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include(틀:마루후지 료 덱 관련 문서)] ||<-3><#869bb1><:> '''{{{#!html사이버 드래곤}}}'''|| ||<|6><:><#dcdcda>[[파일:CyberDragon-JP-Anime-GX-NC.png|width=100%]] || '''등장 시리즈''' || [[유희왕 GX|GX]] || || '''사용 캐릭터''' || [[마루후지 료]] || || '''첫 수록''' || [[사이버 혁명]] || || '''서포트''' || [[융합(유희왕)|융합]] || || '''소속 테마군''' ||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 || '''재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6390|OCG DB Q&A]] || [목차] == 설명 == [[유희왕]]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원작 === ||<#dcdcda>
[[파일:tumblr_pvgbjgwycZ1yr7dgpo1_1280.jpg|width=100%]]|| [[유희왕 GX]]에서 [[마루후지 료]]가 사용하는 '사이버 유파' 덱의 핵심 카드. 원작에서는 3장밖에 덱에 없을 이 카드가 첫 패에는 반드시 1장 이상 있었고 3장 모두 갖추어져 있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반대로 1장도 없는 경우, [[미래융합-퓨처 퓨전]]이 패에 있거나 [[사이버 다크]]를 갖추고 있었다. 첫 등장 당시 효과는 특수 소환이 아니라 제물 없이 소환 가능이었지만, [[에드 피닉스]]전에서 OCG 효과로 바뀌었다. 능력치, 종족, 생김새 전부 다르지만 [[카이바 세토|주인공의 최강의 라이벌]]이 사용하는 하얀 드래곤에 삼체 융합으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삼두룡]]이 되며 공격명에 버스트가 들어간다는 점에서 은근히 [[푸른 눈의 백룡]]을 의식한 듯한 카드이기도 하다.[* 공교롭게도 공수 모두 푸른 눈의 백룡에서 900 포인트씩 뺀 수치다.] 공격명은 '[[에볼루션 버스트]](エヴォリューション・バースト / Evolution Burst)'.[* 처음 공격했을 때는 불과 같은 브레스였고 두 번째로 공격했을 땐 번개 브레스 같은 공격이었다. 이후로는 파란색 레이저 브레스와 같은 공격이 되었다.] === [[OCG]] === ||[[파일:사이버드래곤20AP.jpg|width=100%]]||[[파일:サイバー・ドラゴン(イラスト違い).jpg|width=100%]]|| || 일반판 || [[사이버 섀도우 가드너]] 버전 일러스트 || || 한글판 명칭 ||<-4>'''사이버 드래곤'''|| || 일어판 명칭 ||<-4>'''サイバー・ドラゴン'''|| || 영어판 명칭 ||<-4>'''Cyber Drago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기계족]] || 2100 || 1600 || ||<-5>①: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부스터 팩 [[사이버 혁명]]에서 등장한 효과 몬스터. 심플하지만 편리한 효과. 사이버 드래곤처럼 패에서 특정 조건일 때 특소하는 몬스터들은 다량으로 있다. 이들 몬스터들은 보통 "~ 일 때/경우 발동할 수 있다. 이 몬스터를 패에서 소환한다" 식의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이런 경우 몬스터 효과를 패에서 발동하고 그 효과가 특수 소환이라 발동할 때 체인을 걸어 카운터를 치거나, 다른 효과의 발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이버 드래곤은 효과 발동 없이 특수 소환 할 수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그래서 몬스터 효과가 아닌 룰 효과로 분류한다. 활용도가 무궁무진한데, 패에서 일반 소환권도, 릴리스 소재도 없이 필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공격력도 '''2100'''이기 때문에 하급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고, 일반 소환으로 몬스터를 늘리거나 상급 몬스터의 릴리스 소재가 되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이런 강점 때문에 발매되고 나서 오랫동안 필수 몬스터 카드로 각광받을 정도였다. 보통 후공으로 특수 소환되어 몬스터 카드 2장을 꺼내 필드를 압박하곤 하였다. 높아 봤자 [[분노 유인원]]의 2000 정도가 한계였던 소환이 부담이 없는 하급 어태커들의 키 재기는 이 카드의 소환의 속공성 앞에서 거의 의미를 잃었다. [[어드밴스 소환]]은 보통 이 카드의 디메리트로 작용하지만, 상황에 따라 활용할 여지는 충분하다. 상대가 [[강제전이]]로 튕겨준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 같은 애물단지를 릴리스하고 처리해 버릴 수도 있고, 비슷하게 컨트롤 탈취해 온 몬스터가 상대에게 돌아가기 전에 먹어버릴 수도 있다. 