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삼한]] [include(틀:진한의 국가)] [목차] == 개요 == 沙伐國.[* 삼국사기 지리지의 표기]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었던 [[진한]]계열 소국이다. 사량벌국(沙梁伐國)[* 석우로전의 표기]이라고도 한다. == 내용 == [[삼국사기]] 열전 [[석우로]]전과 지리지 상주에 등장하는 소국으로, 신라를 배반하고 백제에 붙었다가 석우로에게 토벌당했다고 전한다. 지금도 상주시에는 동명의 면인 사벌국면[* 2020년 1월 1일 사벌면에서 사벌국면으로 변경되었다.]이 있으며, 그곳에 전(傳) 사벌왕릉이 있다. 6가야중 하나인 [[고령가야]]에 비정되기도 하지만, 상주는 진한의 세력권이었기에 사벌국은 고령가야와는 관련이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신라가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시기에 추풍령 일대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그 일대 호족들을 우대하면서 거의 신라 왕실의 직할령으로 만들다시피 했었는데, 그 지역이 바로 훗날 [[아자개]]와 [[견훤]]을 배출하는 이 사벌국 일대다. 물론 사벌국은 이미 그 이전에 지배 구조를 전면 해체당하고 신라국의 직접 지배령으로 편성되었으나, 신라 왕실이 '''서라벌에서 백제로 진출하는 길목이자 백제가 서라벌로 쳐들어오는 걸 막는 데 대단히 중요한 이 일대'''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적어도 고고학적으로는 거의 왕실 직할령이나 마찬가지나 된 건 진흥왕 시기부터다. 그전까진 눌지계 왕가가 경북 서북부 영주 일대, 즉 죽령 일대를 왕실 직할령으로 삼아 그곳에서 주로 근위대 및 정예군 장병을 선발했는데, 법흥왕 이후 등장하는 습보계 왕가(=일명 무열왕계)가 여기에 추풍령 일대를 개발하면서 옛 사벌국 일대를 포함한 지역 또한 죽령 지역과 마찬가지로 신라 왕실의 직할령에 추가하기 때문이다. 이 일대 출신들은 왕권강화를 위해 경북 서북부 죽령 일대 출신들과 함께 신라 왕궁근위대를 배타적으로 구성하게 된다.[* 물론 진흥왕 개혁 이전까진 왕궁근위대에 서라벌 출신들도 당연히 있었을 개연성이 높지만, 진흥왕의 군제 개혁 이후로는 왕궁근위대에서 서라벌인은 전면 배제되게 된다.] 이 일대는 의외로 후삼국시대 쟁패전에서도 중요한 캐스팅보트를 쥐게 되는데, 후기 박씨 왕실의 신라가 사실 내물왕 때의 그 신라보다 딱히 세력에서 못할 건 없었으나 근초고왕 백제보다도 판도가 훨씬 딸리는 후백제를 상대로 일방적으로 방어를 할 수밖에 없는 상태가 된 건 옛 사벌국 지역이 엉뚱하게도 바로 견훤의 [[후백제]]에게 포섭되었기 때문이었다. 물론 [[아자개]]가 세력을 유지하는 지역은 견훤이 마음대로 할 수가 없었으나, 그밖의 옛 사벌국 판도는 죄다 견훤의 후백제에게 넘어갔던 데다 아자개라고 딱히 적극적으로 신라 왕실을 도운 흔적은 없었으니 후삼국시대 신라가 밀릴 수밖에 없었음은 짐작이 어렵지 않다. == 기타 == * 2023년 6월 사벌국의 제사 유적으로 추정되는 유구가 발굴되었다.[[https://www.dk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05511|#]] [[http://kko.to/FhCjrN5xfx| 카카오맵]] == 둘러보기 == * [[진한]] * [[고령가야]] * [[상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