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919191> '''{{{#FFFFFF 언어별 명칭}}}''' || ||<#DCDCDC>'''[[고어]]''' ||[[달]] || ||<#DCDCDC>'''[[순우리말]]''' ||뫼 / 메 || ||<#DCDCDC>'''[[한자]][br][[중국어]][br][[일본어]]''' ||[[山]] || ||<#DCDCDC>'''[[영어]]''' ||mountain(마운틴) / [[힐|hill(힐)]][* 보통 mountain은 [[한라산]], [[백두산]] 같은 꽤 높은 산을 가리키고, [[힐|hill]]은 대체로 낮은 산이나 둔덕 같은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 || ||<#DCDCDC>'''[[독일어]]''' ||[[베르크#s-1|Berg(베르크)]] || ||<#DCDCDC>'''[[프랑스어]]''' ||[[몽타뉴|montagne]] || ||<#DCDCDC>'''[[러시아어]]''' ||[[가라#s-3|гора(가라)]] || ||<#DCDCDC>'''[[베트남어]]''' ||núi || ||<#DCDCDC>'''[[스페인어]]''' ||montaña || ||<#DCDCDC>'''[[이탈리아어]]''' ||montagna || ||<#DCDCDC>'''[[포르투갈어]]''' ||montanha || ||<#DCDCDC>'''[[터키어]]''' ||dağ || ||<#DCDCDC>'''[[에스페란토]]''' ||monto || || [[파일:external/file.dailian.co.kr/news1246520296_162520_5_m.jpg|width=100%]] -----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인 [[한라산]]. || == 개요 == [[지구]]의 [[지각변동]]으로 인해 솟아오른 부분. 혹은 주위 부분이 가라앉은 부분. 山 자를 ‘뫼 산’이라 부르며 ‘뫼’는 산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메 산'이라고도 하며 '뫼'와 '메' 모두 표준어다. 뫼의 발음이 [mø̞]인데, 원순성이 약해지면서 '메'에 가깝게 변하다가 아예 [me̞]가 되는 것. == 상세 == 산보다 낮은 비탈을 [[언덕]][* [[한자어]]로는 구릉(丘陵)]이라고 하며, 산 중에서도 해발고도가 높은 산을 [[고산]](高山)이라고 한다. 다만 어느 높이까지가 언덕이고, 어느 높이부터가 고산인지를 명확히 가르는 규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지방에서는 해발 600 m를 언덕과 산의 경계로 삼기도 하지만, 어떤 지방에서는 300 m를 기준으로 삼는 등 일정하지가 않다. 그러다 보니 지역 특성에 따라 산을 가르는 기준이 제각기 다르다. [[평야]]가 대개인 지역에서는 솟아올라 있는 부분을 높이에 관계없이 통상 '산'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반대로 [[히말라야 산맥]], [[볼리비아]], [[티베트 고원]]과 같이 산으로 둘러싸인 지역에서는 몇몇 높은 산을 빼고는 산이라고 이름도 붙여주지 않는다. 어디까지가 산이고 어디까지가 산이 아닌지 그 경계가 불명확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을 정의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지리학자들은 나름대로 그 기준을 제시했다. 그중 <>(kapos ''et al'', 2000)가 자주 활용되는데, 이 기준에서는 기복량 300 m 미만은 평지로 규정한다[* 이런 식의 기준을 잡지 않아도 '어떤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은 정할 수 있다. '해발 고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포함하는 산'으로 정의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기준이 없으면 '2번째로 높은 산'이란 기준이 나올 수가 없는 것이다. 2번째로 높은 산의 꼭대기가 '해발 고도가 두 번째로 높은 지점'은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기복량이란 특정범위 안의 가장 높은 곳과 가장 낮은 곳의 높이차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해발고도와 개념이 다르다. 