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hite '''대한민국의 일반국도'''}}} || ||<-5> '''[[13번 국도|{{{#white 13번 국도}}}]]''' || || [[완도군|{{{#gray 완도}}}]] {{{#gray 방면}}}[br][[상무대로|{{{#000000 상무대로}}}]] || {{{+1 ←}}} || '''사암로'''[br](송정고가차도 ↔ 광산교차로) || {{{+1 →}}} || [[금산군|{{{#gray 금산}}}]] {{{#gray 방면}}}[br][[첨단과기로|{{{#000000 첨단과기로}}}]] || ---- [include(틀:광산구의 로)] ---- ||<-3>
{{{#white {{{+2 '''사암로'''}}}[br] Saam-ro}}} || ||<-5>{{{#!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사암로 광주광역시 광산구, 너비=100%)]}}}|| || '''노선 번호''' ||<-2> '''[[13번 국도]]'''[br]'''46번 광주광역시도'''[*출처 [[http://www.gwangju.go.kr/BD_0000000414/boardView.do?seq=281755&infoReturn=&menuId=gwangju0305140200&searchType=&searchText=&pageIndex=1&boardId=BD_0000000414|#]]] || || '''기점''' ||<-2>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광주)|신촌동]] 송정고가차도 || || '''종점''' ||<-2>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동]] 비아지하보차도 || || '''연장''' ||<-2> 9km || || '''개통일''' ||<-2> - || || '''관리''' ||<-2> [[광주광역시]] || ||<|2> '''왕복 차로수''' || 4차로 || 송정고가차도 - 흑석사거리[* 일부 구간 왕복5차로. 하남2지구 옆을 지나는 구간은 도로 정비가 되어서 그나마 포켓 차로가 제대로 생기는 등 괜찮은데, 월곡동부터는 그런거 없다. 포켓 차로를 강제로 늘려서 차로가 다른데보다 좁은 구간도 있다.] || || 6차로 || 흑석사거리 - 비아지하보차도 || || '''주요 경유지''' ||<-2>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천동(광주)|도천동]] ↔ [[장덕동]] ↔ [[흑석동(광주)|흑석동]] ↔ [[월곡동(광주)|월곡동]] ↔ [[우산동(광주 광산)|우산동]] ↔ [[신촌동(광주)|신촌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광주)|신촌동]]에 있는 송정고가차도부터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동]]에 있는 비아지하보차도까지 이어지는 왕복 4~6차로의 도로이다. 도로 이름은 [[조선시대]] 학자 [[박순(조선)|박순]] 선생의 아호에서 따왔다. == 역사 == 흑석사거리 ~ 비아지하보차도 구간은 하남산단을 지나가는 구간으로서, 1980년대 하남공업단지 개발로 만들어진 도로이다. 개통 당시 왕복 2차로의 도로였으나, 이미 [[1988년]]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10280009920701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8-10-28&officeId=00009&pageNo=7&printNo=6973&publishType=00020|포화 상태가 되어 확장이 시급했기 때문에]] 이후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늘어나는 차량과 도시 발전을 감당 할 수 없었다. 광주에서 전남으로 내려가는 주요 교통로인 데다가, 하남산단 메인도로이다 보니 매일 [[헬게이트]]가 열렸다. [[2000년]]에 이루어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090673|광주상공회의소 집계에 따르면 하루평균 교통량은 10만여대였고, 광주광역시의 교통수요 용역조사에서 운행속도가 평균시속 18㎞ 미만으로 나타나면서 출퇴근 시간대에 무려 1시간이나 소요되었다는 기사도 나왔다.]] 결국 [[2006년]] 4.8㎞의 이 구간을 왕복 6차로로 확장하기로 결정하고, 광주광역시와 토지공사가 함께 415억원을 들여 하남산단 6~9번로 2.3㎞구간은 [[광주광역시]]에서, 흑석사거리 ~ 하남산단 6번로 구간 2.5㎞는 토지공사에서 공사하기로 하였다. 