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백제 국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백제 제7대 국왕[br]{{{+1 沙伴王 | 사반왕}}}'''}}} || ||<|2> '''출생[br]{{{-3 (음력)}}}''' ||연대 미상 || ||[[백제]] [[위례성]][br](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풍납토성|일대]]) || ||<|2> '''사망[br]{{{-3 (음력)}}}''' ||234년 추정 (미상) || ||[[백제]] [[위례성]][br](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풍납토성|일대]]) || || '''능묘''' ||미상 || ||<|2> '''재위기간[br]{{{-3 (음력)}}}''' ||'''{{{#fbe673 제7대 국왕}}}''' || ||[[234년]] {{{-2 (1년 미만)}}}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부여(扶餘) || || '''휘''' ||사반(沙伴) / 사비(沙沸) / 사이(沙伊)[* 《[[삼국유사]]》.] || || '''부왕''' ||[[구수왕]](仇首王) || || '''시호''' ||'''사반왕(沙伴王)''' ||}}}}}}}}} ||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제]]의 제7대 군주이자 [[건길지]]. 즉위 직후 폐위당한 것으로 보이는데 [[발해]]의 [[폐왕(발해)|폐왕]], [[신라]]의 [[신무왕]], [[고려]]의 [[헌종(고려)|헌종]]과 [[창왕]], [[조선]]의 [[단종(조선)|단종]]의 대선배급 이력을 가진 군주이다. 이름인 사반(沙伴) / 사비(沙沸)에서 '사'(沙)는 고유어 '''새(로운 것)'''을 표기할 때 자주 쓰던 글자이고, '반'(伴)과 '비'(沸)는 상고한어에서 각각 *par[* 사실 이건 원시한장어 재구음이다. [[상고한어]]에서 [[중고한어]]로 넘어갈 때 대부분의 -r이 -n으로 바뀌었는데 이 한자도 그 때 변한 것인지는 불명.], *pɯd[* 여기서 -d는 전호현상으로 인해 고유어에서는 -l로 발음]로 발음되었던 점을 생각하면 고유어로 '''새벌'''이라고 읽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벌은 인명보다는 지명에 적합한 명칭인 것이 특이한 점. 소을부리(所乙夫里), 소비(所非), 소부리(所夫里), 사비성(泗沘城) 등을 보면 '부리'의 어형이 '비'로 축약되는 형상이 있다. 적(赤), 즉 붉다는 뜻의 삼국시대 말로 '사파을'(沙巴乙), '사비'(沙非)가 존재하는데, 현대 국어의 "새빨갛다"와 "시뻘겋다"의 어원으로 보이며, 사반왕의 이름과 연관이 있다는 설도 있다.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매년 11월 첫째주 토요일 오전 10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21(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매년 11월 첫째주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에서 거행된다.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고려)|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고려)|서균]](徐鈞) [[서린(고려)|서린]](徐璘), [[서원(고려)|서원]](徐元) [[서공(고려)|서공]](徐恭) [[서성(고려)|서성]](徐成) [[서순(고려)|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고려1)|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고려)|서원경]],[[서충(고려)|서충]],[[서신(고려)|서신]],[[서윤(고려)|서윤]],[[서후상]],[[서윤현(고려)|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고려)|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고려1)|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고려)|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고려)|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고려)|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고려3)|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고려)|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고려1)|서보]](徐寶 공조전서.