참고로 우리나라 [[국토교통부]]는 기복량[* 국토해양부 기준에서는 1 km X 1 km(1 km^^2^^) 면적 안의 높이 차이로 정하여 사용한다.] 100 m 이상을 '산'이라 규정한다.[* [[부산]]의 칠점산(35.3 m)처럼 이름만 산인 경우도 있다.] [[산림청]] 조사에서 우리나라에는 산이 총 4,440개가 있다고 확인되었다.[[http://www.forest.go.kr/new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036&mn=KFS_03_02_01&nttId=403252|#]] 해발고도로 가장 높은 산은 해발 8,848 m인 [[에베레스트]]이며, [[바다]] 밑까지 포함한 높이로는 10,203 m인 [[하와이]]의 [[마우나케아 산]]이고, 태양계에 있는 산까지 치면 [[화성]]에 있는 21,171 m의 [[올림포스#s-3]]산이 가장 높다.[* 이 산이 얼마나 높냐면, 만약 지구에 이 정도 높이의 산이 있었다면 봉우리가 [[성층권]]을 돌파해서 위쪽에는 눈도 쌓이지도 않았을 것이다.] 각종 산림자원을 제공하며 높은 산은 외적의 침입을 제한하여 방어역할을 한다. 또한 주변보다 지대가 높다보니 주위를 감시하기가 용이하며 매복할 경우 산 아래에서 올라오는 적에 대한 우위를 점하기가 쉽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이 정작 교통에 방해가 되기도 해서 산을 낀 지역은 다른 지역으로 건너가기가 꽤나 힘들었다. 그리고 좁은 지역에 산이 많으면 필연적으로 평지의 범위도 좁아진다는 불편함 역시 산재한다. 또 산에 나무가 많이 없을 경우 홍수 날 때 산사태를 일으킬 위험도 존재한다. 이름 앞에 '메'나 '산'이 붙는 [[동물]]들이 있는데 [[육지]]에 사는 동물(메[[토끼]], [[멧돼지]], [[멧비둘기]] 등)의 경우는 '산에 사는, [[야생]]의'와 같은 뜻이다. 몇몇 산은 단지 높은 지형이란 의미를 넘어서 '명산'으로 불리며, 상징적 존재가 되기도 한다. 거기에 때로는 영험함이 깃든 신령스러운 곳으로 받들어지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백두산]]은 [[한민족]]뿐만이 아니라 [[만주족]]에게도 영험한 산, 신령한 산, 성지로 통했으며 [[오악]], [[한국의 오악]]과 같은 개념도 예로부터 있었다. 또한 [[티베트]]에 있는 [[카일라스]]산(Mt. Kailas)은 [[힌두교]], [[자이나교]], [[티베트 불교]], 뵌교[* [[티베트]]에 불교가 유입되기 이전부터 티베트에 존속한 전통 무교(巫敎), [[티베트 불교]]와 영향을 주고 받아 겉보기만으로는 뵌교와 티베트 불교 사원을 구분하기 쉽지 않다고 한다.]에서 모두 신성한 곳으로 여기어 감히 [[미정복 봉우리|오르지 못하고]], 다만 산 주변을 빙글빙글 걸어다님으로써 참배한다.[* [[카일라스]](Kailas), 혹은 카일라쉬(Kailash)라는 영어식 표기 및 발음은 이 산의 [[산스크리트어]] 이름에서 유래했다. 산스크리트어로는 카일라사(Kailasa)라고 하는데, '수정'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힌두교]]에는 이 산에 시바신이 머문다는 전승이 전해진다. 또한 [[티베트어]]로는 강린포체(Gang Rinpoche)라고 부르는데, 티베트 불교에서는 이 산이 [[불경]]에서 언급되는 [[수미산]]이라는 전승이 전한다. 그래서 이 산을 순례하고 돌아온 한국인들도 이 산을 수미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저 해발고도만 보고 명산을 정하지는 않는다. 우리나라의 백두산, 일본의 [[후지산]]처럼 가장 높은 산이 명산이 되기도 하지만, 중국사에서 의미가 특별했던 [[태산]]이나, 한국에서 비슷한 입지였던 [[금강산]]은 높이로 따지면 더 높은 산이 많다. 북한에서 전국구 명산으로 꼽히는 [[칠보산]]은 심지어 1천 미터도 안 되고, 중국 4대 불교명산의 하나인 보타산은 해발고도 300미터다. 