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b838 '''사브의 주력전투기 계보'''}}} || || [[사브 35 드라켄|{{{#d8dee1 사브 35 드라켄}}}]] || → || '''{{{#d8dee1 사브 37 비겐}}}''' || → || [[JAS 39 그리펜|{{{#d8dee1 JAS 39 그리펜}}}]] || ||<-2>
[[파일:AJS-37.jpg|width=100%]] || ||<-2> {{{#white '''SAAB 37 Viggen'''}}} || [목차] == 개요 == || [youtube(dSn8yE9Ov9k)] || || SAAB 37 Viggen Luchtmachtdagen Volkel 2013 || [[스웨덴]]의 [[사브]]에서 개발한 [[3세대 전투기]]. 무장중립을 표방하면서, 자국의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하려는 스웨덴의 국방정책에 의해서 제작된 독특한 형상의 전투기다. == 제원 == ||<-4> {{{#ffb838 '''SAAB 37 Viggen'''}}}[* Viggen은 [[스웨덴어]]로 [[번개]]을 의미한다.] || ||<-2> 형식 || '''AJ 37''' || '''JA 37''' || ||<-2> 분류 || 다목적 공격기 || 다목적 전투기 || ||<-2> 설계국 ||<-2>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3]] 스웨덴 || ||<-2> 운용국 ||<-2>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3]] 스웨덴 || ||<-2> 승무원 ||<-2> 1명 || ||<-2> 길이 ||<-2> 16.4 m || ||<-2> 날개폭 ||<-2> 10.6 m || ||<-2> 높이 ||<-2> 5.9 m || ||<-2> 날개 면적 ||<-2> 46 m² || ||<-2> 날개폭 ||<-2> 10.6 m || ||<-2> 높이 ||<-2> 5.9 m || ||<-2> 날개 면적 ||<-2> 46 m² || ||<-2> 자체중량 || 11,015 kg || 12,800 kg || ||<-2> 최대이륙중량 ||<-2> 20,000 kg || ||<-2> 최대속도 ||<-2> 마하 2.1 || ||<-2> 엔진 || 볼보 RM8A 터보팬 엔진 × 1 [br] 추력 16,200/28,100 lbs || 볼보 RM8B 터보팬 엔진 × 1 [br] 추력 16,200/28,100 lbs [* 이 엔진은 [[보잉 727]]과 [[보잉 737]] 초기형의 엔진인 [[프랫 & 휘트니 JT8D|프랫 & 휘트니 JT8D 터보팬]]에 [[애프터버너|후연기]]를 장착하여 라이센스 생산한 모델이다] || ||<-2> '''레이더''' || Ericsson PS-37/A || Ericsson PS-46/A || ||<|8> '''무장''' || '''기관포''' || 오리콘 KCA 30mm 기관포 × 2 [br] 300발 탑재 || 오리콘 KCA 30mm 기관포 × 1 [br] 150발 탑재 || || '''로켓''' ||<-2> 13.5 cm 로켓 포드 × 4 || || '''폭탄''' || 120 kg m/71 폭탄 × 16 || || ||<|5> '''미사일''' || [[AIM-9 사이드와인더|RB 24]] × 2 / [[AIM-9 사이드와인더|RB 24J]] × 2 [br]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AIM-9 사이드와인더|RB 24J]] × 6 / [[AIM-9 사이드와인더|RB 74]] × 6 [br]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 || [[AIM-120 AMRAAM|RB 99]] × 2 [br]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 || || [[AIM-7 스패로우#s-5.7|RB 71]] × 2 [br]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 || RB 04E [[대함 미사일]] × 2 || || || [[AGM-65 매버릭|RB 75]] [br] 중거리 공대지 미사일 × 2 || || == 상세 == 스웨덴은 항공기 공장이나 격납고 등을 산 속 깊숙한 곳이나 바위산, 혹은 땅굴 속에 만들어놓았다. 따라서 스웨덴은 이착륙거리가 짦고, 고속도로에서 500m 정도의 거리에서도 이착륙할 수 있는 전투기를 개발했는데 이것이 바로 사브 37 비겐(스웨덴어로 '번개')이다. [[사브 35 드라켄|J 35]]를 [[요격기]]로 운용하고 있었던 스웨덴은 복잡하면서도 넓은 해안선을 가진 자국의 해안을 방어하기 위한 전투[[공격기]]가 필요하였기에 비겐은 전투기임에도 공격능력을 더 우선하여 개발되었다. 그 때문에 JA 37이 아닌 '''AJ 37'''이 기본 형식이다.