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71717,#171717 '''{{{+1 사무라이 8: 하치마루전}}}'''[br]サムライ8 八丸伝[br]Samurai 8: The Tale of Hachimar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042639633_1.jpg|width=100%]]}}} || || '''{{{#171717,#171717 장르}}}''' ||[[사무라이]], [[사이언스 픽션|SF]], [[사이버펑크]], [[스페이스 오페라]] || || '''{{{#171717,#171717 작가}}}''' ||스토리: [[키시모토 마사시]][br]작화: 오쿠보 아키라 || || '''{{{#171717,#171717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슈에이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원씨아이]] || || '''{{{#171717,#171717 연재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주간 소년 점프]][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코믹 챔프]] || || '''{{{#171717,#171717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점프 코믹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챔프 코믹스 || || '''{{{#171717,#171717 연재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24호 ~ 2020년 17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13호 ~ 2020년 8호 || || '''{{{#171717,#171717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5권 ,,(2020. 05. 13. 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5권 ,,(2021. 01. 15. 完),,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무라이]]를 소재로 한 일본의 [[사이언스 픽션|SF]] 만화. 스토리는 [[나루토]]로 유명한 [[키시모토 마사시]], 작화는 오쿠보 아키라(大久保彰)[* 2004년 슈에이샤의 《아카마루 점프》 2005년 WINTER호에 <토토의 칼(トトの剣)>을 냈고, 이듬해 《주간 소년 점프》 40호를 통해 <마법사 무크>로 본지에 데뷔했으며 키시모토 마사시 작가의 어시스턴트로 근무한 바 있다.]가 담당했다. == 줄거리 == >태어났을 때부터 생명 유지 장치 없이는 살 수 없을 정도로 매우 허약하지만 사무라이를 동경하는 소년 하치마루. 우울한 나날을 보내던 하치마루 앞에 고양이 모습을 한 의문의 사내가 나타나고, 그의 운명이 변하기 시작한다. > >은하를 무대로 펼쳐지는 대하 SF로망. == 발매 현황 == ||
'''{{{#cd362f 01권}}}''' || '''{{{#cd362f 02권}}}''' || '''{{{#cd362f 03권}}}''' || || [[파일:k042639633_1.jpg|width=100%]] || [[파일:사8 2권.jpg|width=100%]] || [[파일:사8 3권.jpg|width=100%]] || || '''{{{#cd362f 첫 번째 열쇠}}}''' || '''{{{#cd362f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 '''{{{#cd362f 코츠가와 류}}}''' ||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10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5월 26일}}}'''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12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5월 26일}}}'''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1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07월 17일}}}''' || || '''{{{#cd362f 04권}}}''' || '''{{{#cd362f 05권 ,,(完),,}}}''' || || [[파일:사8 4권.jpg|width=100%]] || [[파일:사8 5권.jpg|width=100%]] || || '''{{{#cd362f 