낮의 산은 정말 평화롭고 고요한 곳이지만 밤의 산은 낮의 산과는 완전히 다르다. 사람들과 같이 가면 모를까, 혼자서 산에 올라가면 낮과는 완전히 다른 호러스러운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다. 다만 그 모습에 익숙해져 호러스러운 모습에 식은땀을 흘리는 걸 즐기게 되는 경지에 오르면, 매우 중독성이 있어서 못 끊게 된다. 특히 내려올 때 별을 보면 그 경치는 설명할 수 없다. 산은 대부분 삼각형(△) 모양이지만 [[베네수엘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에는 사각형(□) 산도 있다. [[테이블 산]] 문서와 [[로라이마 산]] 문서 참조. 그 외에도, 측면은 비교적 가파르고 정상부분이 평평한 지형은 [[메사]]라고 한다. [[몰디브]], [[우루과이]], [[네덜란드]], [[덴마크]] 같은 나라에는 산이 하나도 없다. 반면 [[케냐]], [[에콰도르]], [[멕시코]], [[콜롬비아]] 같은 나라는 산 속에 [[수도(행정구역)|수도]]가 있다.[* 참고로 한국도 이럴 뻔 했다. [[북한]]은 과거 [[강계시]]를 임시수도로 했고, 남한도 [[박정희]] 시대에 서울을 대체할 임시수도 후보지로 [[보은군]], [[옥천군]], [[금산군]]이 들어갔는데, 이들이 모두 후보지 선정에서 탈락하면서 없던 일이 됐다.] 특히 [[볼리비아]]의 수도 [[라파스]]는 고도가 3,720 m나 되는 산 속에 위치하고 있다. [[볼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홈에서만 잘 하는 팀이 된 이유가 그것이다. == 여담 == *산을 표현한 한국의 [[수화]]는 [[뻑유|손가락 욕]]처럼 생겼다.[[山]] 문서 참고. *[[창작물]]에서는 산을 파괴한다든지 산을 반쪽 내는 식으로 [[전투력 측정기]]로 등장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대한민국 국군]]의 [[행정보급관]]에게 한 [[중대(군대)|중대]]만 맡기면 [[우공이산|산을 옮길]] 수 있다 [[카더라]].~~ *[[논어]] 옹야편에서 [[공자]]가 한 말에 의하면 어진 사람(仁者)이 좋아한다고 한다.(유명한 성어인 지자요수 인자요산: 智者樂水 仁者樂山) *'야마가 돈다, 야마 돈다'라는 표현이 흔히들 일본에서 건너온 말로 알고 있지만 의외로 토종(?) 속어이다. [[현장 용어]]에서 나온 속어인데, 불량[[나사]] 때문에 수나사의 산(빙글빙글 튀어나와있는 부분)이 잘 맞물리지 않아 헛돌기만 해서 난처하거나 '''빡치는''' 상황을 빗대 나온 말이다. 당연히 일본에는 없는 말이다.[[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etiseti&logNo=20096811241&viewDate=¤tPage=1&listtype=0|자세한 설명 보러가기]] '야마'라는 말 자체는 산을 의미하는 일본어 단어가 [[맞는다]]. *뭔가 계획한 것과 다른 방향으로 일이 진행되거나 헤매는 상황을 '산으로 간다'라고 말하게 되었다. 원래 한국 속담에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라는 게 있어서 주변의 간섭으로 인해 원치 않는 상황으로 간다는 뜻인데 언젠가부터 '잘나가다 [[삼천포]]로 빠진다.'는 의미까지 흡수했다. 창작물에 쓰일 경우 "전개가 산으로 간다."라고 표현하는데, 이것은 '개연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내가 원하는 전개가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 산이 없는 나라 목록 == * 브리태니커 기준으로 최고 지점이 해발 2000피트 미만, 약 610m 미만인 나라들을 ‘산 없는 나라’로 분류했다. === 아시아 === * [[싱가포르]]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166m이다. 싱가포르 사람들이 산을 보려면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 심지어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에도 산이 없어서 싱가포르 사람들이 산을 보고 싶으면 [[수마트라]], [[발리]] 등지로 가야 한다.] 