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 [[유희왕/OCG]]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top2=사이버(유희왕))] [목차] == 설명 == || [[파일:サイバー・ドラゴン・インフィニティ.jpg|width=100%]] || [[파일:RC03-JP025.jpg|width=100%]]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엑시즈=, 한글판명칭=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일어판명칭=サイバー・ドラゴン・インフィニティ, 영어판명칭=Cyber Dragon Infinity, 속성=빛, 레벨=6, 공격력=2100, 수비력=1600, 종족=기계족, 소재=기계족 / 빛 속성 레벨 6 몬스터 × 3, 효과외1="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는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사이버 드래곤 노바"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할 수도 있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의 수 × 200 올린다., 효과2=②: 1턴에 1번\, 필드의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이 카드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효과3=③: 1턴에 1번\,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엑시즈 소환을 [[마루후지 료|리스펙트]]한 사이버 드래곤의 진화체.''' >'''적어도, 카드 효과가 [[퍼미션#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무효화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메이트(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텍스트 일본 [[크로스오버 소울즈]]의 [[월드 프리미어 카드]]로 등장한 [[사이버 드래곤 노바]]의 강화형. 강화형답게 채색이 사이버 드래곤 노바와 유사하며, 덕지덕지 다른 사이버 드래곤 계열 몬스터의 부품을 붙인 게 사라지고 보다 자연스러운 드래곤 형태가 됐다. 사이버 드래곤 노바가 망가진 사이버 드래곤을 수리하며 태어났다면, 이 카드는 그것이 더욱 진화해 본연의 모습을 찾은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사이버 드래곤을 비롯한 랭크 5 기계족 덱들의 주력 병기. 정규 소환 방법이 매우 까다로우니 명백히 사이버 드래곤 노바에 겹쳐 내라고 만든 카드다. 공격력 / 수비력은 [[사이버 드래곤]]과 같으며, 이는 사이버 드래곤 노바나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과 함께, [[유희왕 GX]] 종영 이후 등장한 사이버 드래곤 진화형 배리에이션 카드들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①의 효과로 기본 소환 요건인 엑시즈 소재 3장만 있어도 2700이란 높은 타점을 지니고 버틸 수 있다.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필드의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먹을 수 있는 강력한 효과. 대상 지정이나 몬스터 효과 자체에 내성을 갖지 않은 이상 거의 대부분의 공격 표시 몬스터를 먹을 수 있다. 그리고 이 효과로 엑시즈 소재 1개가 늘어남으로써, 안정적인 타점까지 덤으로 확보한다. 또한 소재로 먹을 수 있는 대상의 컨트롤러를 안 가려서 소재나 타점이 부족하다면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먹어 강화시키는 것도 된다. 아니면 일부러 자신의 몬스터를 치우는 방법으로 쓸 수도 있다. 활용법 중 하나는 [[사이버 드래곤 코어]]를 소환해 [[사이버 리페어 플랜트]]를 서치하고 엑시즈 소재로 쓰는 것. 사이버 드래곤 코어는 묘지에서의 사용법도 좋기에 ③의 효과를 부담 없이 쓸 수 있다. ③의 효과는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고 [[슈팅 퀘이사 드래곤|마법 / 함정 / 몬스터 효과의 발동을 무효화하고 파괴]]하는 효과. 