[* 스웨덴은 해당 전투기의 주요 임무나 개발 형식에 따라 '''J(전투기), A(공격기), S(정찰기 및 훈련기)''' 등의 제식 코드를 붙인다. J는 스웨덴어로 전투기(직역하면 추격기)를 뜻하는 "Jaktflygplan"의 앞 글자를 따온 것이며, S는 스웨덴어로 정찰을 뜻하는 “Spaning”의 앞 글자를 따온 것이다. [[JAS-39]]의 경우에는 한 기종으로 3가지 임무를 전부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전투기임을 알리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스웨덴 공군은 해당 기종을 전투, 공격, 정찰의 임무 비중에 맞춰 임무를 수행한다.] 사브 37은 [[카나드]]와 복합 삼각익(더블 델타익)이라는 유래가 없는 독특한 모양의 주익으로도 유명한데, 이것도 모두 이착륙 거리를 단축시키면서도 초음속 비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설계다. 다만 카나드와 주익 사이의 안 좋은 간섭문제가 있어서 주익이 특이하게도 단순한 삼각형이 아니라 오각형에 가깝다. 게다가 스웨덴 공군의 500m라는 극단적으로 짧은 착륙거리 요구사항 때문에 사브 37은 전투기로서는 매우 드물게 [[엔진 리버스|역추진 시스템]]을 사용했다. 심지어 한 에어쇼에서는 지상에서 역추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후진하는 모습을 보여준 적도 있다. 사브 37 비겐은 1993년부터 1997년 사이에 115대가 업그레이드되었고, 현재는 후계기인 [[JAS 39 그리펜]]으로 빠르게 대체되는 중이다. 파생기로는 전천후 요격능력을 강화한 JA 37, 정찰기형 SF 37, 대함 공격기 SH 37, 훈련기 SK 37, 전자전 훈련기 SK 37, 등이 이으며, 이전 선임 전투기였던 [[사브 35 드라켄]]의 분류 방식을 그대로 가져와 개량형이나 해외수출형들을 구분할 때에는 숫자의 뒤에 알파벳을 붙여 구분한다. 특히 공용 해외수출형 버전에 알파벳 '''X'''를 붙이는 것 또한 이어받았다. 막상 선임의 활발한 홍보에 비해 37X의 수출을 제안한 국가는 오직 [[노르웨이]] 뿐이었고 그마저도 결국 거절되어 생산되지는 못했지만... [* 그리고 노르웨이 공군은 대신 '''전투기 시장의 베스트셀러'''라고 불리우는 [[F-16]]을 도입했다.] == 운용과 퇴역 == || 초도비행 || [[1967년]] [[2월 8일]] || || 도입 || [[1971년]] [[6월 21일]] || || 퇴역 || [[2007년]] [[6월 26일]] || == [[대한민국 공군]]의 도입시도 == AJ37 비겐은 [[대한민국]]이 [[1979년]]도에 도입을 시도한 전투기이기도 하다.[[https://www.sedaily.com/NewsView/1KUW8UBS2Z|# ]]당시 상공부(산업자원부)와 군 실무자가 중심이 되어 도입을 추진하였다고 전해지며, 일설에는 공군에서 비겐의 강력한 [[STOL]] 성능에 주목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1979년]],10.26 사건으로 박정희 대통령이 사망하고 [[12.12 군사반란]] 이후 [[전두환]] 5공정권이 들어서면서 도입기종이 미국산 [[F-5]] E/F기종([[제공호]])으로 변경되었다. 정확히는 박정희 정부때 F-5A/B를 공여받았고, 전두환 정부때 F-5E/F를 면허생산했다는 것이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사실은 모두 정확한 소스가 없다. 심지어 박정희때 미국에서 [[A-7]] 생산라인을 뜯어올 뻔 했다는 루머까지 있다. 비겐의 STOL 성능뿐 아니라 당시 기준으로 한반도처럼 작전반경이 짧은 전장에서는 비겐의 최대무장량이 F-4 팬텀에 준할 만큼 상당하기 때문에, 당시 F-16을 제외한 모든 기종 중에서는 단연 돋보였다. 그래서 2000년대초 모 방송에서는 스웨덴이 한국이 분쟁국가라며 거절했다거나, 미국과의 관계나 정치상황 급변으로 묻혔다는 썰을 출처없이 인용하기도 했다. 스웨덴에서 현역이던 시절까진 장거리 대공전이 가능한 전투기이기 때문에 F-5보다 훨씬 나은 선택이 되었을 수도 있지만,[* 다만 위의 F-5E/F(제공호)의 경우 미국으로부터 도입한 것이 아니라 [[라이선스 생산]]권을 얻어냈다는 점에서, 어쩌면 당시 한국에서 최신 전투기의 도입보다 라이선스 생산 경험을 통한 '''[[KF-21 보라매|국산 전투기]] 개발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을 더 우선시 했을지도 모른다. 특히 [[제공호]]의 경우 단순 면허생산을 넘어 '''모든 부품을 자국화'''한 기종이었기 때문에 한국의 전투기 관련 연구개발에 도움을 주었다. 이후 직접적인 연관성은 알 수 없지만 몇년 뒤에 실제로 [[KT-1 웅비|한국형 전투기/훈련기]] [[T-50 골든이글|사업들을 진행하게 된다.]]] 