등지로 가야 한다. * [[마카오]]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172m이다. 산을 보려면 [[홍콩]]이나 [[중국]] 본토로 가야 한다. 참고로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산 없는 나라’이다. ~~도시까지 포함하면 [[일본]] [[오사카]][* 오사카 시내에서 가장 높은 지점도 100m가 안 된다. [[나고야]], [[도쿄]]도 비슷한 수준.]가 더 가깝다.[* [[오사카항역]] 근처에 텐포잔이라는 산이 있지만 '''해발 4.53미터로 일본에서 두번째로 낮은 산이다.''' 참고로 가장 낮은 산은 미야기현에 위치한 히요리야마로, '''원래 6미터였던게 쓰나미로 인해 3미터 깎여나갔다.''']~~ * [[바레인]]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122m이다. 이웃한 카타르에도 산이 없어서 바레인에서 산을 보려면 [[사우디아라비아]] 등지로 가야 한다. * [[카타르]]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103m이다. 카타르 사람들이 산을 보려면 [[이란]] 등지로 가야 한다. * [[쿠웨이트]]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306m이다. 쿠웨이트 사람들이 산을 보려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 에미리트]], [[이란]] 등지로 가야 한다. * [[몰디브]]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2.4m밖에 안 된다. 몰디브 사람들이 산을 보려면 [[스리랑카]] 등지로 가야 한다. === 아프리카 === * [[감비아]]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53m이다. 산을 보려면 [[말리]] 등지로 가야 한다. * [[기니비사우]]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300m이다. 산을 보려면 [[기니]] 등지로 가야 한다. * [[세네갈]]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581m이다. 산을 보려면 [[말리]] 등지로 가야 한다. * [[서사하라]]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463m이다. 산을 보려면 [[모로코]] 등지로 가야 한다. === 북아메리카 === * [[바하마]] - 바로 윗동네인 [[미국]] [[플로리다주]]도 ‘산 없는 주’이다. 산을 보려면 조지아 주 등지로 머나먼 여행을 떠나야 한다.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산을 보려면 [[푸에르토리코]]로 가야 한다.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심지어 가까운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에도 산이 없다. 산을 보려면 [[푸에르토리코]]로 가야 한다. * [[앤티가 바부다]] - 산을 보려면 [[세인트키츠 네비스]] 등지로 가야 한다. * [[바베이도스]] - 산을 보려면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이나 [[그레나다]]로 가야 한다. * [[아루바]] - 아랫동네 [[베네수엘라]]에는 산이 있어서 아루바 사람들이 산을 보려면 베네수엘라로 가야 한다. * [[버뮤다]]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76m밖에 안 된다. 심지어 이 곳은 가장 가까운 산까지 1,000km 넘게 멀어져 있어서 이 곳에 사는 사람이 산을 보려면 [[미국]] 등지로 머나먼 여행을 떠나야 한다. * [[케이맨 제도]]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43m밖에 안 된다. 