필드 위에서 묘지로 갔을 때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를 빨리 발동하고 싶을 때 어드밴스 소환할 수도 있다. 빛 속성이라는 점 덕분에 당시 유행했던 굿 스터프 형식의 [[카오스(유희왕)|카오스]] 덱에도 잘 어울렸으며, 카오스 몬스터들이 금지가 된 후에도 [[사이칼리에어고즈]] 같은 스탠더드 계열 덱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선공을 잡은 상대가 필드에 아무것도 안 깔고 턴을 넘기는 것만으로도 상대에게 압박을 줄 수 있기도 했다. 다이렉트 어택을 하면 [[저승사자 고즈]]가 튀어나올 것 같고, 고즈가 안 나왔다고 하면 그다음 턴엔 사이버 드래곤... 이 카드 자체만으로도 성능이 좋은 편에 속하지만 또 강력한 융합 몬스터들의 융합 소재가 되다 보니, 전용 덱을 구축하는 것 외에도 다른 융합 덱에 곁다리로 넣거나, [[그린 가제트 & 레드 가제트 & 옐로 가제트|가제트 3형제]]나 [[마장기관차 데코이치]] 등 굿 스터프 기계족 몬스터를 넣고 [[오버로드 퓨전]]을 넣어서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으로 피니시를 내는 등 다양하게 응용되었다. 또한 높은 레벨과 특수 소환 효과로 [[싱크로 소환]] 소재로도 쓰기 편하다. 결국 이 카드의 사기적인 성능을 인정한 코나미의 제재를 받기도 했다. 한때 준제한에서 제한까지 갔다가 다시 거꾸로 준제한(2010.03.01) - 무제한(2010.09.01)으로 돌아오는 파란만장한 역사를 지닌다. 무제한으로 돌아오긴 했지만 그동안 좋은 카드들이 수도 없이 나오면서 환경의 변화가 많이 이루어진 상태인지라 이 카드를 주축으로 한 덱은 예전보다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객관적으로 보면 이제 이 카드와 2종류의 대용품들을 모두 풀 투입할 수 있게 되어 과거 최고의 전성기보다 더욱 더 파워업했다고 할 수 있지만, 역시 주위 환경이 문제. 그래도 각종 덱들의 파츠로는 여전히 사용 가치가 높아서 그런지 심심하면 재록한다. 물론 굳이 이 카드가 필요 없는 덱도 많아졌지만 쓰이는 덱에서는 쓰인다. [[싱크로 소환]]의 파츠로 레벨이 상당히 적절하여 유용한 편이며, 어드밴스 소환의 보조도 보통 이 카드부터 찾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는 된다. [[엑시즈 소환]]의 파츠로서는 못 쓰는 건 아닌데 아무래도 싱크로에 비해서는 덜 유용하여 [[미스트 데몬]]처럼 부담 없이 나갈 수 있는 레벨 5 몬스터가 그렇게 많지는 않기 때문에 이 카드보다는 레벨이 다른 상호 호환 카드들이 더 낫다. 다만 [[영혼의 호송선]]이나 기타 사이버 지원 카드들의 등장으로 엑시즈 소환이 더 수월해졌다. 이 카드를 융합 소재로 하는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키메라테크 메가프리트 드래곤]] 때문에 간접적으로 모든 기계족 몬스터/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대한 메타 카드가 된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기계족을 대량 전개했거나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중요한 몬스터가 있을때 상대가 이 카드를 꺼냈다면 '''무조건 그 즉시 제거해야 한다.''' 물론 이 카드의 다양한 대용품들도 마찬가지.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는 대부분이 [[펜듈럼 소환|펜듈럼 몬스터]]라 융합 소재로 쓸 수 없으므로 안심해도 될 것 같지만, [[아포클리포트 킬러]]를 쓸 생각이면 비펜듈럼 몬스터라서 먹히는데다, 펜듈럼 몬스터도 [[초융합]] 같은 카드가 있다면 또 다른 사이버 드래곤의 융합체인 [[사이버 이터니티 드래곤]]이나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의 융합 소재로 먹히기 때문에 경계해야 하는 것은 똑같다. === [[유희왕 러시 듀얼]] === === [[유희왕 듀얼링크스]] === 듀얼링크스에서는 헬카이저 해금 이벤트가 열리면서 사이버 드래곤이 나오는가 했으나 듀얼링크스의 환경 특성상 사기일 거라 생각됐는지 헬카이저 레벨 업 보상에도 대용품만 있고, 이벤트도 사이버 드래곤이 아닌 [[사이버 다크]] 시리즈를 풀어놨다. 이후로도 소식이 없다가 2019년 7월 [[사이버네틱 리벨리온|신 부스터 팩]]에서 [[사이버 트윈 드래곤]]과 함께 UR 카드로 드디어 등장했다. 드디어 사이버 드래곤 덱을 만들 수 있게 되었지만 180장이나 하는 메인 팩을 3번이나 돌려야 하고, 이미 사이버 드래곤이 활약하기엔 파워 인플레이션이 많이 진행되어서 실전성보다는 로망을 보고 써야 하는 카드가 되었다. 