이후 그리펜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자 스웨덴은 미련없이 퇴역시켜 버렸기 때문에 이후 운용엔 큰 문제가 발생했을 수도 있다. 다만 퇴역 이후엔 스웨덴측에서 아예 유지/관리 인프라까지 통째로 넘겼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 매체에서의 등장 == * [[SHIROBAKO]] 극중극 [[SHIROBAKO/작중작 #s-2|제3비행소녀대]](第三飛行少女隊) 크리스티네(クリスティーネ)가 탑승하는 전투기로 나온다. * 고전 게임 [[소닉 윙즈]](에어로 파이터)의 주인공 전투기 중 하나다. 북유럽제라서인지, 콧수염을 기른 근육 조종사가 바이킹 헬멧을 쓰고 나온다... * 비행 시뮬레이션 [[DCS World]]에서 직접 타볼 수 있는 모듈로 나온다. 구현도는 제작사가 Heatblur 시뮬레이션이라 상당하다. 거의 비겐 시뮬레이터라고 해도 될 정도의 고품질. * 비행 슈팅게임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서는 PSP로 발매된 [[에이스 컴뱃 X Skies of Deception]]와 [[에이스 컴뱃 X2 Joint Assault]]에서만 등장한다. * 비행 슈팅게임 [[Project Wingman]]에서도 초반 기체로 등장한다. 데모에서 플레이 가능한 항공기 3종류 중 하나이기도 했었다. * [[워 썬더]]에서 "Direct hit" 업데이트로 스웨덴 7티어 전투기로 JA37C 버전이 "Ground Breaking" 업데이트로 AJ37이 등장했다. == 여담 == [[파일:Johan-Rod.jpg|width=100%]] 유명한 기체로 '''"Johan Röd"'''라는 별명을 가진 기체가 있다. 이 항공기는 원래 스웨덴 [[엥엘홀름]]에 본기지를 두었던 스웨덴 공군의 [[https://en.wikipedia.org/wiki/Scania_Wing|F10 비행단 "스카니아"]] 소속이었는데, 2002년 비행단이 해산 절차를 밟으면서 부대의 마지막을 장식하고자 당시 부대의 최신예 '''공격'''기[* 여단 내 최신예 전투기는 [[JAS 39 그리펜]]이었다. 이 비행단은 3개의 비행대대로 편제되어 있었는데, 이 중 2개 비행대대는 최종적으로 JAS 39 그리펜을 도입했고 나머지 한 곳은 마지막까지 AJS 37 비겐을 운용했다.]였던 AJS 37에 특별 도장을 적용한 것이다. 동체를 전부 빨갛게 칠하고 옆에 영어권에서 유명한 격언인 ''''[[The Show Must Go On]]''''을 새겨넣었으며, 당시 비행대대의 상징이었던 유령 마크를 붙인 것이 인상적이다. 해당 공격기가 소속 비행단에서 가장 마지막 비행을 하게된 기체임을 생각해보면 마치 ''''비록 부대는 해체되더라도 [[군인정신|공군으로서의 의무/긍지는 계속되어야한다]]'''' 같은 느낌을 준다. 이후 이 항공기는 미상의 항공박물관에 전시되었으나[[https://www.jetphotos.com/photo/127162|#]] 관리가 부실했는지 도색이 바래도록 방치된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었다. 그러다가 어떻게든 보존되어 복원을 거쳐 박물관을 전전하다 현재는 개인이 운영하는 곳으로 추정되는 소규모 항공박물관[[https://goo.gl/maps/76DeQNzkJVQkp1a86|#]]에 전시된 것으로 보이며, 엥엘홀름 공군기지는 이후 스웨덴의 하이퍼카 회사인 [[코닉세그]]와 엥엘홀름 공군박물관 등에서 새 부지로 사들여 입주하게 되면서 부대시설과 격납고 등의 건물이 일부 보존되었다고 한다.[* 이 때 코닉세그 공식 페이스북 설명에 따르면[[https://www.facebook.com/KoenigseggAutomotiveAB/posts/have-you-seen-the-ghost-on-our-cars-heres-the-story-after-a-fire-in-our-plant-we/2519501948107712/|#]] 첫 방문할 당시에 격납고에 여전히 유령 부대 마크와 “The Show Must Go On" 구호가 벽에 붙어있었으며, 이에 감명을 받아 이후 제작되는 모든 자사 차량들의 엔진룸 위에는 이 유령 마크가 붙게 되었으며, 격언은 비공식 태그라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비행단이 말했던 "쇼"를 어찌보면 코닉세그가 이어받아 계속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트전투기/유럽)] [Include(틀:현대전/스웨덴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분류:사브]][[분류:3세대 전투기]][[분류:4세대 / 4.5세대 전투기]][[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스웨덴군/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