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Saudi Cup Day[br]사우디 컵 데이}}} ''' || ||<-2> [[파일:사우디 컵 로고.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판탈라사_사우디컵.webp|width=100%]][br]'''[[2023년]] 사우디 컵 우승마 [[판탈라사(말)|판탈라사]]'''}}} || || {{{#ffffff '''개최국''' }}}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0]]]] [[사우디아라비아]] || || {{{#ffffff '''창설일''' }}} ||[[2020년]] [[2월 29일]] || || {{{#ffffff '''주최''' }}} ||[[https://www.frusiya.com/index.php?language=en|자키 클럽 오브 사우디아라비아]] || || {{{#ffffff '''경마장''' }}} ||킹 압둘아지즈 경마장 || || {{{#ffffff '''거리''' }}} ||더트 1800m, 좌회전[br]{{{#!folding [ 기타 대회 더 보기 ] 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더트 1200m, 좌회전 사우디 더비: 더트 1600m, 좌회전 레드시 터프 핸디캡: 잔디 3000m, 좌회전 1351 터프 스프린트: 잔디 1351m, 좌회전 네옴 터프 컵: 잔디 2100m, 좌회전 오바이야 아라비안 클래식: 더트 2000m, 좌회전}}} || || {{{#ffffff '''등급''' }}} ||G1[br]{{{#!folding [ 기타 대회 더 보기 ] 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G3 사우디 더비: G3 레드시 터프 핸디캡: G3 1351 터프 스프린트: G2 네옴 터프 컵: G2 오바이야 아라비안 클래식: G1 PA}}} || || {{{#ffffff '''출주 조건''' }}} ||[[서러브레드]] 북반구 4세 이상, 남반구 3세 이상[br]{{{#!folding [ 기타 대회 더 보기 ] 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서러브레드]] 3세 이상 사우디 더비: [[서러브레드]] 3세 레드시 터프 핸디캡: [[서러브레드]] 북반구 4세 이상, 남반구 3세 이상 1351 터프 스프린트: [[서러브레드]] 북반구 4세 이상, 남반구 3세 이상 네옴 터프 컵: [[서러브레드]] 북반구 4세 이상, 남반구 3세 이상 오바이야 아라비안 클래식: [[아라비안(말)|아랍종]] 4세 이상}}} || || {{{#ffffff '''부담중량''' }}} ||정량 (남반구 3세 53.5kg, 4세 이상[*A 남반구 북반구 관계 없음] 57kg , 암말 2kg 감소)[br]{{{#!folding [ 기타 대회 더 보기 ] 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정량 (북반구 3세 52kg, 남반구 3세 58kg[* 북반구 3세마가 출전하지 않을 경우 55.5kg], 4세 이상[*A] 59.5kg[* 북반구 3세마가 출전하지 않을 경우 57kg] , 암말 2kg 감소) 사우디 더비: 정량 (북반구 55kg[* 남반구마가 출전하지 않을 경우 57kg], 남반구 59.5kg, 암말 2kg 감소) 레드시 터프 핸디캡: 핸디캡 1351 터프 스프린트: 정량 (남반구 3세 54.5kg, 4세 이상[*A] 57kg , 암말 2kg 감소) 네옴 터프 컵: 정량 (남반구 3세 53kg, 4세 이상[*A] 57kg , 암말 2kg 감소) 오바이야 아라비안 클래식: 정량 (4세 56kg, 5세 이상 61kg, 암말 2kg 감소)}}} || || {{{#ffffff '''상금''' }}} ||'''1착 1000만 달러, 총상금 2000만 달러'''[* 2023년 기준이며 매년마다 상금이 달라질수가 있다.][br]{{{#!folding [ 기타 대회 더 보기 ] 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1착 90만 달러, 총상금 150만 달러 사우디 더비: 1착 90만 달러, 총상금 150만 달러 레드시 터프 핸디캡: 1착 150만 달러, 총상금 250만 달러 1351 터프 스프린트: 1착 90만 달러, 총상금 150만 달러 네옴 터프 컵: 1착 90만 달러, 총상금 150만 달러 오바이야 아라비안 클래식: 1착 120만 달러, 총상금 200만 달러}}}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우디아라비아]] 킹 압둘아지즈 경마장에서 매년 2월 경 열리는 세계 최고액 경마 대회. == 역사 == 2020년 창시되자마자 1착 1000만 달러라는 역대 최고액 상금으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초대 우승마인 맥시멈 시큐리티는 이후 도핑 의혹으로 조사받게 되면서 시작부터 삐끗하게 되었다. 대회 3년차인 2022년에 국제 그레이드 자격을 충족하여 국제 G1으로 승격되었다. 여기에 엠블럼 로드가 사우디 조교마로서 최초로 우승하면서 사우디로선 겹경사를 맞게 되었다. 2024년에는 1351 터프 스프린트와 네옴 터프 컵이 국제 G3에서 국제 G2로 승격되며, 총 상금 역시 150만 달러에서 200만 달러로 늘어날 예정이다. == 주요 특징 == 이슬람에선 도박을 금지하기 때문에 마권을 발매하지 않는다. 다만 외국에선 자체적으로 베팅이 이뤄지고 있다. 