하지만 신규 부스터 팩에서 [[오버로드 퓨전]], [[사이버 드래곤 코어]],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 사이버 마법/함정 중 일부 등이 풀리면서 단순 로망에서 3티어 덱까지 올라갔다. == 수록 팩 일람 == 다른 일러스트(1)로 되어 있는 것이 섀도우 버전 일러스트다. {{{#!folding [펼치기 · 접기]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사이버 혁명]] || CRV-KR015 || [[슈퍼 레어]][br][[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 -헬카이저편- || DP04-KR001 || [[레어]] || 한국 || || || [[듀얼 디스크]] 동봉 || DSK2-KR001 || [[시크릿 레어]] || 한국 || 다른 일러스트(1)[br]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 Volume 4 || HGP4-KR015 || [[울트라 레어]] || 한국 || || || [[골드 시리즈]] || GS01-KR007 || [[노멀]][br][[골드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 -[[머시너즈의 지령]]- || SD18-KR013 || [[노멀]] || 한국 || || || [[X-세이버 스페셜 에디션]] || XS12-KR022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 -[[드래고닉 군단]]- || SD22-KR015 || [[노멀]] || 한국 || || || [[스타터 덱 2012]] || ST12-KR011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라이트닝 스타 || DS13-KRL16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SD26-KR003 || [[레어]] || 한국 || 일반 일러스트 1장 + [br]다른 일러스트(1) 1장 || || [[사이버 혁명|CYBERNETIC REVOLUTION]] || CRV-JP015 || [[슈퍼 레어]][br][[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듀얼리스트 팩]] -헬카이저편- || DP04-JP001 || [[레어]] || 일본 || || || 아카데미 듀얼 디스크 스페셜 세트 동봉 || ADDS-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다른 일러스트(1)[br]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4 || EE04-JP015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듀얼 터미널]] -싱크로 각성!!- || DT01-JP00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V점프 2008년 6월호 동봉 || VJMP-JP031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울트라 레어]] || 일본 || 다른 일러스트(1)[br]절판 ||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 GS01-JP007 || [[노멀]][br][[골드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머시너즈의 지령|머시너즈 코만도]]- || SD18-JP013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박스 2012 || DB12-JP018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드래고닉 군단|드래고닉 레기온]]- || SD22-JP015 || [[노멀]] || 일본 || || || [[스타터 덱 2012|STARTER DECK 2012]] || ST12-JP011 || [[노멀]] || 일본 || || || [[골드 시리즈|THE GOLD BOX]] || GDB1-JP007 || [[골드 레어]] || 일본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라이트닝 스타 || DS13-JPL16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기광룡 습뢰]]- || SD26-JP003 || [[레어]] || 일본 || 일반 일러스트 1장 + [br]다른 일러스트(1) 1장 || || [[사이버 혁명|Cybernetic Revolution]] || CRV-EN015 || [[슈퍼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Cyber Dragon[br]Collectible Tin || CT03-EN002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Duelist Pack: Zane Truesdale || DP04-EN001 || [[레어]] || 미국 || 다른 일러스트(1)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4 || DR04-EN01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Gold Series || GLD1-EN022 || [[골드 레어]] || 미국 ||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 Preview Wave 1 || DTP1-EN00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미국 || 절판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 Preview Wave 2 || DTP1-EN00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미국 || 절판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 DT01-EN00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머시너즈의 지령|Machina Mayhem]] || SDMM-EN013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2: [br]The Duel Academy Years || LCGX-EN17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2: [br]The Duel Academy Years || LCGX-EN176 || [[시크릿 레어]] || 미국 || 다른 일러스트(1) || || Ra-Yellow Mega Pack || RYMP-EN058 || [[노멀]] || 미국 || || || Ra-Yellow Mega Pack || RYMP-EN059 || [[시크릿 레어]] || 미국 || 다른 일러스트(1) || || [[스타터 덱 2012|Starter Deck: Xyz Symphony]] || YS12-EN011 || [[노멀]] || 미국 || || || Battle Pack: Epic Dawn || BP01-EN138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 BP02-EN039 || [[노멀]][br][[패러렐 레어|모자이크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Cyber Dragon Revolution]] || SDCR-EN003 || [[노멀]] || 미국 || 일반 일러스트 1장 + [br]다른 일러스트(1) 1장 ||}}} == 기타 == 일러스트가 2종류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새하얀 동체를 가지고 있지만 또 하나의 일러스트는 동체가 시커멓게 도장 되어서 [[사이버 다크]]가 생각나기도 하다. 2번째 카드가 발매될 무렵에 사용자인 [[마루후지 료]]가 [[타락]]해서 헬카이저가 되었기 때문이다. 사이버 유파의 봉인된 카드 [[사이버 다크 드래곤]]을 털어 가기 위해 듀얼할 때 지속 함정 [[사이버 섀도우 가드너]]에 의해 복사된 사이버 드래곤의 모습이 원형이라는 설이 있다. [[http://www.nicovideo.jp/watch/sm6989346|사이버 드래곤 궁극의 로망(니코동 아이디 필요)]]([[유희왕 태그 포스]] 3) 후속 카드들의 효과와 스펙을 조절하는 기준이 되고 있기도 하다. 이 카드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효과를 지닌 몬스터들이 발매되고 있지만, 각각 단점들을 하나씩은 달고 나온다. [[바이스 드래곤|공격력이 절반이 된다거나]], [[피스 골렘|특수 소환이 아닌 일반 소환이거나]], [[성각|꺼낸 턴에 공격을 할 수 없다거나]], [[포톤 스래셔|혼자 있을 때만 공격을 할 수 있다거나]], [[태양의 신관|능력치가]] [[솔라 윈드재머|아예 낮거나]] 하는 식. 그런 이 카드가 과거 등장 당시에는 하급 어태커들이 형성하고 있던 파워 라인을 무너뜨려 버렸던 밸런스 브레이커라는 건 참 재미있는 일이다. 다만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번개 신선|번개 선신]]이나 [[다이너레슬러 판크라톱스]] 등 단독으로 이 카드보다 소환도 쉽고 타점도 높은 카드들이 하나둘씩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론적으로는 서로 상호 호환이긴 한데 현실적으로는 사이버 드래곤 쪽이 하위 호환이다.] 이젠 사이버 드래곤의 범용 상급 어태커로서의 수명은 다했다고 봐야 할 듯. 사실 현재의 사이버 드래곤도 '''간단한 특수 소환'''을 집중하지, 어태커로서의 성능은 뒷전이다. 재록을 굉장히 많이 했지만 처음 나왔을 때 텍스트인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라는 텍스트로 유지되다 9기 이후 재록되었을 때 현행 텍스트로 바뀌었다. DM 시절 유명 몬스터 [[푸른 눈의 백룡]]에 이어, GX 시절의 유명 몬스터로서 26번째 [[스트럭처 덱]]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의 테마로 당당히 선택되었다. ==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관련 카드]] ==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문서 참조. [[분류:유희왕/OCG/기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