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한국토지주택공사|[[파일:한국토지주택공사 CI.svg|height=20]]]]''' | '''[[양산시|[[파일:Yangsan_Logo.jpg|width=50]]]]'''[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양산시 CI.svg|height=60]]}}}||||'''{{{+1 사송신도시}}}'''[br]{{{-2 沙松新都市 | Sasong New Town}}}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사송신도시&zoom=13, 너비=100%, 높이=100%)]}}} || || '''위치'''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양산)|동면]] 사송리, 내송리 || || '''면적''' ||2,766,0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1227043?sid=102|출처]]] || || '''계획인구''' ||36,636명 || || '''시행자''' ||[[한국토지주택공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song_Newtown_Yangsan_1.jpg|width=100%]]}}} || || '''{{{-1 사송신도시의 조감도}}}''' ||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양산)|동면]] 사송리와 내송리에 건설 중인 [[신도시]]로 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태영건설]], [[포스코건설]]이다. 정식명칭은 '''양산사송 공공주택지구'''이며 계획인구 36,636명의 신도시다. 1군건설사인 포스코건설과 태영건설의 합작품인 [[더샵]] [[데시앙]]의 브랜드 타운 아파트를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 특징 == 친환경 도시를 목표로 건설된 신도시이다. 실제로 이 때문에 경상도에서 유일하게 열병합 발전소가 있는 신도시가 될 예정이다. === 공사 이전과 현재의 모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song_Newtown_Yangsan_Before.jpg|width=100%]]}}} || || '''{{{-1 사송신도시 일대가 개발되기 이전의 사송리 일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song_Newtown_Yangsan_Now.jpg|width=100%]]}}} || || '''{{{-1 토지 기초공사가 거의 진행되어가는 사송리 일대}}}''' || == 주거 == || '''토지 종류''' || '''가구(세대)''' || || 공용주택(20평 이하) || 7044 || || 공용주택(20평~34평) || 6782 || || 공용주택(34평 초과) || 637 || || 단독주택 || 430 || || '''구역'''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건설사''' || || A-1 || 사송 트루엘 || 1,188 || 2022년 10월 || 일성건설 || || A-2 || 양산사송 A-2블록 신혼희망타운 || 479 || 2023년 12월 || 에이스건설 || || A-3 || 미정 || 304 || 미정 || 미정 || || A-4 || 양산사송 A-4BL || 1,156 || 2024년 3월 || 대보건설, [[동부건설]] || || A-5 || 양산 사송 LH 5단지 || 1,021 || 미정 || 대보건설, 동오건설 || || A-6 || 미정 || 593 || 미정 || 미정 || || A-7 || 미정 || 1,309 || 미정 || 미정 || || A-8 || 양산사송 A-8BL || 808 || 2023년 9월 || [[대우산업개발]], 금명종합건설 || || {{{#000 B-1}}} || 미정 || 680 || 미정 || 미정 || || B-2 || 사송신도시 제일풍경채 퍼스트파크 || 452 || 2024년 4월 || [[제일건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1141 50%, #ae1857 50%)" B-3}}} || [[사송 더샵 데시앙|사송 더샵 데시앙 1차 3단지]] || 455 || 2021년 11월 || [[포스코건설]], [[태영건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1141 50%, #ae1857 50%)" B-4}}} || [[사송 더샵 데시앙|사송 더샵 데시앙 1차 4단지]] || 523 || 2021년 11월 || [[포스코건설]], [[태영건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1141 50%, #ae1857 50%)" B-5}}} || [[사송 더샵 데시앙|사송 더샵 데시앙 2차 5단지]] || 477 || 2023년 1월 || [[포스코건설]], [[태영건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1141 50%, #ae1857 50%)" B-6}}} || [[사송 더샵 데시앙|사송 더샵 데시앙 2차 6단지]] || 614 || 2023년 2월 || [[포스코건설]], [[태영건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1141 50%, #ae1857 50%)" B-7}}} || [[사송 더샵 데시앙|사송 더샵 데시앙 2차 7단지]] || 993 || 2023년 5월 || [[포스코건설]], [[태영건설]] || || B-8 || 미정 || 903 || 미정 || [[롯데건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1141 50%, #ae1857 50%)" B-9}}} || [[사송 더샵 데시앙|사송 더샵 데시앙 3차 9단지]] || 672 || 2024년 2월 || [[포스코건설]], [[태영건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1141 50%, #ae1857 50%)" C-1}}} || [[사송 더샵 데시앙|사송 더샵 데시앙 1차 1단지]] || 734 || 2021년 11월 || [[포스코건설]], [[태영건설]] || || C-2 || 양산 사송지구 우미 린 || 726 || 2024년 7월 || [[우미건설]] || || H-1 || 양산 사송 LH 1단지 || 440 || 2022년 10월 || 일성건설 || [[한국토지주택공사]] 공동주택은 7,724세대 분양하며, 그 중 1,836세대는 바로 분영, 5,888세대는 장기임대/영구임대/국민임대 등으로 공급될 예정이다.