파트너}}}''' || '''{{{#cd362f 다음 유성}}}''' ||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3월 0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10월 16일}}}''' || '''{{{#373a3c,#dddddd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05월 1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01월 15일}}}''' || [[주간 소년 점프]]에서 2019년 5월 13일부터 연재됐으며 단행본은 점프 코믹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한국어판은 챔프 코믹스 레이블로 정발되었는데, 번역은 <보루토>를 맡는 한나리가 꿰찼다. == 등장인물 == * '''하치마루''' [include(틀:주간 소년 점프 연재작 주인공)] 본작의 주인공. * '''하야타로''' * '''달마''' * '''안 공주''' * '''코츠가와''' == 비판 == 이 작품은 '''출판사가 네임드 작가만 믿고 과도하게 밀어주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알려주는 [[반면교사]]'''라 할 수 있다. 캐릭터들의 특징이 나루토 캐릭터들과 별 차이가 없고, 짧게는 10권에서 길게는 20권 정도에 걸쳐 천천히 풀어서 설명해야 할 만한 복잡한 설정들을 2권도 안 되어 몰아서 설명하려 하며 특별히 눈에 띄는 전개나 연출도 없고 스토리도 별로 몰입감이 없고 매우 유치한 대사들이 허다하다. 사무라이 하치마루전만의 고유용어가 아니라 일본어 사전에도 등재된 일반명사를 전혀 다른 의미로 설명하려 한다. 이 부분에서 특히 많이 까인 "[[무사]]가 아니라 [[사무라이]]다! [[로닌]]이지만 말이야." 하는 대사가 있다. 무사와 사무라이, 로닌이 사무라이 8 세계관에서는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 현실의 독자들이 아는 의미와 전혀 다르거니와 문장구조가 난잡해서 가독성이 떨어졌다. 주인공인 하치마루의 캐릭터성도 독자들에게 공감되지 않고, 오히려 인성 측면에서 문제있어보인다는 반응도 있다. 안 공주에게 저녁밥을 만들어놓으라고 시켰음에도 자신은 밖에서 돈까스 덮밥을 먹고, 정작 열심히 저녁밥을 준비한 안 공주를 무안하게 만든다. 그런데도 하치마루는 [[적반하장|딱히 미안해하지 않았고]] 오히려 안 공주가 사과를 하는 등 의미를 알 수 없는 캐릭터성이다. [[남존여비]]라며 욕 얻어먹었던 나루토가 선녀로 보일 정도로 남존여비 현상이 심하다. 오죽했으면 일본 독자들은 나루토의 여캐들이 능동적이고 주체적이었다고 재평가하고, [[쇼와 시대]]에 쓰여진 창작물 속 여캐들도 이 정도로 수동적이지는 않았다면서 깠다. 메인 히로인인 안 공주는 철저한 비전투형 히로인이라 하는 일이라곤 주인공에게 자기 오빠를 겹쳐봤다가 제대로 마음을 깨닫고 고백하는 일과 인질로 잡히는 일밖에 없고, 기도 및 버프 그리고 가사 일만 하는 철저한 [[야마토 나데시코]]이다. 캐릭터에 대한 평가를 떠나서 배틀물에서 메인 히로인이 비전투 캐릭터라면 남녀노소를 불구하고 독자들에게 호응을 얻지 못한다. 안 공주 같은 캐릭터는 완전한 중립을 유지하는 초월자나 주인공의 엄마/누나처럼 뒤에서 도와주는 조연에 어울리지, 한쪽 편을 반드시 들어야 하는 메인 히로인 역할에는 맞지 않는다. 오히려 똑같이 수동적인 여자 캐릭터에 서브 히로인이지만 햐키마루를 만난 뒤 겁쟁이인 자신을 이겨내고 사무라이가 되어 막판에 햐키마루를 구해준 나나시가 훨씬 더 메인 히로인에 어울린다는 평가가 많다.[* 나루토의 여성 캐릭터는 죄다 투희에 자기 나름대로 성장서사라도 있다.] 일본 팬덤에선 누군가 '만화는 이렇게 그리면 안 된다는 걸 본보기로 삼을 수 있는 좋은 예시이기 때문에 사무라이 8을 추천한다.'는 조롱 섞인 추천 글을 쓴 적이 있고, 또 다른 일본 팬은 '작가 키시모토가 소년만화 3대 걸작 중 하나였던 나루토를 집필했으니까 이렇게 오래 버텼지, 만약 키시모토가 신인이었거나 무명이었다면 진작 퇴출되었을 것'이라고 깠다. 사무라이 8과 키시모토를 풍자하는 짤들이 우후죽순으로 쏟아져 나왔고, 키시모토는 만화가는 하지 말고 그냥 애니메이터, 캐릭터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나 하는 게 낫다는 극단적인 말까지 인터넷에 올라왔다. 실제로도 연재 초기부터 인기는 낮았으나 점프 측에서는 오히려 [[주술회전]], [[체인소 맨]], [[액터주 act-age]] 등 당시 새롭게 떠오르던 인기작들과 묶어서 홍보하고 다녔다. 