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표적 [[도시전설]]. [[미국]]은 땅덩이가 넓은 나라답게 히치하이킹이 일반화되어 있다. 모르는 사람을 태우거나 모르는 사람의 차에 몸을 싣는 행위는 사실 위험천만한 일이지만, 그럼에도 대중교통이라 할 것이 없는 황야의 외진 도로에서 수천 km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하기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는 것도 사실이다. 이 도시전설은 불가피한 히치하이킹이라는 행위가 갖는 근원적 두려움을 내포하고 있다. >한 남자가 외진 시골의 한적한 도로를 달리던 중 히치하이킹을 하는 젊은 [[여성]]을 태웠다. 여자는 뒷좌석에 앉은 채 그리 멀지 않은 목적지를 말하고는 입을 다물고 창 밖을 무심히 바라보고 있었다. > >잠시 후 목적지에 도착한 운전자가 확인을 위해 뒷좌석을 돌아보는데, 놀랍게도 그 자리에는 이미 아무도 없었다. 깜짝 놀란 운전자가 그 집의 주인에게 자초지종을 설명하니 웬걸, 그 여자는 이미 '''오래 전 행방불명된 그 집의 [[딸]]'''이었던 것이다. 오리지널은 위의 미국판이지만 [[한국]]과 [[일본]]에도 유사한 변형이 있다. 한국판의 경우 수수께끼의 여성은 실종이 아닌 확실하게 죽은 딸로서 그 날은 다름 아닌 기일이며, 일본판의 경우는 여자를 비 오는 날에 태웠는데 어디론가 사라진 자리에는 젖은 물자국만 남아있는 것으로 나온다. 그리고 미국과 달리 히치하이킹이 일반적이지 않은 한국과 일본의 특성상 [[차]]가 [[택시]]로 변형되어 있다. [[하와이]]에도 비슷한 얘기들이 있는데, 거기서 여성의 정체는 다름 아닌 '''화산의 여신 펠레'''--축구의 신 [[펠레]] 말고--라고 한다. 어린 소녀나 기품 있는 숙녀, 늙은 여자의 모습으로 나타나며, 볼 때마다 점점 늙어가는 소녀로 나타날 때도 있다. 운전자가 바위나 쓰러진 나무 등 장애물과 부딪힐 뻔할 때 소리 질러 경고해주는데, 덕분에 살아난 운전자가 뒤를 돌아다보면 어느새 사라져서 없다고 한다. 이 도시전설은 미국계 도시전설의 고전이자 시발점이라 볼 수 있는 것으로, 도시전설 연구가인 잔 해롤드 브룬밴드의 저서 "The Vanishing Hitchhiker(사라진 히치하이커)"로 일약 유명해졌다. 일상에서 운전이 숨쉬는 것과 다름없이 친숙한 미국인들에게, 이처럼 차와 결부된 괴담은 와닿는 두려움의 밀도도 상당했을 것이다. 운 나쁘게 [[연쇄살인자]]를 태웠다가 비극을 맞는 일가족을 그린 '힛쳐'와 같은 [[영화]]도 개봉된 바 있다. 이것은 모르는 사람의 차에 몸을 내맡기는 히치하이커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수많은 호러 영화에서 운 나쁜 히치하이커는 희생양의 전형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강호순]]과 같은 유명 살인마들이 [[연쇄살인]]의 범행 수단으로 히치하이킹을 이용했다. 이와 같은 히치하이커와 운전자 간의 불신을 변용한 사건이 [[김지운]] 감독의 영화 [[악마를 보았다]]에 나온다. 2인조 강도가 택시 기사와 승객으로 위장하고 다른 승객을 태웠는데, 하필 그 승객이 [[장경철|연쇄살인마]].[* [[최민식]]이 연기했다. 연기 본좌 최민식의 연기 중에서도 손꼽히는 포스를 보여준다.] 수상한 낌새를 눈치챈 살인마가 숨겨둔 칼로 두 강도를 난도질하면서~~푹찍푹찍~~ 오히려 [[역관광]]을 보낸다. [[https://www.youtube.com/watch?v=s3cT_TE1mBI|혐오 주의! (난도질 장면은 3분부터)]] 같은 범죄자여도 클래스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김지운 특유의 연출력이 발휘되는 명장면. 또다른 주장에 의하면, 이 이야기는 [[유럽]], [[영국]]이 원조라고 한다. 17세기 영국에서 마부가 밤에 인적 없는 길을 가면서 집으로 돌아가는데, 갑자기 나타난 신사가 손을 들며 마차를 세웠다. 마부가 멈춰서 목적지를 묻자, 신사는 조용히 어디로 가라고 답변했다. 그 신사가 말하던 곳에 마차가 도착하자, 마부는 마차 안을 향하여 다 왔다고 말을 했으나, 마차에는 아무도 없었다. 기절초풍한 마부가 나중에 다른 마부들에게 전해주면서 이 이야기가 다른 마부들에게 전해오는 이야기였다고 한다. 꽤나 오래된 괴담인 듯 싶다. ~~사실 돈내기 싫어서 중간에 도망간거 아닐까~~ [[SCP 재단]]에 [[http://ko.scp-wiki.net/SCP-1337|유사한 소재의 SCP]][[SCP-1337|(해설)]]가 있다. [[분류:도시전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