(행복주택 200세대 포함) 민간 공동주택은 6,739세대 분양된다. == 교통 == [[노포사송로]]의 좌우로 신도시가 조성될 예정이며 신도시 바로 옆에는 [[경부고속도로]]와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지나며 신도시 완공시점에 맞춰 [[경부고속도로]] 사송IC가 예정되어 있어 [[경부고속도로]]와 부산[[도시고속도로]] [[번영로(부산)|번영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노포JC]]로의 접근성이 상당히 높다. 또한 인근 남양산IC를 이용해 대구부산고속도로의 진출입이 가능하다. [[부산시]] [[금정구]], [[동래구]] 등지에서 출발하여 [[양산]]시내로 들어가는 버스는 경부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양산 버스 1200]], [[양산 버스 1300]], [[양산 버스 1500]]을 제외하고 모두 정차한다. [[양산 도시철도]]의 7개 역사 중 [[내송역]], [[사송역]] 2개의 역사가 사송신도시 내에 위치하게 된다. === 버스 === [[양산 버스 12]], [[양산 버스 16]], [[양산 버스 17]], [[양산 버스 56]]번이 해당 지역을 지나간다.[* 추후 해당 노선이 변경되거나 정류장이 추가될 수 있으나, 현재로서는 해당 버스들만 사송신도시 부지를 지나간다.][* 도시철도 개통시 환승센터가 건설될 가능성이 있고 도시철도역을 경유하는 순환버스 또는 마을버스가 나올 수 있다.] === 도시철도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경전철 [[양산 도시철도]]가 사송신도시를 거쳐 지나가는 노선으로 확정되었으며 그 중 두 개의 역사인 [[사송역]], [[내송역]]이 들어서게 되며, 2026년에 개통 예정이다. 추가로, 사송신도시를 통과하는 구간은 기존 [[도시철도]]의 교각형식이 아닌 지상에 궤도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에 따라 미관 훼손 최소화는 물론 공사비 절감과 공기 단축도 기대되고 있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1061513313176818]] == 교육 == || '''구분''' || '''학교''' || '''완성 학급 수''' || '''비고''' || ||<|3> '''초''' || 동면초등학교 || 42개 학급 || 폐교 후 재개교 || || 사송2초등학교(예정) || 30개 학급 || || || 사송3초등학교(예정)[*통합학교] || '''{{{#red 30개 학급}}}''' || || ||<|2> '''중''' || 사송중학교 || 30개 학급 || || || 사송2중학교(예정)[*통합학교] || '''{{{#red 15개 학급}}}''' || || || '''고''' || 사송고등학교(예정) || '''{{{#orange 33개 학급}}}''' || 수요에 비해[br]규모가 작은 학교 || 읍면 단위라 [[농어촌특별전형]] 지원이 가능하면서도, 학교총량제가 시행중인 와중에도 당초 예정된 학교들이 이례적으로 모두 설립이 확정되었고[[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21029.99099007902|#]],[* 다만 단설학교로 예정되었던 사송3초와 사송2중이 초중통합학교로 전환되었다.] 그러면서도 인접한 [[부산시]] [[금정구]] [[구서동]]의 학원가를 누릴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다만 우려되는 점은 사송고등학교의 규모가 수요에 비해 너무 작다는 것인데 만약에 학생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경우 많은 학생들이 타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로 튕겨져나갈 가능성이 높아서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다. == 기타 시설 == === 열병합 발전소 === 현재 사송신도시에 친환경 신도시 건설의 일환으로 [[열병합발전소|열병합 발전소]]를 [[http://www.ys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67|건설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 동면 스포츠파크 === 사송신도시와 현 동면행정복지센터 사이에 동면 스포츠파크 건설 진행중이다. === 첨단산업지구 === 사송역 인근에 [[센텀시티]]와 같은 첨단산업지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사송공공주택지구의 최신 토지계획도의 보라색 부분 참고. == 여담 == * '사송신도시 발전 추진협의회'가(약칭: 사추협) 구성되었다. 그에 따라 도시 내 여러 사안들을 민간과 공공기관들을 통해 협의 및 추진 중이다. * 구역 A2와 A8의 아파트 2곳의 지하주차장에 철근을 누락시킨 상태로 공사하는 것이 국토교통부의 발표에 의해 밝혀져 논란을 빚었다. [[분류:신도시]][[분류:양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