일본 [[챔피언스 컵]]과 미국 페가수스 월드컵 우승마에게 우선 출주권이 주어진다. == 구성 == * 사우디 컵 (더트 1800m, G1) * 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더트 1200m, G3) * 사우디 더비 (더트 1600m, G3) * 레드시 터프 핸디캡 (잔디 3000m, G3) * 1351 터프 스프린트 (잔디 1351m, G2[*승격 2024년부터 승격될 예정.]) * 네옴 터프 컵 (잔디 2100m, G2[*승격 2024년부터 승격될 예정.]) * 오바이야 아라비안 클래식 (더트 2000m, G1 PA[* [[아라비안(말)|아랍종]] 한정 경주]) == 일본 조교마의 도전사 == 창설 초기에 국제 등급을 받기 이전에도 높은 상금 덕분에 주목을 받아 더트마들 위주로 원정을 많이 갔었다. 특히 사우디 더비에선 2년 연속으로 우승을 차지하며 좋은 성적을 냈다. 2022년부터 사우디 컵 대회들이 국제 등급을 받으며 본격적으로 원정하는 말들이 많아졌다. 특히 2023년에는 잔디마 3마리를 포함한 무려 6마리가 출전하는 진기한 상황이 벌어졌는데, 이는 사우디의 더트에 우드칩이 섞여있어 마치 올웨더 마장처럼[* 사우디 컵이 올웨더 마장이라는 뜻은 아니다.] 잔디마도 할만 하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https://p.nikkansports.com/goku-uma/news/article.zpl?topic_id=1&id=202002290000048&year=2020&month=02&day=29|#]] 이 예상은 완전히 적중하여 [[판탈라사(말)|판탈라사]]가 일본 조교마 최초로 사우디 컵을 우승하는 데에 성공했으며, [[지오글리프]] 또한 4착을 기록하며 입착에 성공했다.[* 이 두 마리는 기세를 이어 같은 중동 더트 대회인 [[두바이 월드컵]]에도 도전했지만, 여기선 사이좋게 착외로 침몰하면서 중동 더트=일본 잔디 설은 사우디에서나 통하는 것임도 증명했다.] ===# 역대 출주 명단 #=== * 2020년[*국제등급지정이전] * [[골드 드림]](사우디 컵): 6착 ([[크리스토프 르메르]]) * [[크리소베릴(말)|크리소베릴]](사우디 컵): 7착 ([[크리스토프 수미용]]) * 마테라 스카이(사우디아 스프린트[* 현 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2착 ([[타케 유타카]]) * '''풀 플랫(사우디 더비): 1착''' ([[타케 유타카]]) * [[디어드러]](무함마드 유수프 나기 모터스 컵[* 현 네옴 터프 컵]): 2착 (오이신 머피) * 2021년[*국제등급지정이전] * [[추와 위저드]](사우디 컵): 9착 ([[토사키 케이타]]) * '''코파노 키킹(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1착''' (윌리엄 뷰익) * 마테라 스카이(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2착 ([[토사키 케이타]]) * 저스틴(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6착 ([[사카이 류세이]]) * '''핑크 카메하메하(사우디 더비): 1착''' ([[토사키 케이타]]) *{{{#!folding [ 2022년 ] * [[마르슈 로렌]](사우디 컵): 6착 ([[크리스토프 수미용]]) * [[티오 케인스]](사우디 컵): 8착 ([[마츠야마 코헤이]]) * '''[[댄싱 프린스]](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G3): 1착''' ([[크리스토프 르메르]]) * 체인 오브 러브(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G3): 3착 ([[사카이 류세이]]) * 코파노 키킹(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G3): 4착 (데이비드 이건) * 세키후(사우디 더비, G3): 2착 ([[크리스토프 르메르]]) * 콘실리에레(사우디 더비, G3): 3착 ([[마츠와카 후마]]) * '''[[스테이 풀리시]](레드시 터프 핸디캡, G3): 1착''' ([[크리스토프 르메르]]) * '''[[송라인(말)|송라인]](1351 터프 스프린트, G3): 1착''' ([[크리스토프 르메르]]) * 라우다 시온(1351 터프 스프린트, G3): 4착 ([[크리스티안 데무로]]) * 엔트샤이덴(1351 터프 스프린트, G3): 12착 ([[사카이 류세이]]) * '''[[오소리티]](네옴 터프 컵, G3): 1착''' ([[크리스토프 르메르]])}}} * {{{#!folding [ 2023년 ] * '''[[판탈라사(말)|판탈라사]](사우디 컵): 1착''' ([[요시다 유타카]]) * [[카페 파라오]](사우디 컵): 3착 (주앙 모레이라) * [[지오글리프]](사우디 컵): 4착 ([[크리스토프 르메르]]) * [[크라운 프라이드]](사우디 컵): 5착 ([[데이미언 레인]]) * [[준 라이트 볼트]](사우디 컵): 7착 ([[라이언 무어]]) * 뱅 드 가르드(사우디 컵): 11착 (미카엘 바르잘로나) * [[리메이크(말)|리메이크]](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G3): 3착 ([[후쿠나가 유이치]]) * 저스틴(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G3): 4착 ([[사카이 류세이]]) * [[댄싱 프린스]](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G3): 5착 ([[데이미언 레인]]) * 류노 유키나(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G3): 6착 ([[시바타 요시토미]]) * [[데르마 소토가케]](사우디 더비, G3): 3착 ([[마츠와카 후마]]) * 콘티누아르(사우디 더비, G3): 5착 ([[사카이 류세이]]) * 프롬 더스크(사우디 더비, G3): 9착 ([[카와다 유가]]) * 에로코 아레스(사우디 더비, G3): 12착 ([[후쿠나가 유이치]]) * '''[[실버 소닉]](레드시 터프 핸디캡, G3): 1착''' ([[데이미언 레인]]) * 에히트(레드시 터프 핸디캡, G3): 7착 ([[카와다 유가]]) * '''[[바스라트 레온]](1351 터프 스프린트, G3): 1착''' ([[사카이 류세이]]) * [[레시스텐시아]](1351 터프 스프린트, G3): 5착 ([[라이언 무어]]) * 라우다 시온(1351 터프 스프린트, G3): 9착 (바우의르잔 무르자바예프) * [[송라인(말)|송라인]](1351 터프 스프린트, G3): 10착 ([[크리스토프 르메르]])}}} == 역대 우승마 == [include(틀:사우디 컵)] ---- [include(틀: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include(틀:사우디 더비)] [include(틀:레드시 터프 핸디캡)] [include(틀:1351 터프 스프린트)] [include(틀:네옴 터프 컵)] === 기록 === * 사우디 컵 * 경주 기록 - 1:49.59(2021년 [[미슈리프]]) * 최다 우승 - 없음 * 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 경주 기록 - 1:10.26(2021년 [[댄싱 프린스]]) * 최다 우승 - 없음 * 사우디 더비 * 경주 기록 - 1:37.91(2020년 풀 플랫) * 레드시 터프 핸디캡 * 경주 기록 - 3:06.08(2022년 [[스테이 풀리시]]) * 최다 우승 - 없음 * 1351 터프 스프린트 * 경주 기록 - 1:17.49(2023년 [[바스라트 레온]]) * 최다 우승 - 없음 * 네옴 터프 컵 * 경주 기록 - 2:06.24(2023년 모스타다프) * 최다 우승 - 없음 === 국가별 우승 횟수 === * 출생국이 아닌 조교국 기준이다. ||<-3> '''사우디 컵''' || || '''순위''' || '''국가''' || '''횟수''' || ||<|4> 공동[br]1위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1회[* 맥시멈 시큐리티의 우승 기록이 박탈되어도 2착마 미드나잇 비수 또한 미국 말이기 때문에 우승 횟수가 변하진 않는다.]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1회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5]] 사우디아라비아 || 1회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1회 || ||<-3> '''리야드 더트 스프린트''' || || '''순위''' || '''국가''' || '''횟수''' || || 1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2회 || ||<|2> 공동[br]2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5]] 사우디아라비아 || 1회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1회 || ||<-3> '''사우디 더비''' || || '''순위''' || '''국가''' || '''횟수''' || || 1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2회 || ||<|2> 공동[br]2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5]] 사우디아라비아 || 1회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1회 || ||<-3> '''레드시 터프 핸디캡''' || || '''순위''' || '''국가''' || '''횟수''' || || 1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2회 || ||<|2> 공동[br]2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1회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1회 || ||<-3> '''1351 터프 스프린트''' || || '''순위''' || '''국가''' || '''횟수''' || || 1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2회 || ||<|2> 공동[br]2위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25]] 바레인 || 1회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1회 || ||<-3> '''네옴 터프 컵''' || || '''순위''' || '''국가''' || '''횟수''' || ||<|4> 공동[br]1위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25]] 바레인 || 1회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 아일랜드 || 1회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1회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1회 || [[분류:2020년 설립]][[분류:사우디아라비아]][[분류:경마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