이미 발동된 지속 효과엔 대응할 수 없으나, 카드의 발동이 아닌 효과의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는 점이 강력하다. 게다가 장소를 따로 지정하지 않기에 어느 곳에서든 무효화가 가능하며, 발동을 무효로 하는 효과라 당연히 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하다. 즉 패 유발 효과인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의 효과나, 묘지에서 소생하는 [[정룡]]의 효과도 무효화할 수 있다. 대강 ②③의 효과만으로도 몬스터 1장은 안정적으로 엑시즈 소재로 뺏을 수 있는 강력한 효과. 또한 ②③의 효과를 통틀어서 1턴에 1번 발동이 아니고, 각각 1턴에 1번씩 쓸 수 있다. 그래서 ②의 효과로 상대가 무효화 체인을 걸어도, ③의 효과로 역 카운터가 가능하다. 헷갈릴 수 있지만 카드 효과의 발동은 카드의 발동 및 효과의 발동을 둘 다 지칭한다. 따라서 펜듈럼 효과가 없는 펜듈럼의 발동이나, 발동시엔 아무 효과도 처리하지 않는 마법 / 함정의 발동도 무효로 하고 파괴할 수 있다. 이것이 왜 중요하냐면, 카드의 발동이 무효화되면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지는 취급이 아니기 때문. 세트해서 발동했다고 해도 발동을 무효화하면 필드는 아닌 어떤 장소에서 묘지로 가는 취급이라 이 경우엔 [[스타더스트 드래곤]] 같은 카드로 못 막는다.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덱엔 의의가 큰데, 몬스터 효과 견제에 취약해서 소환하기도 힘든 [[사이버 엘타닌]]으로 간신히 상대의 견제를 막아내던 걸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과 함께 운용하면 소환을 틀어막거나 소환시 제거하는 효과도 견제하고,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의 효과로 마법 / 함정을 다 쓸어먹으며 이 카드로 몹을 먹어 완벽한 원턴킬 상황을 만들 수 있다. '''게다가 램페이지가 레벨 5라서 이 카드의 발판인 사이버 드래곤 노바의 소재로 쓸 수 있는데다, 이 카드의 카드명도 '사이버 드래곤'을 포함하기에 램페이지의 융합 소재로 쓸 수도 있다.''' 약간 더 복잡해도, 작정하면 [[사이버 트윈 드래곤]]이나 [[사이버 엔드 드래곤]]을 함께 띄워서 이 둘에게 없는 효과 내성을 이 카드로 확보해줄 수도 있다. 그야말로 완벽한 시너지. 제대로 짜인 사이버 + 이 카드 조합은 디메리트 없이 화끈하게 원턴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몬스터도 약점은 있다. 사이버 드래곤 노바 위에 겹쳐 나오기에 [[증식의 G]]에 취약하고, 엑스트라 덱에 사이버 드래곤 노바를 넣어야 해서 엑스트라 덱에 부담을 준다. 1턴에 1장밖에 못 나온다는 것도 단점. 또한 원판인 노바의 공격력이 실질적으로 4200임을 감안하면 2700은 3000대 및 2800대 몬스터들에게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기에 상대가 이미 효과보다는 전투 위주의 카드로 필드를 굳혔다면 다음 턴에 파괴될 확률이 높다. === 대처법 === *무효화할 수밖에 없는 효과를 던져준다. 거의 대부분의 효과를 무효화할 수 있지만 1턴에 1번뿐이다. 이 카드를 처리하거나 [[금지된 성배|효과를]] [[이펙트 뵐러|무효화하는]] [[무한포영|카드]]는 반드시 무효화해야 하므로 알면서도 당할 수밖에 없다.[* 아이러니하게도 무한포영의 일러스트에는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얘]]가 있다.] 대표적으로는 [[달의 서]]나 [[무한포영]]이 있다. 뒤집히면 낮은 수비력으로 금방 맞아 죽기에... 묘지의 [[브레이크스루 스킬]]을 재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카드를 처리하는 효과에 체인을 겹쳐 건다. 체인 시스템 덕분에 가능한 방법. 그러니까, 상대가 체인을 걸도록 유도한 후 진짜 쓸 효과는 남겨두거나, 체인 1로 트리거가 되는 효과를 이용하는 식. 대표적으로 [[해황(유희왕)|해황]][[머메일]]이 있다. [[머메일-메가로어비스]]가 패의 해황의 중장병을 버리고 특수 소환될 경우, 이 카드가 막을 수 있는 건 메가로어비스의 효과뿐. 