확장공사는 2008년 말 완공되었다. [[2004년]] [[8월]] 가전 부분을 수원에서 광주로 이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삼성전자]]에 대한 시민의 애정을 표현하는 방안으로 공장 인근 도로(흑석사거리 ~ 광산교차로)의 이름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106612|2005년에 '삼성로'로 변경했다.]] 당시 [[기아자동차]] 역시 비슷한 이유로 광천1교 ~ 상무주공아파트교차로 까지 '기아로'라고 지어진 바 있다. 이들 도로는 [[도로명주소]] 시행으로 삼성로와 사암로를 합쳐 다시 사암로가 되었고, 기아로는 기존 무진로와 합쳐 [[무진대로]]가 되었다. == 상세 == === 주요 구간 === ||<-5> || ||<-5> '''[[상무대로]]로 연결([[22번 국도]]와 중첩, 단 송정방면 고가는 [[송도로(광주)|송도로]]와 직접 연결)''' || ||<|2> [[상무대로]][* 사암로 종점부에서 이쪽으로 가려면 직진해서 연결되는 송도로를 타고 우회전을 두번해서 빠져나오면 된다.][br][[광주역]], [[광주공항]], [[제1전투비행단]] 방면||<|2> ← ||<|2> '''송정고가''' || ↗ ||[[송도로(광주)|송도로]][br][[나주시|나주]], 평동산단 방면|| || → ||[[상무대로]][br][[영광군|영광]], [[호남대학교|호남대]], [[광주송정역]] 방면|| ||<-5> '''송정고가차도 종점'''[* 단, 송정 방면은 [[송도로(광주)|송도로]]와 바로 접속되며 22번 국도는 경유하지 않는다. 공항방면으로 가려면 송도로를 거쳐 상무대로로 가야하고, 나머지 경로들은 모두 사암로-상무대로-송도로 순으로 연결된다.] || || 금봉로[br]우산주공 방면|| ← || || → ||금봉로[br][[광주광역시경찰청]] 방면|| || [[우산로]][br]상수도광산사업소 방면|| ← || '''우산사거리''' || → ||[[우산로]][br]시공무원교육원, [[광주광역시경찰청|경찰청]], [[광주여자대학교]] 방면|| || [[무진대로]][br][[유스퀘어|버스터미널]], [[광주광역시청|시청]] 방면|| ← || [* 본선은 하남2지하차도를 통과하고, 도로 교차는 지하차도 위에서 이루어진다.][br]'''[*좌회전불가]''' || → ||[[무진대로]][br][[광주여대]] 방면|| || [[월곡산정로]][br]월곡공원 방면|| ← || || → ||[[월곡산정로]][br][[광주여대]] 방면|| || [[목련로(광주)|목련로]][br]운남2지구 방면|| ← || '''사암로입구[br]교차로''' || → ||[[목련로(광주)|목련로]][br][[용아로]] 방면|| ||<|2> [[사암로(광주)|사암로340번길]][br]운남2지구 방면||<|2> ← ||<|2> || ↗ ||[[사암로(광주)|사암로339번길]][br][[목련로]] 방면|| || → ||산정공원로28번길[br]월곡2동주민센터 방면|| || [[하남대로(광주)|하남대로]][br][[광주제2순환도로|2순환도로]], [[운남동(광주)|운남지구]]방면|| ← || '''흑석사거리''' || → ||[[하남대로(광주)|하남대로]][br][[영광군|영광]], 임곡동, [[상무대]] 방면|| || [[수등로]][br][[신가동|신가지구]], [[하나로클럽|농수산물유통센터]] 방면|| ← || || → ||[[하남산단1번로]][br]하남산단1번로 방면|| || || || '''[*좌회전불가]''' || → ||[[하남산단2번로]][br]하남산단2번로 방면|| || || || '''[*비보호]''' || → ||[[하남산단3번로]][br]하남산단3번로 방면|| || [[장신로(광주)|장신로]][br][[신창동(광주)|신창지구]], [[광주제2순환도로|2순환도로]] 방면|| ← || '''산단관리소[br]사거리''' || → ||[[하남산단4번로]][br]하남산단4번로 방면|| || [[장덕로(광주)|장덕로]][br]열병합발전소, 수완인라인경기장 방면|| ← || || → ||[[하남산단5번로]][br]하남산단5번로, 진곡화물차고지 방면|| || [[왕버들로]][br][[신창동(광주)|신창지구]], [[수완지구]] 방면|| ← || '''산단6번로[br]입구교차로''' || → ||[[하남산단6번로]][br]하남산단6번로, [[삼성전자]] 방면|| || 도천남길|| ← || '''산단8번로[br]입구교차로''' || → ||[[하남산단8번로]][br]하남산단8번로, 광주경제고용진흥원 방면|| || || || '''산단9번로[br]입구교차로''' || → ||[[하남산단9번로]][br]임곡동, 