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변한의 국가)] [include(틀:가야의 구성국)] [목차] == 개요 == 斯二岐國 [include(틀:임나 멸망)]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을 포함한 한국 측 기록에는 없지만, [[일본서기]]에서 가야멸망 기사에서 가야 구성국들을 나열할 때 언급되고 있는 나라다. 이 밖에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봉산면 일대의 합천[[댐]] 수몰지구 저포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하부사리리(下部思利利)"명(銘) 토기의 사리리(思利利)를 사리기(思利己)국을 표기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또다른 합천군 지역의 가야구성국인 [[다라국]]은 지금의 합천 동부 쌍책면 일대로 비정되고 있어 합천 서부 합천댐 수몰지구와 꽤 거리가 있다.] 소국이었지만 상당히 오래동안 세력을 유지하였고 최후에 이르러 대가야와 비슷한 시기에 [[신라]] [[진흥왕]]의 정복전쟁 끝에 멸망한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멸망연도는 대가야의 멸망시기와 비슷한 560년대 전후로 추정한다. 왜냐하면 가야 구성국 중에서 일찍이 망한 나라들은 위 기록에서 빠졌기 때문이다. 즉, 좀 더 이전 530~540년대에 멸망한 [[비자발]], [[탁순국]], [[금관가야]]는 긴메이 23년조의 가야 멸망 기사에서 언급되지 않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일본서기 긴메이 23년 1월의 기사는 정말로 562년을 전후하여 멸망한 가야 소국만을 나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사이기도 이 때 멸망한 것으로 보인다. == 위치 == 기록은 정말로 저 위의 일본서기 기록이 전부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다만 위에서 말한대로 "하부사리리"명 토기의 명문의 "사리리"를 당대의 지역이름으로 보고 그 출토 위치인 합천댐 수몰지구인 합천 대병면 일대를 사이기국으로 비정하는 견해가 있다. 또는 사이기와 음상사한[* 고대에 斯二는 '시니' 발음이 났다.] 신이현(辛尒縣)이 있었던 [[의령군]] 부림면 · 유곡면 일대에 비정하기도 한다. 합천 저포리 일대, 의령 유곡면 일대, 합천 삼가면에는 5~6세기에 축조된 대규모 고총고분군이 있으므로 사이기국이 아니라 하더라도 유력 가야국이 있던 것은 확실하다. [[분류:삼한]][[분류:가야]][[분류:합천군]][[분류:의령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