해황의 중장병의 효과로 파괴된다. *고타점 몬스터로 처리 퍼미션 몬스터의 한계로 강력한 효과를 탑재한 대신 기본 공격력이 2100으로 상당히 낮다. 소환 후 효과를 쓴다 쳐도 2900이 한계이며 그마저도 무효화 효과를 쓰면 실질적으론 2500~2700에 불과하다. [[수왕 알파]], [[시계신 산다이온]] 등 소환이 쉬운 3000 이상의 타점을 가진 몬스터를 꺼낸다면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 등으로 강화하지 않고서야 절대 이기지 못한다. 엑스트라 덱 몬스터도 가능하긴 한데, 대표적인게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 단, 이쪽은 전개 초동부터 안 막히려면 [[포톤 스래셔]]를 이용해야 한다. 라이트닝의 ①의 지속 효과 때문에 이 카드의 ③의 효과로는 라이트닝의 ②의 효과를 무효화할 수 없다.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 [[키메라테크 메가프리트 드래곤]] 외에 룰 소환되는 몬스터로 처리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라도 이 카드들은 못 피해간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먹는 효과는 자기 턴에만 쓸 수 있고, 체인을 안 타는 특수 소환을 하는 [[사이버 드래곤]]과 일반 소환시 효과가 임의 효과인 [[사이버 드래곤 드라이]], 지속 효과 외에 아무 효과가 없는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을 소환하면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효과를 발동해야 사이버 드래곤이 되는 [[사이버 드래곤 츠바이]], 일반 소환하면 강제 효과가 발동하는 [[사이버 드래곤 코어]]는 못 써먹을 수도 있다. 꼭 키메라테크 포트리스가 아니더라도,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는 '''룰에 의한 소환을 못 막으므로''' 그런 몬스터들([[푸른 눈의 아백룡]], [[Sin 사이버 엔드 드래곤]], [[다크 암드 드래곤]],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 등)로 전투 파괴를 노려도 된다. *릴리스 당연한 얘기지만 이는 거의 대부분의 카드들에 해당하는 만능 철거반이다. 내성 있는 카드 얘기할 때마다 나오는 [[용암 마신 라바 골렘]], [[볼캐닉 퀸]], [[사탄클로스]], [[파괴수(유희왕)|파괴수]]도 역시 못 벗어난다. 다만, 이 전법은 사이버 드래곤 덱에서도 '''똑같이''' 사용해서 그 릴리스 소환한 몬스터를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로 먹어버리는 점은 주의.[* 파괴수 중 괴성파괴수 지즈키엘은 '''기계족 빛속성'''이라 사이버 드래곤 덱에선 꼭 채용하는 카드다.] *카운터 함정 [[신의 경고]] 같은 소환 무효화 계열 카드가 아니라도, [[천벌(유희왕)|천벌]] 또는 [[신의 통고]]가 있는 환경에서 이 카드를 섣불리 지르기 망설여지는 요소다. *지속 효과를 가진 카드 이 카드라도 '''발동하지 않는 지속 효과'''는 못 막는다. 특히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나 [[지구거인 가이아 플레이트]] 같은 녀석들이 나오면 손도 못 쓰고 당한다. *[[초융합]] 이 카드가 '사이버 드래곤' 몬스터라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의 융합 소재가 될 수 있음은 물론, 필드에 '사이버 드래곤'이 있다면,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으로 바뀌는 황당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덱]] 외에 뽑을 만한 덱 === 강력한 효과에 대한 제약으로, 소환 조건이 한정적이라 쓰려면 준비가 필요하다. 과거 [[사이칼리에어고즈]]처럼 사이버 드래곤을 주력으로 넣는 덱이라면 모를까, 메인 덱에 들어가는 빛 속성 기계족 레벨 6 몬스터는 [[세이크리드|세이크리드 안타레스]], [[비크로이드|유에프오로이드]], 소환 제약이 걸린 [[사이버 베리어 드래곤]]뿐인 데다, 엑스트라 덱을 포함해도 범용 싱크로 몬스터인 [[인잭트론 파워드]]를 제외하면 [[VWXYZ]] 계열뿐이고, 몬스터 레벨을 조정해 엑시즈 소환하기엔 너무 번거롭고 맞추기 어렵기에, 사이버 드래곤 노바에 겹쳐 소환하는 것 외엔 실전성이 떨어진다. 