이 곳에 사는 사람이 산을 보려면 [[자메이카]] 등지로 머나먼 여행을 떠나야 한다.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바로 옆 동네인 바하마도 산이 없다. 이 곳에 사는 사람이 산을 보려면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리코]], [[미국]] [[조지아 주]] 등으로 머나먼 여행을 떠나야 한다. * [[앵귈라]] - 산을 보려면 [[세인트키츠 네비스]]로 가야 한다. === 남아메리카 === * [[우루과이]] - 남미에서 유일하게 ‘산 없는 나라’이다. 산을 보려면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로 가야 한다. === 오세아니아 === * [[투발루]]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5m이다. 산을 보려면 [[호주]]나 [[뉴질랜드]] 등지로 가야 한다. * [[마셜 제도]] - 가장 높은 지점이 해발 10m이다. 산을 보려면 [[미크로네시아 연방]]으로 가야 한다. * [[팔라우]] - 주권국으로 한정하면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산 없는 나라’이다. 산을 보려면 [[일본]]이나 [[대한민국]] 등지로 가야 한다. * [[괌]] - 산을 보려면 [[북마리아나 제도]], [[일본]], [[대한민국]] 등지로 가야 한다. * [[키리바시]] - 산을 보려면 [[호주]]나 [[뉴질랜드]] 등지로 가야 한다. * [[나우루]] - 산을 보려면 [[호주]]로 가야 한다. * [[니우에]] - 산을 보려면 [[뉴질랜드]] 등지로 머나먼 여정을 떠나야 한다. === 유럽 === * [[네덜란드]] - 대중적으로 알려진 ‘산 없는 나라’이다. 산을 보려면 [[벨기에]]나 [[독일]] 등지로 가야 한다. * [[덴마크]] - 산을 보려면 [[독일]]이나 [[스웨덴]]으로 가야 한다. * [[벨라루스]] - 산을 보려면 [[러시아]] 등지로 가야 한다. * [[바티칸 시국]] - 여기서 산을 보려면 [[이탈리아]]로 가야 한다. * [[리투아니아]] - 산을 보려면 [[러시아]]나 [[폴란드]] 등지로 가야 한다. * [[라트비아]] - 이웃 나라들 중 [[러시아]]를 빼고는 전부 산 없는 나라이다. 이 곳에 사는 사람이 산을 보려면 [[러시아]]나 [[핀란드]]로 가야 한다. * [[에스토니아]] - 산을 보려면 [[러시아]]나 [[핀란드]]로 가야 한다. * [[모나코]][* 모나코는 구릉에 위치해 있어 2km2 남짓한 국토의 경사가 심하기 때문에 사실상 산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 산을 보려면 [[프랑스]]로 가야 한다. * [[룩셈부르크]] - 산을 보려면 [[벨기에]], [[프랑스]], [[독일]]로 가야 한다. * [[몰도바]] - 산을 보려면 [[루마니아]]나 [[우크라이나]]로 가야 한다. * [[지브롤터]] - 산을 보려면 [[스페인]]이나 [[영국]] 등지로 가여 한다. == [[나무위키]]에 등재된 산 == === [[대한민국|한국]] === [include(틀:다른 뜻 설명, 설명=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아래 두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한반도의 산/고개 목록]], [[한반도의 산/고개 목록(산경표)]] ---- ||[youtube(Hpkl9gYmlzU)]|| ||한국의 18 명산 || * [[가야산]] * [[가지산]] * [[감악산]] * [[계룡산]] * [[계양산]] * [[고려산]] * [[고봉산]] * [[관모봉]] * [[관악산]] * [[광교산]] * [[구덕산]] * [[금강산]] * [[금련산]] * [[금산]] * [[금오산]] * [[금정산]] * [[낙산]] * [[남산(경주)]] * [[남산(서울)]] * [[낭산]] * [[내연산]] * [[내장산]] * [[단석산]] * [[대둔산]] * [[대운산]] * [[덕양산]] * [[덕유산]] * [[도봉산]] * [[두륜산]] * [[두타산]] * [[마니산]] * [[마이산]] * [[만탑