정3품 .장관)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고려)|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고려)|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서씨일가연합회]] [[https://band.us/@seosarang]] == 생애 == [[구수왕]]의 장남으로 234년에 즉위했으나[* 기록만 봐선 구수왕과 나이 차가 많이 난다고 보이지만 어차피 백제 초기사 기년 자체가 엉망진창인 만큼 이걸 그대로 믿기는 매우 어렵다. 다만 고이왕에게 찬탈당했을 개연성은 높다.] 나이가 어리고 정사를 처리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금방 [[고이왕]]에 의해 폐위당했는데 사실 정확한 재위 기간은 불명확하나 거의 즉위 직후에 폐위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이왕은 기록상으로는 사반왕의 작은 할아버지에 해당하며 이 기록이 사실이라면 방계 왕족의 왕위 찬탈에 불과하겠으나 그럴 개연성은 적다. 《[[삼국사기]]》에서는 아예 왕 취급을 해주지 않으며 사반왕을 위한 별도의 단락도 없이 이 대목에서만 나온 후 구수왕에서 고이왕으로 바로 넘어간다. [[온조왕|온조]](溫祚)계 [[왕족]] 출신이며 초고왕계 세력에 속해 있는데 사반왕 대에 이르러 초고왕계가 약해지며, 이로 인해 고이왕이 즉위한 것으로 보는 학설이 있다. 제대로 된 기록이 없어 고이왕이 즉위한 이후 사반왕이 언제 승하했는지는 불명. 《[[삼국유사]]》에는 이설로 239년 사망하고 고이왕이 뒤이어 왕위에 올랐다는 이야기가 언급되어 있다. 초고왕계를 완전히 다시 세운 근초고왕이 사반왕 아들이 아니라 비류왕 아들로 되어 있는 걸로 봐선, 근초고왕은 같은 초고왕계라 하더라도 사반왕의 후예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사비왕(沙沸王),, 【사이왕(沙伊王)이라고도 한다.】,,은 [[구수왕]](仇首王)이 돌아가시자 대를 이어 왕위에 올랐지만, 너무 어려서 정사를 볼 수가 없었다. 그래서 곧 폐위시키고 [[고이왕]](古爾王)을 왕으로 삼았는데, 혹은 경초(景初) 3년 기미[* 원문은 낙초 2년 기미(樂初二年己未)로 되어 있다. 위명제(226~239) 시기에 쓰인 연호 '경초'의 오기로 추정된다.](서기 239년)에 왕이 세상을 떠나자 고이왕이 왕위에 올랐다고도 한다. >---- >'''《삼국유사》 제2권 <기이> 제2 -남부여ㆍ전백제ㆍ북부여-''' == 《삼국사기》 기록 == [include(틀:삼국사기)] 군주 순서에서 사반왕이 아예 없다. 구수왕 다음 기록이 고이왕 기록으로 《삼국사기》에서 사반왕을 보려면 <고이왕 본기>의 첫 부분을 찾아야 한다. >'''一年 고이왕이 즉위하다''' >고이왕(古尒王)은 개루왕의 둘째 아들이다. 구수왕이 재위 21년에 사망하자, 그의 맏아들 '''사반'''이 왕위를 이었으나 나이가 어려 정사를 잘 처리하지 못하였으므로 초고왕의 동복(同腹) 아우 [[고이왕|고이]]가 왕위에 올랐다. >---- >'''《삼국사기》 <백제본기> -[[고이왕]]-''' 위 항목에서 나오는 사반이 《삼국사기》에 기록된 사반왕에 대한 유일한 기록이다. 덕분에 재위 기간이 짧은 백제의 여러 왕들 [[나무위키]] 문서에서 사반왕보다는 낫다는 식의 구절이 적혀 있다. 다만 재위 기간이 짧기는 해도 [[후손]]은 남겼는데 《신찬성씨록》에 반비씨(半毗氏)라는 [[가문]]이 사반왕을 시조로 받드는 가문으로 적혀져 있다. == 기타 == * 제11대 [[비류왕]]이 구수왕의 2남으로 기록되어 있어 기록상으로는 사반왕의 동생이 된다. 다만 비류왕의 비정상적인 나이와 행적을 보면 아닐 가능성이 크다. [[분류:백제 국왕]][[분류:234년 사망]][[분류:폐위된 군주]] [include(틀:포크됨2, title=사반왕, d=2022-07-07 18:0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