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이버(유희왕))]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907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사이버 피닉스, 일어판 명칭=サイバー・フェニックス, 영어판 명칭=Cyber Phoenix, 레벨=4, 속성=화염, 종족=기계족, 공격력=1200, 수비력=160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기계족 몬스터 1장만을 대상으로 하는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마루후지 료]]가 사용했던 사이버 시리즈 중 하나. [[사이버 드래곤]]이 전설의 동물 중 [[용]]을 형상화했다면 이쪽은 [[불사조]] 내지는 [[봉황]]을 형상화했다. 효과만 놓고 보면 꽤 괜찮다. 자신을 포함해서 모든 기계족에게 [[차원 유폐]], [[수축(유희왕)|수축]], [[썬더 브레이크(유희왕)|썬더 브레이크]], [[강제 탈출 장치]], [[인잭터 호넷]] 등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며,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나 [[미래융합-퓨처 퓨전]]의 자괴 디메리트도 이 카드가 나와있으면 사라진다. 다만 [[돌진(유희왕)|돌진]]이나 각종 장착 마법 등 자신의 기계족을 강화하기 위해 써주는 마함의 효과도 씹어버리니 주의해야 한다. 능력치가 좀 낮지만, 전투 파괴 되었을 경우 드로우를 통해 손실을 그만큼 메꿔주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것 자체가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격류장]]이나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이 있다고는 하지만 어지간하면 이런거에 쓸 일은 없으니 빈틈이 있으면 당당하게 앞면 표시로 내서 공격에 들어가면 된다. 기본적으로는 좀더 공격적으로 쓸 수 있고 [[말살의 사도]]를 걱정할 필요가 없는 [[마장기관차 데코이치]]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역시 마루후지 료가 썼던 다른 사이버 계열 몬스터들과 달리 빛 속성이 아닌 화염 속성이라는 점이 채용을 망설이게 한다.~~전자레인지~~ 기계족 덱에서 쓰라고 있는 효과인데 기계족에서 화염 속성은 쓸만한게 별로 없어 딱히 덱에서 서로 특별한 시너지를 볼 수 있는 카드가 없다. 능력치가 낮아 리쿠르터로 불러오고 싶은 녀석이지만 이것 때문에 [[UFO 터틀]]을 채용해봐도 다른 기계족들은 불러올 수가 없어 덱 공간 낭비가 된다. 그런 현 상황에서 가장 넣을만한 곳은 화염족과 기계족을 섞어 쓰는 [[중폭격금 폭탄 페넥스]]와 [[기폭수 볼캐논]]을 쓰는 덱. 화염족은 대부분 화염 속성인지라 이 덱에서는 UFO 터틀이 활약하기 좋고, 또 자신이 융합 소재가 될수도 있기 때문에 별 부담없이 자연스럽게 쓸 수 있다. 또 레벨 4 화염 속성 기계족 중에서는 그나마 가장 쓸만한 축에 속하는지라 [[A·제넥스]] 덱에서 트라이포스에게 번 효과를 부여할 겸 쓰는 방법도 있긴 하다. ~~좀 시궁창스럽지만~~ [[빙염의 쌍룡]]을 쓰고 싶은데 마땅히 쓸만한 화염 속성 몬스터가 없다 싶을 때 묘지행 화염 몬스터+드로우 셔틀 삼아 넣어보는 수도 있다. 이 카드와 비슷하게 전투 파괴되었을 때 패가 늘어나는 [[초시공전투기(유희왕)|제이드 나이트]]와 같이 나와 있으면 둘이서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마법을 제외한 거의 모든 마함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된다. 하지만 둘이 같이 들어갈만한 덱이 별로 없고 그래봐야 공격력 1200에 1000인지라 별 의미는 없다. 오랫동안 뒷면 표시로 있다가 전투 파괴당하면 드로우 효과를 못 쓴다는 재정이었는데,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에서 재록되면서 비슷한 효과의 제이드 나이트와 함께 뒷면 표시로 있다가 전투 파괴당해도 그 전에 앞면 표시를 거치기 때문에 효과 발동이 된다는 것으로 재정이 변경되었다. 이로서 공격력보다는 수비력이 더 높은 이 카드의 능력치를 살리면서 드로우 효과를 노려볼 수 있게 되었다. 이 카드로 무한 루프가 가능한데 이 카드가 자신 필드에 있고 상대 필드에 기계족 몬스터가 있을 때 [[강탈]] 등의 지속 컨트롤 탈취 카드를 사용하면 그 몬스터가 자신 필드로 왔다가 사이버 피닉스의 효과로 강탈이 무효화되고 다시 상대 필드로 갔다가 다시 강탈의 효과로 자신 필드로 왔다가를 무한 반복하게된다.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는 이런 경우 그 몬스터가 자신과 상대 필드를 계속 왔다 갔다 하다가 갑자기 파괴된다. 현실에서는 이게 해결이 안 되는 무한 루프인지라 이런 경우에는 '''아예 상대의 기계족 몬스터를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는 특수한 재정이 내려져 있다. 강탈은 금지이지만 [[장미의 각인]], [[타락(유희왕)|타락]]으로 여전히 이런 상황이 일어날 수 있고, 이 경우 역시 상대의 기계족 몬스터를 아예 선택할 수 없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정의의 적]] || EOJ-KR009 || [[슈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 -[[마루후지 료|헬카이저]]편- || DP04-KR006 || [[노멀]] || 한국 || || || [[하이 그레이드 팩]] Volume 4 || HGP4-KR189 || [[울트라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SD26-KR008 || [[노멀]] || 한국 || || || [[정의의 적|ENEMY OF JUSTICE]] || EOJ-JP009 || [[슈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절판 || || [[듀얼리스트 팩]] -[[마루후지 료|헬카이저]]편- || DP04-JP006 || [[노멀]] || 일본 ||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4 || EE04-JP189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기광룡 습뢰]]- || SD26-JP008 || [[노멀]] || 일본 || || || [[정의의 적|Enemy of Justice]] || EOJ-EN009 || [[슈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마루후지 료|Zane Truesdale]] || DP04-EN006 || [[노멀]] || 미국 ||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4 || DR04-EN189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2: [br]The Duel Academy Years || LCGX-EN178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Cyber Dragon Revolution]] || SDCR-EN008 || [[노멀]] || 미국 || || [[분류:유희왕/OCG/기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