산]] * [[모악산]] * [[묘향산]] * [[무등산]] * [[미륵산]] * [[민둥산]] * [[백두산]] * [[백산]] * [[백양산]] * [[백운산]] * [[변산]] * [[봉래산]] * [[봉화산]] * [[북수백산]] * [[북악산]] * [[북한산]] * [[불암산]] * [[비슬산]] * [[선운산]] * [[설악산]] * [[소백산]] * [[소요산]] * [[송악산]] * [[속리산]] * [[수락산]] * [[수리산]] * [[신불산]] * [[안산]] * [[약산]] * [[연화산]] * [[오대산]] * [[오리산]] * [[용마산]] * [[용문산]] * [[우면산]] * [[우미산]][* 국내에 우미산이라 불리는 곳은 두 군데가 있다. 하나는 대구 달성군의 우미산, 다른 하나는 전남 고흥의 우미산.] * [[월악산]] * [[월출산]] * [[유명산]] * [[인왕산]] * [[장산]] * [[조계산]] * [[주왕산]] * [[지리산]] * [[천관산]] * [[천마산]] * [[천성산]] * [[청계산]] * [[청량산]] * [[치악산]] * [[칠갑산]] * [[칠보산]] * [[태기산]] * [[태백산]] * [[토함산]] * [[팔공산]] * [[한라산]] * [[함지산]] * [[화악산]] * [[황령산]] === 해외 === * 대륙별 산 목록은 [[자연지리 관련 정보#s-2.8.1|문서]] 참조. '''7대륙 최고봉은 굵게 표시.''' ==== [[8,000미터 14좌|8천 미터 이상]] ==== [include(틀:8000미터14좌)] ==== 7천 미터 이상~8천 미터 미만 ==== * [[갸충캉]](7,952 m)[* 8,000 m 14좌를 제외하고 제일 높다.] * [[안나푸르나 II봉]](7,937 m) * [[디스타길 사르]](7.885 m) * [[쿤양 츠히시]](7.852 m)[* '''등반 난이도가 세계에서 제일 어려운 산들 중 하나다.'''] * [[바투라 사르]](7,795 m) * [[칸주트 사르]](7,790 m) * [[라카포시]](7,788 m) * [[티리치 미르]](7,708 m) * [[사세르 캉리]](7,672 m) * [[쿤구르산]](궁거얼산)(7,649 m) * [[시스 파레]](7,611 m) * [[트리보르]](7,577 m) * [[강카르 푼섬]](7,570 m)[* 세계에서 제일 높은 [[미정복 봉우리]]다.] * [[궁가산]](7,556 m) * [[안나푸르나 III봉]](7,555 m) * [[유크신 가르단 사르]](7,530 m) * [[무스타거산]](7,509 m) * [[이스모일 소모니 봉]](코뮤니즘 봉)(7,495 m)[* 과거 [[소련]] 시절 소련 최고봉이자 '''유럽 최고봉'''이었다.] * [[노샤크산]](7,492 m) * [[파수 사르]](7,478 m) * [[포베다산]](7,439 m) * [[가네시 히말]](7,422 m) * [[이스토르오날산]](7,403 m) * [[울타르 사르]](7,388 m) * [[랑탕 리룽]](7,234 m) * [[이븐 시나 봉]](레닌 봉)(7,134 m)[* 소련 해체 후 2006년에 [[타지키스탄]]이 '이븐 시나 봉'으로 개명했다.] * [[코르체네프스키 봉]](7,105 m) ==== 6천 미터 이상~7천 미터 미만 ==== * [[마차푸차레]](6,997 m) * '''[[아콩카과]]'''(6,962 m)[* 남아메리카 최고봉이다.] * [[오호스 델 살라도]](6,893 m)[* 세계에서 제일 높은 [[화산]]이다.] * [[카일라스 산]](6,714 m) * [[일리마니 산]](6,438 m) * [[아니마칭]](아무네마틴)(6,282 m) * '''[[데날리]](매킨리)'''(6,194 m)[* 북아메리카 최고봉이다.] * [[다오청 삼신산]](6,032 m) ==== 5천 미터 이상~6천 미터 미만 ==== * '''[[킬리만자로 산]]'''(5,895 m)[* 아프리카 최고봉이다.] * '''[[엘브루스]]산'''(5,642 m)[* 유럽 최고봉이다.] * 다마반드 산(5,610 m) * 케냐 산(5,199 m) * [[아라라트 산]](5,137 m) ==== 4천 미터 이상~5천 미터 미만 ==== * '''[[빈슨 산괴]]'''(4,892 m)[* 남극 최고봉이다.] * '''[[푼착 자야]]'''(4,884 m)[* 