단, 후술할 카드군은 실전 레벨에서 어떻게든 이 카드를 뽑을 만한 방법이 있다. [[디멘션 오브 카오스]] 발매 이후엔 위세가 약해졌지만, 여전히 좋은 효과를 가진 카드임은 분명하니 실전적으로 뽑을 방법이 있다면 해당 덱에서 채용할 생각을 해보는 몬스터. [[오파츠(유희왕)|오파츠]]는 오파츠 골든 셔틀+오파츠 네브라 디스크로 [[CNo.101 사일런트 아너즈 다크 나이트]]를 뽑듯 노바→이 카드로 연계시킬 수도 있는데 실제로 사이버에서도 오파츠 골든 셔틀+오파츠 네브라 디스크로 사이버 드래곤 노바를 뽑는 경우가 있으니 괜찮은 방법. 그 외엔 [[No.36 오파츠 초기관 포크 휴크]], [[세이크리드|세이크리드 비하이브]] 등에 [[RUM-아스트랄 포스]]로 랭크 업하는 방법이 있다.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도 썼는데, [[클리포트 툴]]과 [[클리포트 어셈블러]]가 레벨 5인 데다 기계족 테마라 노바를 부를 수 있기 때문. 세팅된 펜듈럼을 치우고 클리포트 디스크를 불러 위의 저 2장을 부르는 것으로 특소 디메리트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소환사의 스킬]]을 채용한 [[메탈포제]]에서 소환사의 스킬로 클리포트 툴을 서치하고 클리포트 툴로 클리포트 어셈블러를 서치한 뒤 이 2장으로 이 카드를 뽑는 경우가 있다. [[갤럭시(유희왕)|갤럭시]]에서도 [[갤럭시 솔저]]를 이용해 쉽게 뽑을 수 있다. 갤럭시 솔저의 효과를 발동만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무조건 엑시즈 소환할 수 있어, 갤럭시 덱에선 새로운 에이스 카드로 떠올랐다. 갤럭시 솔저 자체가 사이버 드래곤 덱에서도 필수 카드니 당연한 것. [[분보그]]도 쓸 수 있는데, 분보그004의 효과로 005와 001을 특수 소환, 004+001로 [[A·O·J 카타스톨]] 등의 기계족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해 분보그005+싱크로 몬스터로 사이버 드래곤 노바를 뽑는 식. 필드에 분보그 베이스나 002같이 공격력을 올려주는 카드가 없을 경우엔 005에 [[기계 복제술]]이나 [[지옥의 폭주소환]]을 써주면 된다. 카드군 전체가 기계족인 [[SR(유희왕)|SR]]는 [[SR 베이고맥스]]를 특수 소환해 SR 더블요요를 서치 후 소환, 효과로 묘지의 SR 빨간 눈의 다이스를 특수 소환해 베이고맥스의 레벨을 5로 조정한 뒤 SR 빨간 눈의 다이스+SR 더블요요로 카타스톨이나 [[HSR 찬바라이더]] 등을 소환해 싱크로 몬스터+레벨 5의 베이고맥스로 사이버 드래곤 노바를 뽑는 루트가 있다. SR 빨간 눈의 다이스가 유용한 튜너라 묘지로 자주 보내져, 쓸 일은 종종 있는 편이다. [[전설의 백석]]과 [[푸른 눈의 백룡]]이 둘 다 빛 속성임에 착안해, 갤럭시 솔저를 이용해 전설의 백석을 묘지로 보내고 백석으로 서치한 푸른 눈의 백룡으로 2번째 갤럭시 솔저를 특수 소환하는 식으로 사이버 드래곤 노바와 이 카드를 띄우는 변종 활용법도 있다. 이 콤보의 단점이라면 엑스트라 덱 공간 2칸이 낭비된다는 것과 갤럭시 솔저를 서치할 수단이 드래곤 덱에 없다는 것인데, 일단 [[트레이드 인]], [[조화의 패]]의 자리에 갤럭시 솔저를 넣고 덱 압축을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 [[드래곤 자각의 선율]]에 맡기는 식의 구성도 있다. 조화의 패/트레이드 인의 랜덤 2장 드로우와 갤럭시 솔저의 확정 서치 1장엔 그리 큰 효율 차이가 안 나고, 패 2장만으로 덱 압축과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이 카드란 막강한 랭크 5를 잡을 수 있단 점에서 종종 쓰인 전략이다. [[퀵댄디]]에서도 [[퀵 싱크론]] 2장이면 뽑을 순 있지만, 싱크로 몬스터 넣기에도 좁아터진 엑스트라 덱에 얘와 노바를 넣기 버겁다. 그래도 가끔 사이버 드래곤 덱에서도 비싼 갤럭시 솔저 대신 넣거나 아니면 4장째로 넣는 경우가 있었다. 대신 빛 속성이 아니라서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를 못 뽑는 건 단점. [[무한기동]]에서도 랭크 5 엑시즈 소환을 전개의 시작으로 하는 덱이다보니 사이버 드래곤 노바를 뽑는게 용이하다. 