그러거나 말거나 독자들은 동시기 최고의 인기를 구사하던 [[귀멸의 칼날]]에서 사무라이 8과 정확히 반대되는 스토리가 나오자 해당 대사를 따 아예 '사는 게 수치8'[* 당시 연재된 귀멸의 칼날 에피소드는 잘린 머리와 몸을 재생시키며 발악하던 [[코쿠시보]]가 인간의 겉모습마저 벗어던진 자신을 환멸하며 "사는 게 수치다."라고 독백하고 과거를 회상하며 자멸하는 스토리였다. 그리고 몇 쪽 뒤 사무라이 8 연재분에서는 바닥을 굴러다니고 주인공의 잘린 머리가 한 방 먹였다고 해맑게 웃고 있었다. 귀멸의 칼날에선 처절한 서사를 보여줬는데, 사무라이 8에선 비슷한 배경인데도 스토리가 처참하다보니 배경과 무관하게 비교를 안 할 수가 없었다.]이란 멸칭으로 불렀고, 한국 팬들은 듣보잡 취급에 양덕들은 그냥 밈으로 만들어 비웃었다. 사무라이 8의 실패는 키시모토의 스토리 구상 능력에 대해서도 재평가하게 만들었다. 키시모토의 전작 나루토에서는 편집부의 조언으로 등장하지 못하고 무산된 설정들이 많은데, 그 설정 중 많은 부분이 사무라이 8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루토 1부가 명작 평가를 받는 작품이 된 건 키시모토 마사시의 역량이 아니라 소년점프 편집부 [[야하기 코스케]]의 역량 덕분이고, 특히 파도나라 편은 키시모토한 짠 구상에 편집부가 직접 설정을 넣어 새로 만들었다는 얘기까지 발굴되었다. 2부 또한 재평가를 받았는데, 2부에서도 편집부의 의견을 반영한 게 많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나루토가 크게 성공한 데에는 작가(주로 작화 부분)의 공도 크지만 편집부(주로 스토리 부분)의 공도 크다고 평가하는 독자들도 늘어났다. 일부 팬들은 만약 키시모토가 나루토를 그리며 편집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았더라면 약 2~3권 분량만에 퇴출되었으리라 평하기도 했다. [[나루토]]가 후반부로 갈수록 막장화 된 이유가 단순히 소년점프 측의 무리한 요구 및 간섭이 아니라 '작가 [[키시모토 마사시]]의 역량이 부족해서'라는 점을 드러냈다. 사무라이 8의 작화 담당인 오쿠보 아키라의 작화는 좋았다고 평가받는다. 그러나 작화가에게 딱히 동정어린 평가를 내리기는 어려운 것이, 우선 이 사람 신예도 아니고 데뷔 20년 가까이 된 베테랑이다. 단편 데뷔 후 연재를 하는 것이 아닌 나루토의 어시스턴트로 10년을 넘게 근무해서 그렇지.[* 나루토 정도 되는 히트작의 스태프는 치프급은 몇억, 그 밑도 오오쿠보처럼 근속 10년 가까이 되면 연봉을 한화로 1억 원은 넘게 받는다. 이 정도 작화를 주간 스케쥴에 맞추어 소화하는 것은 보통 사람은 할 수 없는 일이다. 본인이 망할지도 모르는 자기 작품을 하는 모험을 포기하고 안정적인 수입을 택한 것.] 나루토의 어시스턴트로 10년이 넘게 고액 연봉을 받았고, 사무라이 8이나 보루토는 사실상 키시모토가 연재후 오래 근속한 스탭들의 재취직 자리를 알아봐준 것에 가까운데, 문제는 경력만 오래됐을 뿐 15년 가까이 자기 작품을 안 그린 사람이 그렇게 순식간에 점프에서 연재를 따낼 수 있을 리가 없다. 스토리는 제껴두고 작화담당으로만으로 고용하고 싶어도 네임을 짜는 능력이 의심스럽기에 네임까지 써줄 원작자를 구해야 하는 점에서 일단 1차로 어려워지고, 업계 도의상 연봉은 보전해 줘야 하는데 나루토 스탭으로 받던 연봉이 워낙 많은지라 네임도 못 짜는 작가에게 원고료도 상당히 많이 지불해야 하며, 상당히 많은 나이로 인해 보통 2~30대가 작가가 많은 만화업계 특성상 2030일 원작자, 혹은 많아야 동년배일 편집자가 컨트롤하기 어려운 등 키시모토의 연줄이 아닌 이상은 고용하기 어렵다. 애초에 좋으나 싫으나 키시모토 마사시와 함께가 아니라면 연재를 따내는 것 자체가 어려웠던 것. 실제로 사무라이 8의 완결 이후로도 다른 만화 도전 이야기가 전혀 없이 증발해버린 것에는 이런 이유가 크다. 보통 키시모토 마사시같은 슈퍼히트작 작가들은 연재를 안 할 때도 스탭들에게 보류수당을 지불하기 때문에 그것만 받아도 충분히 먹고살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정도로 그림체를 맞춰줄 수 있고 실력있는 스탭은 정말 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딴데 가지 말라고 일이 없어도 일단 돈을 지불하면서 잡아두는 것. 회사에서 딱히 프로젝트가 없어도 출근해서 한가하게 보내면 월급 나오는 것과 비슷하다. 보통 관례상 연재때의 절반 금액 정도를 지불한다.] 나루토의 팬덤은 물론이고 일반 독자에게도 철저히 외면받았는데, 사실 소포모어 징크스야 이 업계에서 흔하디 흔한 일이고 [[와츠키 노부히로]]의 건 블레이즈 웨스트, [[후지사키 류]]의 와쿠와쿠, 홋타 유미[* [[고스트 바둑왕]] 원작담당.]의 유토 등 하치마루전보다 더 망한 작품도 제법 있긴 하다. 