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음이의어, rd1=사위(동음이의어))] [목차] == 개요 == [[딸]]의 [[남편]]. 영어로는 son-in-law라고 한다. 즉, 친아들은 아니지만 (법적으로) 아들이라는 의미. 어원은 [[중세 한국어]] '사회'에서 유래한다. [[계림유사]]에서는 '남편' 혹은 '지아비'를 뜻하는 단어라고 서술하고 있으며, 조선 시대의 문헌에서도 이 단어가 '남편'과 '사위'를 모두 뜻하는 용도로 쓰인 사례들이 발견된다. 이로 미루어 볼 때, 고려에서 조선으로 시대가 바뀌면서 점차 해당 단어의 뜻이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픽션]]에서는 [[딸내미바보]]인 [[장인어른]]이나 [[장모]]에게 미움과 괴롭힘의 대상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딸내미바보의 입장에서 보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정도로 사랑스러운 자신의 딸을 기껏 다 키워놓았더니 웬 뺀질뺀질한 놈이 불쑥 나타나서 "따님을 제게 주십시오!"라고 [[선전포고]]하는 셈이기 때문. 이는 [[현실]]이라고 해서 사정이 별반 다르지도 않으며, [[북한]]의 [[김일성]]은 사위인 [[장성택]]을 그렇게나 못마땅해해서 빡세게 굴렸던 인물이다. [[윈스턴 처칠|처칠]] 역시 사위를 대단히 미워했다고... 오스트리아의 황제 [[프란츠 2세]]는 자기 딸을 거의 도적질하다시피 뺏아간 [[나폴레옹|사위]]를 매우 증오하여 끝끝내 [[조지 3세|유럽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여러]] [[알렉산드르 1세|군주]]들과 함께 [[나폴레옹의 몰락|다굴을]] [[백일천하|해서]] [[세인트 헬레나|외딴 섬]]에 내쫓기도 했고 이탈리아의 독재자 [[무솔리니]]의 경우에는 사위를 '''총살하기도 했다'''. 하지만 무조건 이렇지는 않고, 매체에서도 종종 장인어른의 [[바둑]] 친구, [[낚시]] 친구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이 경우를 넘어서 장인어른이나 장모님이 사위의 고민을 들어주고 인생 상담까지 해주는 등, 마치 아들을 대하는 것처럼 편하게 대해주시는 분들도 계신다.] [[딸부잣집]]이거나 [[외동딸]]인 경우, 혹은 [[처남]]이 나이가 어린 경우 처가에서 아들 노릇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명절에 방문하면 칼 갈아놓고 문짝 고쳐놓는다던가...][* 백사 [[이항복]]과 [[장인어른|장인]] [[권율]]이 대표적인 [[아들]]같은 장서지간. 이항복은 아버지 이몽량을 어려서 잃었고, 권율의 자녀는 이항복에게 출가한 [[딸]]밖에 없었다. 이항복이 [[처가살이]]를 했으며, 이항복의 문집 백사집에는 [[장인어른|장인]] 권율에 대한 기록이 종종 등장한다.] 가깝지만 어려운 대상[* [[출가외인]], '딸 가진 죄인' 등의 언명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 처가 입장에서는 딸의 남편이기 때문에, 자식이지만 딸을 잘 부탁한다는 의미에서 어려워질 수 밖에 없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백년손님'이라 칭하기도 한다.[* 또한 햇수로 따져도 얼추 들어맞는다. 외갓집 입장에서는 사위 50년 외손 50년 해서 백년이기 때문. 그 집 아들들은 안 찾아오냐고 할 수 있지만 여러분이 아버지 외가에 자주 가는지를 생각해보면 답이 나온다.][* 며느리는 반대로 '백년종'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 [[박완서]] 소설 '그 남자네 집' 中. 