바로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로 이어가며 사용할 수 있고, 무한기동 골라이어스나 헤비 포워드를 자체 효과로 엑시즈 소재로 사용하면 소재를 쉽게 충당할 수도 있다. 단, 무한기동 로드롤러의 경우는 상대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고정시키는 효과 때문에 공격 표시 몬스터만 먹을 수 있는 인피니티와는 상성이 좋지 않다. [[RR(유희왕)|RR]] 덱에선 RUM-소울 셰이브 포스로 묘지에 랭크 4 RR 엑시즈 몬스터만 있으면 바로 뽑을 수 있고, RR-데블 이글이 전투로 파괴됐을 경우 RUM-데스 더블 포스로 뽑을 수도 있으며, 레벨 5 기계족이 많은 [[다이너미스트]]에서도 활약할 수 있다. [[Kozmo]]에서도 슬립라이더 2장을 띄울 수 있다면 뽑을 수 있다. [[피안(유희왕)|피안]] 덱이 티어에 오르면서 [[엑시즈 유니버스]]로도 이 카드를 뽑았다. [[ABC(유희왕)|ABC]] 덱도 이 카드를 뽑았는데, 레벨 4 유니온 or 골드/실버 가제트→[[트랜스턴]]→갤럭시 솔저 루트라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의 재림이란 말이 나왔다. 다만 초기 이후의 ABC 덱은 트랜스턴과 갤럭시 솔저 없이 4축으로 굴리는 게 더 안정적이라 이 카드를 잘 안 쓴다. === 4축의 시대 === 이 카드는 등장하자마자 사이버 드래곤 덱의 파워를 크게 올려줬다. 하지만 이 카드의 진가를 드러내게 한 건, 다름 아닌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 디자인 컨셉은 강력하지만 어려운 소환 조건, 사이버 드래곤 노바와의 연계 등 아무 덱에서나 못 쓰게 했는데, 프톨레마이오스와의 연계 때문에 현실은 사이버 드래곤 덱의 주력병기보단 랭크 4 엑시즈 덱의 용병에 가까운 취급을 받았었다. 랭크 5 징검다리 역할을 해주는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 때문.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567637515956273152|공식 자료]]에서도 이 방법을 홍보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효과로 사이버 드래곤 노바를 랭크 업 소환한 뒤 바로 이 카드를 겹쳐 소환하는 방법이 발견되면서 '''듀얼판이 뒤집어졌다.''' 왜냐면 이 방법은 [[테라나이트]], 사이버가 아니라도 프톨레마이오스만 있으면 '''레벨 4 몬스터 × 3 엑시즈 소환이 가능한 거의 모든 덱들이 가능'''했기 때문. 패만 좋다면 선턴에 이 카드를 뽑아 상대한테 락을 걸어버릴 수 있다. 특히 '''[[히어로(유희왕)|히어로]]''' 덱은 패가 조금만 잘 나와도 '''선턴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 인피니티'''란 돌파가 힘든 락을 걸어버리는 일이 다반사였다. 이로 인해 나오자마자 테라나이트와 히어로는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사이버 드래곤 노바+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콤보를 적극적으로 채용해 그동안 미묘했던 입지를 벗고 1군으로 격상했다. 일단 4×3이 아무리 뽑기 쉬워도, 그걸 아무것도 못하고 날려먹는다면 손실은 생각 이상으로 크다. 무작정 4×3이 모였다고 이 카드를 뽑지 말고 중후반 상대의 자원이 말라갈 때 굳히기 용으로 쓰는 게 좋다. 더군다나 이 카드는 특수 소환에 아무 제한이 없어서, [[죽은 자의 소생]] 등으로 튀어나와도 저 소재 흡수로 다시 '''무효화 효과를 쓸 수 있다.''' 심지어 전투 덱에 쓰라고 내놓은 카드인 듯한데 [[치킨게임(유희왕)|치킨게임]] 원턴킬 덱에도 들어갔다. 이는 원턴킬 훼방을 못 놓게 하기 위함으로, 상대 턴에 발동해야 하는 [[매지컬 익스플로전]] 등의 최소한의 위험 부담을 [[소울 차지]]+프톨레마이오스+인피니티로 없앨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등장 당시의 환경이 이 카드에 매우 유리했다는 것도 한몫했다. 2월에 발매된 당시엔 다소 애매했지만, 한달 뒤 2015년 4월 금제에서 [[섀도르]]는 [[엘섀도르 네피림]]이 금지, 엘섀도르 퓨전·[[매스매티션]]·[[크리밴디트]]가 제한이 됐고, [[네크로즈]]는 네크로즈의 반혼술과 브류나크의 네크로즈 제한,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는 새클리포트 제한에 클리포트 툴이 준제한이 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공에 이 카드를 띄워놓을 경우 클리포트 툴, 만화경, 섀도르 퓨전, 데네브의 효과를 무효화한다면 초동에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된다. 