하지만 이 작품들은 이미 전성기에서 한참 내려오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들이었고, 별다른 홍보와 관심도 끌지 못하고 조용히 사라진 작품들이었지만, 사무라이 8은 그 키시모토 마사시가 연재 전 부터 나루토보다 더 뛰어난 작품이 될것이다며 열심히 자부하면서, 소년 점프의 유래없을 정도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은 막대한 홍보와 금액을 들인 점을 감안한다면, 이정도 푸쉬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위에서 설명된 작품들에 비견할 만한 수준의 실패를 거뒀다는 점에서는 훨씬 더 피해가 막심하다, 심지어 사무라이 8은 [[슈에이샤]]가 점프 공식 홈페이지 메인 홈 맨 윗 상단에 광고를 올려두거나 당시 제일 인기작이던 귀멸의 칼날과 같이 홍보해주는 등등 거의 편애 수준으로 밀어준 작품임에도 인기가 이꼴이었다. 니코동에서 영상으로 제작된 [[https://archive.md/vzB7J|사무라이8 하치마루전 어록에 대해 알아보자]]와 [[https://archive.md/jkdT7|사무라이 8은 왜 망했는가]]에 대한 번역도 참고해서 보면 망한 이유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사무라이 8이 완결된 후 키시모토는 [[보루토: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의 스토리 작가로 복귀하였는데, 사무라이 8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을 그대로 답습했다. 자세한 내용은 [[보루토: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비판 및 논란]] 문서를 참고 바란다. == 기타 == * 키시모토 마사시는 원래 사무라이 만화를 연재하려고 했으나 당시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때문에 소재를 사무라이에서 닌자로 바꿔 나루토를 연재했다는 비화가 있는데, 이 작품은 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이 만화의 캐릭터 디자인에 대해 이야기하는 만화를 그렸는데 거기서 “캐릭터 위치를 좀 옮긴다(キャラ位置をズラす)”는 희한한 표현을 썼다가 놀림거리가 되었다. “하치마루의 안경에는 캐릭터 위치를 옮긴다는 의미가 있었습니다.” 라고 했는데, 안경 낀 캐릭터라면 두뇌파에 어른스러운 이미지가 있지만 주인공인 하치마루는 여느 소년 만화의 주인공처럼 활발하고, 뚱뚱한 캐릭이 멋진 말을 하기도 하고 안경 낀 애가 험한 농담을 하거나 우락부락한 캐릭터가 신사적인 것 등 이미지와 다른 모습을 연출하면 신선할 거라고 생각했다고 하자 옆 사람이 맞장구를 쳐 주는 내용이다. 하지만 요즘엔 캐릭터 자체가 너무 다양해서 특별히 신선해 보인다고 하기도 어렵고, 마사시가 설명한 개념 역시 [[클리셰 파괴를 위한 클리셰]]로 이미 먼 옛날부터 사용되던 아이디어이고 본인이 그린 나루토에서도 그런 캐릭이 넘쳐난다. 결정적으로 하치마루전을 말아먹은 데다가[* 이게 제일 크다. 작품만 재밌었으면 그냥 해프닝 수준 아니면 그냥 마사시의 센스가 독특하고 대단하다고 넘어갔을 수도 있다.] 해당 표현 자체가 너무 어색해서[* ずらす는 물리적이든 개념적으로든 편의를 위해 살짝 옮기는 것, 틀어놓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경우는 문맥적으로 이해 못할 정도는 아니지만 설명을 동반하지 않으면 바로 알아들을 표현이 아니다.] 당연하게 쓰는 [[갭 모에|갭]]이란 표현도 모르면서 나루토를 그려낸 갓 작가님이라거나, 이 ズラし야말로 만화를 그리는 데 있어서의 최고봉 테크닉이라거나, 그런 고등 기술을 쓰고도 만화를 말아먹었다 등등 까는 밈으로서의 표현으로 자리잡았다. 나루토에서 쌓은 노하우를 다 때려박았으니 순조롭게 그려나가면 나루토를 뛰어넘을 겁니다 같은 발언도 한 적이 있어서 더욱 비판받고 있다. [[http://doujinsokuhou45.com/archives/10450803.html|#]] 그리고 이게 역수입되어 나루토 영상에서도 ズラし라는 코멘트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나루토의 숱한 비판 내용에서 알 수 있듯 예전부터 캐릭터 편애에 의한 대우가 극과 극으로 갈리는 작가였기 때문에 써먹을 곳이 넘쳐나는 것.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2019년 만화]][[분류:SF 만화]][[분류:스페이스 오페라]][[분류:사이버펑크 만화]][[분류:주간 소년 점프 연재작]][[분류:키시모토 마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