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사무직 [[직장생활]]에서 주로 쓰이는 용어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 [[직책]], [[직급]], [[직무]]: 해당 항목으로 분리 == 기업 용어 == === [[기획]] 및 서류 관련 === * [[결재]], [[결재선]] (결재라인) * 내부결재: 부서 내부에서만 작성되는 문서를 뜻한다. 외부로 나가지 않는 문서. * [[공문]], 공문서 * [[기획]], 기획안, 기안서(起案書): [[기획]]/[[기안]]을 하는 목적의 보고서로 품의서와 비슷하나 품의서가 허락을 구한다는 느낌이 강하다면 기안서는 세부적인 것을 좀 더 많이 쓰는 것에 가깝다. --하지만 회사마다 용례가 다를 것이다-- [[공무원]]에서는 전자문서를 만드는 프로그램 이름 자체가 '''기안기'''이다. * 발주서: 주로 [[B2B]]로 물품을 구매할 때 쓰는 양식이다. [[구매]] 직군에서 쓸 일이 많다. * [[보고서]]: [[보고]]를 하기 위한 서류. 대학에서 쓰는 학술 논문과는 전혀 다른 형식이다. * 시행문: 회사에서 어떻게 하라고 지침을 내리는 것. [[지시사항]]이랑 비슷한데 보통은 [[하달]]이나 [[통보]]를 위한 것이다. * 품의서(稟議書): [[보고서]]의 일종이다. 어떤 계획 등을 상신하여 허락을 구한다. 기안서와 혼용된다. === 행사 === * [[시무식]] / [[종무식]] * [[워크샵]] === 기타 === * 법인카드: 회사 일로 돈을 쓸 때는 대부분 법인카드를 써야 한다. 회사 일로 돈이 필요하다고 해도 팀장급에서 허락하지 않는 한 개인 카드를 쓰면 안 된다. "사원의 계좌에서 결제한 다음 사용 내역을 증빙해서 나중에 환급받기" 이런 건 정상적인 직장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이것을 시도한 사람이나 허락해준 사람은 [[감사]]를 당해 사표를 쓸 가능성이 높다. * [[사수]]: 사수는 직속 상사, 부사수는 사수의 부하를 말한다.[* 여러 명의 상사 중 높낮음을 구분하는 게 아닌 데 유의.] '단순히 직급이 높은 다른 부서의 상사'와 '사수' 사이에 누굴 더 챙겨야 할 지는 항상 문제가 된다. 회사마다 다르지만, 다른 부서 상급자(과장) vs 사수 (대리) 정도라면 사수, 다른 부서 상급자(부장) vs 사수(대리) 정도라면 다른 부서 상급자의 명령을 우선하는 게 나을 수 있다. * [[사원번호]] (사번) * 세전/세후: [[연봉]]은 '회사에서 지출하는 금액'(세전 연봉)과 '사원이 통장에 받는 금액'(세후 연봉)이 크게 다르다. "(세전) 5000이야. / (세후) 4300이야. / 실수령 300이야. 평달 월급 300이야." 이 이야기들은 모두 같은 이야기이다. 자세한 내용은 [[연봉]] 문서 참조. * 전사적(全社的, Corporate): 회사 전체적인 차원이란 뜻이다. * Confidential (컨피덴셜): 주요 [[비밀]]을 가리킨다. 때로는 [[대외비]]를 가리키기도 한다. * 탕비실: 湯沸는 끓인다란 뜻이다. 즉 물을 끓일 수 있는 곳을 말한다. 이름에 걸맞게 [[전기 주전자]]가 비치된 경우가 많다. 주로 차와 다과류, 냉장고 등이 비치된 사무실이며, 작은 사무실에서는 [[식당]]이나 [[휴게실]]을 겸하기도 한다. [[도시락]]을 싸온 직원들이 탕비실에서 밥을 먹기도 한다. * [[파티션]]: 회사에서 쓰는 가림막을 말한다. 사무실 책상간의 구분을 만든다. [[임원]]에게 임원실을 별도로 주지 않는 [[HP]] 같은 회사에서는 임원들도 파티션으로만 구분될 뿐 일반 직원들과 같은 사무실에서 일한다. * 회의실 (meeting room): 규모가 되는 기업의 경우 한 층을 통째로 [[미팅]]할 수 있는 여러 개의 방으로 된 공간으로 꾸며놓는다. === 영어 약어 === * f/u (Follow Up): 후속 대응조치 * [[HR]](Human Resource): [[인사(직무)|인사]] 직무. 문서 참조. * [[IR]](Investor Relation): 회사에서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공개하는 정보. 문서 참조. * [[MBA]]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 경영학 실무 석사. 문서 참조. * MBB (McKinsey, Bain, BCG): [[전략컨설팅]]펌 탑3. 문서 참조. * M/S (Market Share): 시장점유율 * SC(Supply Chain),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사슬. 문서 참조. * OJT (On-the-Job Training): '직장 내 훈련'은 [[직무교육]]의 일종이다. [[회사]]에서 [[신입연수]] 후에 [[직군]]이나 [[직무]], 직렬 별로 실시하는 다수 대상의 직무교육과 달리 OJT는 사무실에서 [[사수]]와 [[부사수]]의 맨투맨으로 이뤄진다. 교본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는 경우도 많다. [[부서장]]들이 자리 옮기거나 일 관두는 사람한테 [[매뉴얼]]을 만들어둘 것을 요구해두는 교육이기도 하다. * PI(performance incentive): [[성과급]]이다. 아래의 PS와는 다르게 팀별로 액수가 다른데 각 부서별로 얼마나 [[실적]]을 냈는가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 PS(profit sharing): 성과급이다. 회사에서 이익을 내면 임직원들에게 나눠주는데 [[직급]]에 따라 금액이 다르다. 위의 PI와 구분하는 방법은 이건 그냥 일종의 배당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다 주는 거. --한화 [[김승연]]은 감방 갔다 온 다음에 미안하다며 캐셔들한테도 뿌렸다-- * PT(Presentation): [[프리젠테이션]]. 문서 참조. [[분류:경영학]] [[분류: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