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의학적 죽음]][[분류:순환계/징후 및 증상]] [목차] == 개요 == 사후혈전(postmortem thrombus; postmortem clot, [[死]][[後]][[血]][[栓]])은 사람이 죽은 뒤에 혈액이 굳어서 형성된 핏덩이다. 일반적인 사람이 살아 있을 때 형성된 [[혈전]](antemortem thrombus)와 다양한 차이점을 보인다. 보통 [[정맥혈전]]과 유사하여 착각하기 쉽다. == 형태학적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닭기름상층액.png|width=100%]]}}} || || 사후피덩이의 이층 구조 || 사후피덩이는 노란색의 '닭 기름(chicken fat) 상층액' 부분과 어두운 붉은색을 띄며 무거워서 하층으로 가라앉은 [[젤리]] 부분(currant jelly)으로 나뉜다. 젤리 부분은 주로 [[적혈구]]로 이루어져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혈전차이그림.png|width=100%]]}}} || || 혈전과 사후혈전의 형태적 차이를 나타낸 그림 || 이런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혈전은 혈관벽에 달라붙어 있는 것과 반대로, 사후혈전은 혈관에 붙어 있지 않거나 매우 약하게 붙어 있다. 오른쪽 사후혈전 그림의 빨간 부분이 하층의 무거운 젤리 부분, 노란 부분이 상층의 닭 기름 부분이다. === 혈전과의 차이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혈전차이표.png|width=100%]]}}} || || 일반적인 혈전과 사후혈전의 차이 || 기본적으로 혈전에 비해 물렁하고 [[젤라틴]] 비슷한 감촉을 가진다. 따라서 혈관벽에도 잘 달라붙지 못한다. 사후혈전은 사람이 죽은 뒤, 즉 혈류가 더 이상 흐르지 않을 때 형성되었으므로 혈액이 흐를 때 만들어진 혈전에서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잔선]](lines of Zahn)이 관찰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