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목차] == 개요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cthemax2nd.png|width=60%&align=center]]}}} || ||<-6><#de9a49> '''[[Love is Time Sixth Sense|{{{#ffffff Love is Time Sixth Sense}}}]]'''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3 || '''사랑의 時(시)'''^^{{{#red TITLE}}}^^ ||<|2> 3:45 || 채정은 ||<|2> Tamaki Koji ||<|2> 김승현 || || 13 || '''사랑의 時(시) (Inst.)''' || -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cthemax5thalbum.png|width=60%&align=center]]}}} || ||<-6><#ae9b73> '''[[RETURNS & Fall...in Love|{{{#ffffff RETURNS 2CD}}}]]'''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1 || '''사랑의 時 (2007 New Ver.)''' || 3:36 || 채정은 || Tamaki Koji || 김승현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cTheMaxCurtainCall.png|width=60%&align=center]]}}} || ||<-6><#e5348f> '''[[Curtain Call|{{{#ffffff Curtain Call}}}]]'''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5 || '''사랑의 시(時)''' || 4:31 || 채정은 || Tamaki Koji || 김승현 || ||<-6>
[[파일:attachment/MAX_PWROV.jpg|width=40%]] || ||<-6><#019fe9> [[월아무적 (月兒無敵)|{{{#ffffff '''월아무적 (月兒無敵)'''}}}]]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14 || '''사랑의 시(時)'''^^{{{#red TITLE}}}^^ || 3:32 || 채정은 || Tamaki Koji || 김승현 || ||<-6>
[[파일:external/torrentkim3.net/2083859853_894YdqxT_COVER.jpg|width=60%]] || ||<-6><#e4eff1> '''[[UNVEILING|{{{#1d1f1f UNVEILING 2CD}}}]]''' || ||<:> {{{#1d1f1f 트랙}}} || {{{#1d1f1f 곡명}}} || {{{#1d1f1f 러닝타임}}} || {{{#1d1f1f 작사}}} || {{{#1d1f1f 작곡}}} || {{{#1d1f1f 편곡}}} || || 7 || '''사랑의 시 (2013 Live Ver.)''' || 3:57 || 채정은 || Tamaki Koji || -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EREMONIA_Complete.jpg|width=60%&align=center]]}}} || ||<-6><#f9f3ec> '''[[CEREMONIA|{{{#964c38 CEREMONIA 1CD}}}]]''' || ||<:> {{{#964c38 트랙}}} || {{{#964c38 곡명}}} || {{{#964c38 러닝타임}}} || {{{#964c38 작사}}} || {{{#964c38 작곡}}} || {{{#964c38 편곡}}} || || 12 || '''사랑의 시 (20th Edition)''' || 4:08 || 채정은 || Tamaki Koji || 권영찬 || == 음원 및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iM1uLXK8fQ,width=100%,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Ta8T9kTce0,width=100%,align=center)]}}} || || '''▲ 2집(2003) 수록 음원''' || '''▲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cyiw3K9e7I,width=100%,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Cs6oBra2Tc,width=100%,align=center)]}}} || || '''▲ 5집(2007) 수록 음원''' || '''▲ CEREMONIA 앨범(2021) 수록 음원''' || ==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shMccapBG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X86FJeAzD4)]}}} || || '''▲ 2004년 12월 25일 [[박효신]]과 함께 부른 라이브''' || '''▲ 2007년 콘서트 월아무적(月兒無敵) 앨범 수록 라이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pscAcHx9L4,align=center)]}}} || ||<-2> '''▲ 2014년 1월 17일 원더라이브''' || == 가사 == ||