주로 쓰는 견제 카드였던 [[이펙트 뵐러]]는 상대 턴에만, 천적인 [[브레이크스루 스킬]]은 함정 카드라 1턴 뒤에나 쓸 수 있었고, 클리포트가 쓰는 금지된 성배 정도는 돼야 어떻게든 막을 수 있어 이 카드를 막기 어려웠고, 이 카드의 컨트롤러도 이 카드만 세워놓을 리가 만무하니 이땐 정말 막강한 위력을 발휘했다. 그러나 [[디멘션 오브 카오스]]가 발매되고 [[EMEm]] 덱이 입상덱을 싹쓸이하게 되자 되려 빠지게 됐다. 이는 선턴에 못해도 [[플레시아의 충혹마]]와 [[No.16 쇼크 마스터]]는 밥 먹듯이 뽑아내고도 어드밴티지가 남는 EMEm에선 굳이 이 카드를 안 써도 상대에게 억제력이 충분한 데다, [[크로스오버 소울즈]] 발매 이후 이 카드에 대한 파훼법이 꽤 나왔기 때문. 게다가 펜듈럼 전용 덱들이 주가가 상승함에 따라 오히려 쇼크 마스터가 이 카드보다 훨씬 억제력이 강함이 밝혀진 뒤엔 엑스트라 덱을 많이 차지하는 이 카드와 노바를 버리고 프톨레마이오스+[[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스테라나이트 세이크리드 다이아]]+쇼크 마스터 조합이 더 많아졌다.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이쪽은 오랜 시간 동안 OCG에서 금지로 남아있다 2023년 1월 리미트 레귤레이션 개정으로 제한으로 완화되었다. TCG권에선 무제한.]와 쇼크 마스터는 금지 카드가 됐지만 이 카드는 여전히 소환 조건이 한정적이란 단점이 있어서 아무런 제재도 먹지 않았다. 덕분에 현재까지도 사이버 드래곤을 비롯해 써먹을 수 있는 덱에서는 쏠쏠하게 잘 써먹고 있다. === 재정 === *[[팬텀 오브 카오스|사이버 드래곤 노바의 카드명만 얻는다면]] 해당 몬스터가 엑시즈 몬스터가 아니라도 그 몬스터에 겹쳐 엑시즈 소환할 수 있다. *엑시즈 소재 흡수 효과 처리시 이 카드가 필드에 없다면 불발된다. *펜듈럼 효과가 없는 [[섬광의 기사]], [[마제스펙터]] 등을 펜듈럼 존에 발동할 때도 무효화할 수 있다. == 기타 == *구도가 [[붉은 눈의 불사룡]]과 비슷하고 꼬리가 [[무한대]]를 그리고 있다. [[무한]]과 관련된 설정 때문에 [[무한포영]]의 일러스트에도 등장했다. *일본판 월드 프리미어 카드라 한국판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선 절대 못 나오는 카드임에도 불구하고, 한국판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oardgame&no=878493|데스완구 매드 키메라에 이 카드의 실루엣이 일러스트로 찍힌]]''' 오류 카드가 발견돼 이수 듀얼파크에 전시된 바 있다. 카드 전체가 은테로 처리되고 텍스트조차 제대로 안 찍혀서 카드라고도 하기 힘들다. 이는 일본어판 데이터로 만드는 아시아판 유희왕 카드의 생산을 한국에서 담당하기에 발생한 공정상의 실수나 오류로 보인다. 사실 9기 카드 중 얼티밋 레어의 속성 부분을 잘 보면 (예를 들어 빛 속성 몬스터이면) 한글로 '빛'이라고 써진 곳에 미묘하게 히라가나로 '히카리'라고 써진 게 보인다. *현실에서 이 카드를 쓸 때 의외로 저지르기 쉬운 사고가 있는데, 바로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이 카드로 빼앗은]] [[CNo.101 사일런트 아너즈 다크 나이트|상대 카드를]] [[크로노다이버 리단|듀얼이 끝난 뒤]] [[No.77 더 세븐 신즈|깜빡해서 안 돌려주고]] [[무한기동|그대로 가져가버리는 것]].''' 심지어 이런 실수를 가장해 상대 카드를 훔쳐가는 도둑놈도 가끔 있다는 모양. 그러니 소환한 입장이든 상대하는 입장이든 주의해야 한다. 보통 프로텍터가 달라서 알아보기 쉽긴 하지만, 그래도 실수하는 게 사람이다. 만약 가져갔다면 누명쓰기전에 듀얼샵에다가 맡기고 유희왕 해당 듀얼샵 카페등의 올리는 조치를 취하는것이 좋다. *2016년 1월 21일에 엑스트라 팩 2015를 통해 한국에 상륙했지만 봉입률이 극악이라 5통에 1장 나왔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정작 이런 봉입률을 대원이 책정하게 한 원인인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는 금지 카드가 된 마당에 왜 봉입률을 극악으로 했는지 의문이다. 