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3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fff '''영화부문 작품상'''}}} || || 제3회[br]([[1967년]]) || {{{+1 →}}} || '''제4회[br]([[1968년]])''' || {{{+1 →}}} || 제5회[br]([[1969년]]) || || [[만추]] || {{{+1 →}}} || '''사격장의 아이들''' || {{{+1 →}}} || [[장군의 수염]] || ||<-5> || ||<-2> {{{+1 '''사격장의 아이들'''}}} (1967)[br]''Children in the Firing Rang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사격장의 아이들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김수용(영화감독)|김수용]] || || '''각본''' || 장재화 || || '''윤색''' || 임희재 || || '''기획''' || 호현찬 || || '''제작''' || 성동호 || || '''주연''' || [[김지미]], [[허장강]], [[주증녀]] || || '''촬영''' || 홍동혁 || || '''조명''' || 손영철 || || '''편집''' || 유재원 || || '''음악''' || 정윤주 || || '''미술''' || 노인택 || || '''제작사''' || 한국영화주식회사 || || '''개봉일''' || [[1967년]] [[11월 25일]] || || '''개봉관''' || 동아극장 || || '''관람인원''' || 21,000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김수용(영화감독)|김수용]] 감독의 1967년 개봉 영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대한교육연합회]] 창립 20주년 기념 공모전에서 당선된 장재화의 시나리오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비판한 리얼리즘 영화로 미래의 희망인 어린이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환기시키고 있다. == 출연진 == * [[김지미]] - 오지영(선생님) 역 * [[허장강]] - 김상현(영규 부) 역 * 방수일 - 선일(선생님) 역 * [[주증녀]] - 옥순(동호 모) 역 * [[황정순]] - 사친회장 역 * [[김동원(1916)|김동원]] - 교장 역 * [[정애란]] - 용순 모 역 * 아이들 * 송규헌 - 영규 역 * 이지연 - 영희(영규 동생) 역 * 이광호 - 동호 역 * 전상철 - 덕팔 역 * 김선민 - 용순 역 == 줄거리 == [[6.25 전쟁]]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은 동부 [[군사분계선|휴전선]]의 어느 조그만 마을 부근에는 국군들의 사격장이 있다. 마을 주민들 대부분이 북한에 고향을 둔 실향민들이고, 아이들은 가난한 집안 살림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탄피를 주워다 팔아 어른들의 생계를 돕는다. 이런 가난한 마을에 초등학교 여교사 오지영([[김지미]])이 부임한다. 그녀의 눈에 비친 마을은 너무나 삭막하고 피폐해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기 위해 정열과 성의를 다한다. 부모들은 무지하고 아이들에게 무관심해서 영규(송규헌)의 아버지 김상현([[허장강]])은 아들이 주워오는 탄피를 판 돈을 술과 노름으로 날리며, 3년전 남편을 잃은 동호(이광호)의 모친 옥순([[주증녀]])은 아들에게는 숨긴 채 읍내에 있는 술집에 나가 번 돈으로 연명해나간다. 이렇듯 암흑 같은 환경 속에서도 꿈과 사랑을 잃지 않는 아이들은 탄피를 모아 판 돈으로 병들어 있는 용순(김선민)의 어머니([[정애란]])를 돕기로 하지만 영규의 아버지는 먹고 살기도 어려운 처지에 쓸데없는 짓 하지 말라며 오히려 아들을 나무란다. 용순이는 학교를 그만두고 우동집에서 일하는가 하면, 동호와 영규도 학교를 그만두고 서울로 도망갈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여비 마련을 위해 탄피를 주우러 갔던 영규 일행은 [[불발탄]]이 터지는 바람에 덕팔이(전상철)가 죽고 영규도 머리에 부상을 당해 기억을 잃는다. 병원에 모인 마을 어른들은 [[무지몽매]]했던 자신들의 지난날을 후회하며 새로운 마을을 만들어 새로운 생활을 해 나갈 것을 약속한다. == 수상 == * 1967년 제5회 [[청룡영화상]] 감독상([[김수용(영화감독)|김수용]]) · 색채촬영상(홍동혁) * 1968년 * 제4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작품상 · 기술상-촬영(홍동혁) · 특별상(아이들) * 제11회 [[부일영화상]] 남우조연상([[허장강]]) == 기타 == * [[가평군]] 상색국민학교에서 촬영했다. * [[김지미]]와 [[허장강]]이 겹치기 출연으로 촬영 일정이 어긋나 함께 카메라 앞에 설 시간이 나지 않자 한 사람씩 따로 촬영한 후 편집 과정에서 서로 대화하는 것처럼 만들었다고 한다. [[분류:한국 영화]][[분류:1967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백상예술대상 작품상 수상작]][[분류:김수용(영화감독)]]