하남산단9번로 방면|| || 도천마을|| ← || [* 원래 옛 시내버스 첨단차고지 앞(현 첨단지구입구교차로)으로 나오는 도로였으나, 임방울대로 수완~첨단 개통으로 도로 구조가 변경되었다.] || || || [[호남고속도로]][br][[광산IC]] 방면|| ← || '''광산교차로''' || → ||비아시장, [[신창동(광주)|신창지구]] 방면|| ||<-5> '''비아지하보차도''' || ||<-5> '''첨단과기로와 직결 ([[담양군|담양]], [[첨단지구]] 방면)''' || ||<-5> || === 대체도로 === 우회도로가 199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개통되었다. 먼저 하남, 월곡 지역 우회도로는 [[용아로]]로, [[광주여대]]를 지나며 [[무진대로]]와 우산교교차로에서 접속된다. 다만, 용아로는 [[광주광역시경찰청]] 앞에서 도로가 끝나며 도로가 확 꺾여서 [[금봉로]]로 직결되며 애석하게도 다시 사암로와 만난다. 도로계획상으로는 경찰청 ~ [[송정공원역]] 구간 신설이 예정되어 있으니, 먼 미래에 기대해보자. 그래서 송정리 방면으로 가려면 경찰청 가기 전에 소촌고가교를 건너 [[소촌로]]와 [[어등대로]]를 이용해야 한다. 중부 지방에서 [[전남]] 서남부지역으로 갈 때 이용하는 필수 도로 였으나, [[빛고을대로]], [[무진대로]], [[제2순환도로]]가 개통되면서 이쪽이 한동안 대체 도로 였다. [[49번 지방도]]가 [[24번 국도]]와 만나는 [[장성군]] [[동화IC|동화 나들목]]까지 연장되었지만, [[호남고속도로]] [[장성IC|장성 나들목]]에서 나와서 도로를 여러번 갈아타야 해서 불편함이 있었다. 드디어 [[2017년]] 끝판왕인 [[하남진곡산단로]]가 등장하면서 [[호남고속도로]] [[북광산IC|북광산 나들목]]을 이용해 [[운수IC|운수 나들목]]까지는 신호 없이 시원하고 편리하게 갈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화물차가 그 도로에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이보다 더 끝판왕은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로서 장성과 광주 외곽으로 시원하게 빠져 [[49번 지방도]]와 만나 신호없이 영산포 너머까지 이어진다. === [[대중교통]] === ==== [[철도]] 및 [[도시철도]] ==== [[그런거 없다]]. [[광주도시철도 2호선]]의 지선2가 이 도로를 일부 지나는 것으로 계획되었지만, 철회되었다. ==== [[버스]]노선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 비아지하보차도 ~ 흑석사거리 구간은 지선 노선들이 경유를 하긴 하는데, 버스 정류장이 한개도 없다! 주로 나머지 구간에서 버스들이 많이 다닌다. * 간선버스 * [[광주 버스 문흥18]] * [[광주 버스 송정29]] * [[광주 버스 봉선37]] * [[광주 버스 금호46]] * [[광주 버스 송정98]] * 지선버스 * [[광주 버스 첨단20]] * [[광주 버스 송정33]] * [[광주 버스 첨단40]] * [[광주 버스 송정96]] * [[광주 버스 선운101]] * [[광주 버스 진곡196]] * [[광주 버스 임곡290]] * 마을버스 * [[광주 버스 송정700]] * [[광주 버스 평동701]] * [[광주 버스 광산720]] === 교통량 === 위에서 설명한 대체도로가 생기기 전까지 그야말로 ''''[[노답]] [[헬게이트]]'''' 그 자체였다. 평일, 주말에도 만만치 않았지만, 대규모 이동이 이루어지는 명절에는 아예 주차장이 되었다. [[호남고속도로]] 타고 내려와서 [[13번 국도]]와 [[1번 국도]]를 이용해 전남 서남부 지역으로 갈 차량들은 '''다른 대안이 없었다!''' 심지어 왕복 4차로밖에 안되는 도로였으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렇다고 지금은 날아다니냐면 그것도 아니다. 하남산단 구간은 왕복 6차로로 확장되고 상황이 나아지고 [[2017년]]에 [[하남진곡산단로]] 개통으로 차량들이 많이 분산되기는 하지만, 나머지 구간은 여전히 복잡하다. 특히 월곡시장 ~ 송정고가 구간은 언덕길이 계속 이어지기 때문에 운전하는데도 많이 신경쓰인다. 최고의 혼잡구간은 월곡시장 ~ 월곡동 롯데리아 앞 사거리 구간으로 주정차되어 있는 차량들이 있는 경우가 많고 신호가 짧은 구간에서 많아 안전운전해야 한다. === 기타 === [[분류:광산구의 도로]][[분류:13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