2022년 11월 기준 승하차량은 14,118명으로 [[산곡동(부평구)|산곡동]], [[청천동]]에서 어느정도 자리를 잡아 준수한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 출퇴근시간에 버스 환승객 또한 많으며, 온수 방향의 경우 이 역에서 앉지 못하면 최소한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는 계속 서서 가야 한다[* 시간대에 따라 이 역부터 입석이 발생한다.]. 석남 방향으로도 승차하는 승객이 다소 있다. == 승강장 == ||[[파일:sangok_stn_760_pf.jpg|width=100%]]|| ||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파일:산곡역역명판.jpg|width=100%]]|| || 역명판 || ||<-4> [[부평구청역|부평구청]]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석남역|석남]] ↓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역|이수]]·[[군자역|군자]]·[[도봉산역|도봉산]]·[[장암역|장암]] 방면|| || {{{#ffffff 하}}} ||[[석남역|석남]] 방면|| 이 역과 [[석남역]] 스크린도어는 다른 5678호선 스크린도어와는 달리 개폐될 때 매우 낮은 톤의 목소리로 안전문이 열립니다[* 서울교통공사 관할 구간이 아니기 때문에 5678호선 개폐음으로 설정을 안한 듯 하다.],(닫힙니다)라고만 나오고 출입문이 열리고 난 다음 스크린도어가 열린다. == 기타 == * 산곡역은 1980년대부터 계획안이 나왔던 역이고, 1990년에는 인천 2호선[* 김포공항~상야동~박촌~계산~갈산~산곡~동암역~구월중앙공원~연수동~승기천~송도해상신도시~개항기념탑~도원~송림로터리~재재단지~석남~가정동]의 역 중 하나로 계획되어 있었으며, 1991~1992년에는 인천 3호선[* 1호선: 북구상야동~계산동농협~부평역~간석5거리~선학동~연수신도시~송도국제도시 (1997년 개통예정) / 2호선: 서구검암동~인천교~시민회관~인천시청~남부소방서~남동공단 (2003년 개통예정) / 3호선: 인천대공원~길병원~남인천~운동장역~송림로터리~북구산곡동~부천중동신시가지~온수역 (2008년 개통예정)]의 역 중 하나로 계획되어 있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부평구청 구간이 공사중[* 온수~부평구청 구간은 2005년에 착공하여 2012년 10월 27일에 개통하였다.]이던 2006년 4월에는 산곡동, 청천동 주민 중 32,900여 명이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7호선 인천구간 종착지를 부평구청에서 백마장사거리[* 현재 산곡역 자리]까지 1.6km 연장해달라고 여,야 정당과 중앙부처 등에 집단민원을 제출했지만 약 1,600억 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하고 서울시에서 도시철도 기본계획을 변경해야 하는 등 어려움이 많아 당시에는 연장이 이뤄지지 않았다. * 화장실이 쾌적하다. 세면대 거울 아래에 손을 대면 물과 비누가 나오고 드라이까지 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목록)] [[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분류:2021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인천광역시의 지하철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인천 부평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