실제로는 취미 생활이나 관심사가 비슷해서 마음이 잘 통하는 경우 친자식 이상으로 가까워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위는 처가에 가면 [[깍두기(동음이의어)|깍두기]] 같은 존재가 된다. 오죽하면 명절에 처가를 방문하는 사위들의 스트레스 1위가 "할 일도 없이 눈치 볼 일이 많다"는 것이다. 우스갯소리로 씨암탉의 천적이라고 한다. 옛날 보통 가정집에서는 귀한 손님이 오면 씨암탉을 잡아 대접하던 관습이 있었다. 가축 중에 가장 만만한게 [[닭]]인데, 씨암탉은 그 닭중에서는 귀한 것이라 돼지나 소와는 달리 큰 부담 없이 정성 어린 고기 접대가 가능했기 때문. 특히 갓 결혼한 부부는 [[처갓집|처가]]에 먼저 가서 한동안 처가살이를 하던 풍습이 있었는데, 사위에게 [[신혼]] 첫날에 '''[[정력]]'''을 북돋아줘서 [[아들]]을 만들라는 뜻에서 닭을 잡아주기도 했다.[* 실제로 세계 각국의 풍습을 보면 처가에서 갓 결혼한 사위에게 정력에 좋은 음식을 만들어주는 경우가 많다.][* 정반대의 해석도 있다. 전근대에는 씨암탉을 하도 오랫동안 알 낳는데 써먹다보니 도축될 때쯤 되면 맛도 없고 질겨진 상태인데 사위는 이런 폐계나 대접받는 신세라는 것. 우스갯소리로 사위는 씨암탉 잡아주고 아들은 영계 잡아준다는 말도 있다. 최근에는 워낙 닭 사육두수가 많으니 산란계들이 금방금방 은퇴해 도축되지만 아직도 이런 선입견 때문에 산란계를 기피하는 소비자들도 많다.] 왕의 사위는 [[부마]]라고 한다. [[조선]] 시대에는 '의빈(儀賓)'이라고도 했는데, '예의를 갖춘 사위(손님)'이란 뜻이다. [[프로레슬러]] [[트리플 H]], [[배구]]선수 [[박철우(배구)|박철우]]의 별명이기도 하다.[* [[트리플 H]]는 WWE 회장 [[빈스 맥마흔]]의 딸 [[스테파니 맥마흔]]과 결혼했고 [[박철우(배구)|박철우]]는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소속팀]] 감독이었던 [[신치용]]의 딸인 전직 농구선수 신혜인과 결혼했다.] == 관련 문서 == * [[데릴사위]] * [[부마]] == 사위 속성을 보유한 캐릭터 == * [[강하준]], [[변태식]] - [[빛나는 로맨스]] * [[구도치]], [[김무열(이름 없는 여자)|김무열]] - [[이름 없는 여자]] * [[노하라 히로시]] - [[크레용 신짱]] * [[목시(헬러바 보스)|목시]] - [[헬러바 보스]] * [[백강호(최고의 연인)|백강호]], [[정우혁]], [[박병기(최고의 연인)|박병기]] - [[최고의 연인]] * [[박영규(순풍산부인과)|박영규]] - [[순풍산부인과]] * 블루 - [[리오 2]] * [[손오공(드래곤볼)|손오공]] - [[드래곤볼]] * [[오카자키 토모야]] - [[클라나드]] * [[나루토]] - [[우즈마키 나루토]],[[우치하 사스케]] 등등 * [[이동진]], [[강태양]] -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 * [[장고래]], [[왕대륙(하나뿐인 내편)|왕대륙]], [[왕이륙]] - [[하나뿐인 내편]] * [[정보석(지붕뚫고 하이킥)|정보석]] - [[지붕뚫고 하이킥]] * [[주단태]], [[하윤철]], [[정태환]] - [[펜트하우스 시리즈]] * [[차서준(비밀의 남자)|차서준]] - [[비밀의 남자]] * [[신부이야기]] - [[유스프]] * [[코부]] - [[라이온 킹 2]], [[라이온 수호대]] * '''[[후구타 마스오]]''' - [[사자에상]][* 일본에서 사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캐릭터이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사람 관련 한국어 단어]][[분류:순우리말]][[분류: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