오세아니아 최고봉이다.] * [[몽블랑]](4,807 m)[* 알프스산맥 및 서유럽 최고봉이다.] * [[마터호른|마테호른]](4,478 m) * [[라 말린체]](4,420m) * [[그랑드 조라스]](4,208 m) * '''[[마우나케아 산]]'''(4,205 m)[* 해저 부분을 포함하면 세계 최고봉이다.] * [[키나발루 산]](4,096 m) ==== 3천 미터 이상~4천 미터 미만 ==== * [[옥산]](3,952 m) * [[후지산]](3,776 m) * [[아오랑기 쿡 산]](3,754 m)[* 이 중 유일하게 [[만년설]]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 [[타무 매시프]](약 3,500 m) * [[에트나]](3,329 m) * [[알프스#s-3|일본 알프스]][* 아카이시 산맥(미나미 알프스)과 히다 산맥(키타 알프스) 한정. 키소 산맥(츄오 알프스)에는 3000 m 이상의 산이 없다.] * 아카이시 산맥 - 최고봉 키타다케(3,193 m) * 히다 산맥 - 최고봉 오쿠호타카다케(3,190 m) * [[쎄로또레]](3,128 m) * 온타케산(3,067 m)[* 위에 있는 일본 알프스와 달리 산맥이 아닌 후지산같은 독립봉이다.] ==== 3천 미터 미만 ==== * [[올림포스]](2,919 m) * [[로라이마 산]](2,810 m) * [[백두산]](2,750 m) * [[세인트 헬렌스 산]](2,550 m) * [[러시모어 산]](1,745 m) * [[에이야퍄들라이외퀴들]](1,666 m) * [[아소산]](1,592 m) * [[테이블 산]](남아공)(1,086 m) * [[망탕산]](157 m) * [[칼카자가 산]][* 죽음의 산으로 불린다.] * [[팡 지 아수카르]] * [[부르한 산]][* 사실상 산이 아니라 바위.] * 중국의 [[오악]] * [[황산(동음이의어)|황산]](1,864 m) * [[태산]](1,535 m) * [[숭산]] * [[형산]] * [[화산(동음이의어)|화산]] === 지구 바깥의 산 === * [[올림푸스]] 산 ([[화성]], 21~26 km[* 화성 전체 기준 면으로는 21 km, 중앙 봉우리를 기준으로는 22 km, 북쪽에 있는 아마조네스 평원을 기준으로는 26 km이다.]) * 레아실비아 [[크레이터]] 중앙 봉우리 (소행성 [[베스타(소행성)|베스타]], 22 km) * 이아페투스 적도 능선 ([[토성]]의 위성 [[이아페투스]], 20 km) * 보사울레 산맥 ([[목성]]의 위성 [[이오(위성)|이오]], 17.5~18.2 km) === 산과 관련이 있는 캐릭터 === * [[강철전기 C21]]과 [[코즈믹 브레이크]] - [[빅 마운테스]] * [[명왕계획 제오라이머]] - [[산의 바스톤]] * [[워크래프트 시리즈]] - [[산악거인]] === 가상의 산 === * [[달의 산]] * [[백령산]] * [[봉래산]] * [[솜 알]] - [[파이널 판타지 14]] * [[수미산]] * [[수미산(바람의 나라)]] -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 * [[도삭산]] -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 * [[어둠의 사천왕|송곳산(스파이럴 마운틴)]] * 에봇산 - [[언더테일]] * [[엄청봉]] - [[지니키즈]] * [[요괴의 산]] * [[운명의 산]] * [[은빛산]] * [[일월산]] -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 * [[천관산(포켓몬스터)|천관산]] * [[타곤|타곤 산]] - [[리그 오브 레전드]] * 고르도,칠리야드산 - [[GTA 5]] == 관련 문서 == * [[山]] * [[고개]] * [[고원]] * [[등산]] * [[메아리]] * [[산림청]] * [[산의 날]] * [[산신령]] * [[산지기]] * [[설산]] * ~~[[아웅 산]]~~ * [[야산]] * [[오악]] * [[한국의 오악]] * [[대한민국 100대 명산]] * ~~[[최희섭]]~~ * ~~[[리오넬 메시]]~~ * [[화산]] * [[교가]] [[분류:산]][[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