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링크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파일:サイバー・ドラゴン・ズィーガ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사이버 드래곤 지거, 일어판 명칭=サイバー・ドラゴン・ズィーガー, 영어판 명칭=Cyber Dragon Sieger, 레벨=2, link2=, link4=,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2100, 소재="사이버 드래곤"을 포함하는 기계족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카드명은\, 필드 / 묘지에 존재하는 한 "사이버 드래곤"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공격 선언을 하고 있지 않은 자신 / 상대 배틀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공격력 2100 이상의 기계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턴 종료시까지 2100 올린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전투에 의한 서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오랜만에 수록된 [[사이버 드래곤]] 지원 카드로, 사이버 드래곤 계열의 특수 소환 몬스터(진화형) 중에선 최초로 카드명을 사이버 드래곤으로 취급하는 몬스터이자, 사이버 드래곤 최초의 링크 몬스터. 소환 시 사이버 드래곤 계열 몬스터가 무조건 1장은 있어야 한다. 그런 소재 제한 때문인지 링크 2 몬스터치곤 공격력이 상당히 높고, 링크 마커가 왼쪽과 하단 방향이라 초반 전개에도 좋고 되살렸을 때도 괜찮은 편. ①의 효과는 사이버 드래곤 대용품에도 있었던, 필드 / 묘지에 존재하는 한 자신을 사이버 드래곤으로 취급하는 효과. 레벨 관련 효과는 받지 못해도 그외 필드/묘지를 범위로 잡는 사이버 드래곤 서포트는 전부 받을 수 있다. 설령 이 효과가 무효로 된다 해도 이 카드가 '사이버 드래곤' 몬스터라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 [[키메라테크 메가프리트 드래곤]], [[사이버 이터니티 드래곤]]의 융합 소재로 쓸 수 있다. ②의 효과가 이 카드의 진가로, [[사이버 드래곤 노바]]와 비슷하게 이 카드가 공격 선언을 하지 않은 배틀 페이즈에 자신 또는 다른 공격력 2100 이상인 기계족 몬스터의 공격력과 수비력을 2100이나 올려주는 파격적인 효과다. 노바와는 달리 수비력도 올려주고, 코스트도 없다. 대신 이 카드가 공격을 선언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동 가능하며, 발동 후에는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서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되므로 자신 이외의 피니셔에게 걸어주거나 이 카드가 공격 받는 경우 혹은 지금 당장 상대의 고타점 몬스터를 돌파해야하는 경우에나 자신에게 걸어주게 될 것이다. 물론 이 카드가 전투했을 때의 데미지만 0인 것이니, 이 카드가 [[암즈 에이드]], [[정크 어택]]을 장착한 후 상대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하면, 효과 데미지(또는 LP 조작)는 그대로 적용된다. 사이버 드래곤 덱엔 [[사이버 트윈 드래곤]]이나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 [[파워 본드]], [[에어크랙 스톰]]을 비롯해 전투와 잘 맞는 카드가 많아, 공격반응형 함정이나 [[퍼미션]]에 걸리지만 않는다면 충분히 [[원턴킬]]이 가능하다. 공격력 2100 이상인 기계족 몬스터이기만 하면 되므로, 사이버 드래곤 특화 덱이 아니더라도 사이버 드래곤을 넣은 기계족 덱이라면 언제든 써먹을 수 있는 알짜배기 효과다. 단 방법 불문하고 공격력이 내려가 버리면 효과 대상에서 벗어나서 전투 파괴될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반대로 말하면 다른 수단으로 공격력을 2100 이상으로 끌어올린 몬스터가 있다면 그 몬스터에게 효과를 씌워줄 수 있다. 또한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나 [[파워 본드]] 같은 카드들 없이도 사이버 드래곤 몬스터의 타점을 강화시킬 수단이 생겼다는 것에 의의가 큰 카드. 램페이지 드래곤이 3회 연속 공격과 융합 소재 수만큼 마법 / 함정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 덕에 피니셔가 될 수 있지만, 사이버 드래곤의 공격력과 같은 2100 밖에 되지 않는 낮은 타점 때문에 파워 본드나 리미터 해제 등을 비롯한 타점 보조 효과가 없으면 고타점 몬스터를 돌파하고 원턴킬을 내기 어려웠는데, 이 카드의 등장으로 타점 보조가 훨씬 쉬워졌다. 이 효과를 가장 잘 써먹을 수 있는 카드는 역시 같은 카드군의 [[사이버 트윈 드래곤]]과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 특히 램페이지 드래곤은 상황에 따라 3번 연속 공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턴킬 루트가 손쉽게 성사된다. 만약 파워 본드로 소환된 상태라면 4200 + 2100 = 6300의 무식한 공격력을 자랑하게 된다. 이름의 지거(Sieger)는 독일어로 챔피언, [[마루후지 료|승리자]]를 뜻한다. 여담으로 현재까지 출시된 링크 2 몬스터 중에서는 [[코드브레이커(유희왕)|코드브레이커 바이러스스워드맨]]이 나오기 전까지 원래 공격력이 가장 높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 || CYHO-KR046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CYBERNETIC HORIZON]] || CYHO-JP046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Cybernetic Horizon]] || CYHO-EN046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