오히려 당시 강덱의 키 카드인 [[피안의 여행자 단테]]가 일본에선 7만 원대를 호가했으나 한국판에선 '''단테 지뢰'''란 오명을 썼다. --피안의 지뢰밭 단테-- 그래도 2020년 4월 [[이터니티 코드]]의 스페셜팩에서 시크릿 레어와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사양으로 재록되어 가격이 어느 정도 내려갔으며, [[레어리티 컬렉션#s-4|레어리티 컬렉션 2020]]이 발매된 이후에는 구하기에 부담 없는 가격이 되었다. 오히려 지금은 겹쳐서 소환하는 노바의 가격이 더 비싼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 * OCG에선 [[레어리티 컬렉션#s-4|레어리티 컬렉션-프리미엄 골드 에디션-]]을 통해 신규 일러스트가 나왔으며, 이후 이 일러스트는 TCG에선 Duel Overload를 통해 나왔다.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Live2D 소환 연출.gif]] *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선 사용 가능한 메이트로 나온다. 원본 사이즈로 나오면 크기가 너무 커지므로 아담한 SD 사이즈로 모델링되었다. 이는 메이트 버전 [[바렐로드 드래곤]]도 마찬가지. 또한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카드군 중 상징과도 같은 [[사이버 엔드 드래곤]], 그 융합체인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과 함께 라이브 2D 연출을 가지고 있으며, 거대한 날개를 펼침과 동시에 플레이어를 향해 입을 쩍 벌리는 연출은 상당히 간지난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엑스트라 팩]] 2015 || EP15-KR056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이터니티 코드]] 스페셜 팩 || SP19-KR034 || [[시크릿 레어]][br][[시크릿 레어#s-3|프리즈매틱 시크릿 레어]] || 한국 || || || [[레어리티 컬렉션#s-4|RARITY COLLECTION 2020]] || RC03-KR025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엑스트라 시크릿 레어]][br][[시크릿 레어#s-3|프리즈매틱 시크릿 레어]] || 한국 || 신규 일러스트 || || [[크로스오버 소울즈|CROSSOVER SOULS]] || CROS-JP090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20thシークレットレア FINAL CHALLENGE PACK || 20CP-JPF04 || [[시크릿 레어]][br][[시크릿 레어#s-3|20th 시크릿 레어]] || 일본 || || || [[더 레어리티 컬렉션|RARITY COLLECTION -PREMIUM GOLD EDITION-]] || RC03-JP025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컬렉터즈 레어]][br] [[골드 레어|프리미엄 골드 레어]] || 일본 || 신규 일러스트 ||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Breakers of Shadow]] || BOSH-EN094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6 Mega-Tin Mega Pack || MP16-EN237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Legendary Dragon Decks || LEDD-ENB31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Duel Overload || DUOV-EN059 || [[울트라 레어]] || 미국 || 신규 일러스트 || == 관련 카드 == === [[사이버 드래곤 노바]] ===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의 랭크 업 전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