<:> {{{#fff '''{{{+3 사랑의 시}}}'''}}}|| ||<:>한참을 앓고 있죠ㅡ 사랑한단 뜻이에요ㅡ 이 사랑을 깨달은 순간이 제 인생에 젤 힘든 날이었죠ㅡ 피할 수 없어 부딪힌 거라고 비킬 수도 없어 받아들인 거라고ㅡ {{{#green 하}}}{{{#blue,#dodgerblue 지만}}} 없죠{{{#blue,#dodgerblue ㅡ 절 인}}}{{{#green 정할}}} {{{#yellowgreen 사}}}{{{#blue,#dodgerblue 람}}} {{{#green 세}}}{{{#blue,#dodgerblue 상}}}{{{#red 은 제 맘 미친}}} {{{#blue,#dodgerblue 장난}}}{{{#green 으로}}}만 보겠죠 바람이 차네요ㅡ 제 얘기를 듣나요ㅡ 저 같은 사랑 해봤던 사람 혹 있다면은 절 이해할 테죠ㅡ 단념은 더욱 집착을 만들고 단념은 더욱 나를 아프게 하고ㅡ {{{#green 어}}}{{{#blue,#dodgerblue 떻게}}} 하죠{{{#blue,#dodgerblue ㅡ 너무}}} {{{#green 늦었}}}{{{#yellowgreen 는}}}{{{#blue,#dodgerblue 데}}} {{{#green 세}}}{{{#blue,#dodgerblue 상}}}{{{#red 과 저는 다른}}} {{{#blue,#dodgerblue 사랑}}}{{{#green 을 앓}}}고 있네요 피할 수 없어 부딪힌 거라고 비킬 수도 없어 받아들인 거라고ㅡ {{{#green 하}}}{{{#blue,#dodgerblue 지만}}} 없죠{{{#blue,#dodgerblue ㅡ 절 인}}}{{{#green 정할}}} {{{#yellowgreen 사}}}{{{#blue,#dodgerblue 람}}} {{{#green 세}}}{{{#blue,#dodgerblue 상}}}{{{#red 은 제 맘 미친}}} {{{#blue,#dodgerblue 장난}}}{{{#green 으로}}}만 보겠죠 담배도 없네요 달도 쓸쓸하네요ㅡ 저 같은 사랑 시작한 사람 혹 있다면은 도망ㅡ쳐요|| ||2옥타브 솔(G4) 구간은 '''{{{#yellowgreen 연두색}}}''' 2옥타브 솔♯(G♯4) 구간은 '''{{{#green 초록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blue,#dodgerblue 파란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red 빨간색}}}'''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 곡 분석 == * 조성: 마장조(E) * 최고음: '''진성 최고음 2옥타브 도#(C#4)/가성 최고음 2옥타브 시(B4)''' M.C The Max 모든 앨범들의 타이틀 곡 중 가장 쉬운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아무래도 M.C The Max의 곡 특성상 2옥타브 솔(G4) 아래의 진성 최고음을 가진 곡이 굉장히 드물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일반인들중 가성을 내는것 자체가 어려운 사람이 많은걸 고려하면 쉬운곡만은 아니다. == 여담 == * 노래방에서 선곡 번호는 [[TJ미디어|TJ]] 12437 (일반) 또는 62166 (원음 MR)[* TJ 60시리즈 이상의 반주기에서 선곡 가능.], [[금영엔터테인먼트|금영]] 66565이다. * 줄여서 '사시'라고 불린다. * 일본 가수 안전지대의 'ショコラ'(초콜릿)과 같은 시기에 앨범을 발매하려 했으나, 안전지대가 일본에서 약간 앞당겨 곡을 발표하는 바람에 같은 시기에 같은 작곡가에게 같은 곡을 받았던 사랑의 시가 본의 아니게 리메이크로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실제로는 동시에 곡을 받고 동시에 발표하기로 했으므로 리메이크가 아니다. * 많은 엠씨더맥스의 곡들은 보컬 이수의 컨디션이 좋을때 --당연히-- 훌륭한 라이브가 나오지만 이 곡만큼은 이수의 컨디션이 좋지 않고 지친 듯한 느낌으로 라이브를 할 때 더 애절하게 들린다는 평가가 많다. * 위 이유로 멤버들은 2003년 당시 2집 활동을 할때 밤새 술을 마시면서 컨디션 관리를 하지 않은 채 아침에 생방송 녹화를 참여한 적이 많다고 2017년 겨울나기 당시 밝혔다.[* 머리도 안감아서 모자를 쓰고 출연한 적이 많았다고…] * 음치로 유명한 [[서민정]]과의 듀엣 영상이 유명하다. 일명 [[https://youtu.be/733rstR8xRg|'''가창력 상위 0.1%와 하위 0.1%의 듀엣''']]. 결국 버티지 못하고 빵 터지는 이수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 가사 중에 '단념은 더욱 집착을 만들고 단념은 더욱 나를 아프게 하고' 부분이 몬더그린으로 '딴 년은 더욱 집착을 만들고 딴 년은 더욱 나를 아프게 하고'로 들린다. [[분류:M.C The Max/노래]][[분류:록 발라드]][[분류:2003년 노래]][[분류:한국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